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impaired of Family Support on Self-Efficacy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약어 : AJMAHS
2018 vol.8, no.12, pp.671 - 680
DOI : 10.35873/ajmahs.2018.8.12.064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9 회 열람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은 2017년 5월 정신보건법을 정신건강복지법으로 개정하면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접근을 치료중심에서 재활모델을 거쳐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자립생활모델로 거듭나고 있다. 이는 정신질환이나 장애가 있더라도 당사자가 자신의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높여 자기결정권을 높일 수있는 개입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와 발맞추어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의미도 과거의 부정적인 의미 에서 벗어나 치료와 재활에 원조할 수 있는 자원의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신요 양시설의 수나 그 곳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수는 큰 감소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탈시설화는 과도 기적 상태에 놓여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의 저해요인으로 오랜 시설생활로 인해 무기력함과 낮은 자기효능감, 가족의 비협조적인 요인 등 당사자의 자립의지와 심리적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있는 자기효능감 향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가족지지를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질병과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 하고 정신요양시설 입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족지지를 긍정적, 부정적으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적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 가족지지, 긍정적가족지지, 부정적가족지지, 자기효능감
The mentally disabled, family support, positive family support, negative family support, self-efficacy

  • 1. [학술지] 강석임 / 2011 /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보건과 사회과학 (30) : 97 ~ 30 kci
  • 2. [학위논문] D. Y. Kim / 2011 /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on recovery in the mentally disabled
  • 3. [학위논문] S. S. Gu / 1993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es in those with myelopathy
  • 4. [학술지] 고경봉 / 1999 / 신체형장애, 정신신체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간의 가족지지도지각의 비교 / 정신신체의학 / 7 (1) : 79 ~ 1 kci
  • 5. [학위논문] S. S. Kwon / 2001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es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rebral infarction
  • 6. [학술지] S. J. Kim / 1996 / A study on the effects of efficacy & expectation promotion programs o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 5 (2) : 121 ~ 2
  • 7. [학위논문] E. Y. Kim / 1990 /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family functions with the families of mental patients,
  • 8. [학술지] 박정임 / 2012 /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40 (2) : 33 ~ 2 kci
  • 9. [학위논문] I. G. Song / 2011 /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life quality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rebral infarction
  • 10. [학위논문] S. Y. Lee / 2004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quality in the mentally disabled see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cological system
  • 11. [학술지] O. G. Yang / 1997 / Mental health and life quality in the aged / Collection of Writings of Social Studies / 1
  • 12. [학위논문] M. J. Yun / 2005 / A study on job satisfaction in the mentally disabled
  • 13. [학위논문] G. H. Lee / 2006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the mentally disabled using rehabilitation facilities
  • 14. [학술지] Y. P. Lee / 2005 / Psychiatry and the acceptance of the mentally disabled into facilities – Focusing on how the acceptance into facilities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spread of psychiatry / Social Welfare Research / 27 : 5 ~
  • 15. [학술지] 유은사 / 2014 / 노인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가족지지와 사회적지지의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4 (12) : 254 ~ 12 kci
  • 16. [학술지] 조가은 / 2010 /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재활심리연구 / 17 (2) : 187 ~ 2 kci
  • 17. [학술지] 정선욱 / 2002 /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아동복지학 (14) : 145 kci
  • 18. [기타] C. J. Choi /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functional levels on life quality in the mentally disabled:Focusing on psychiatric medical centers, daycare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 191 ~
  • 19. [학위논문] Y. H. Choi / 1983 /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s on family support behavior and patients’role behavior
  • 20. [학위논문] Y. S. Choi / 2009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 21. [학위논문] Y. R. Han / 1998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 22. [학술지] Bandura, A. / 1977 /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