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Ego-Resilience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Burnout

미술치료연구
약어 : -
2012 vol.19, no.4, pp.879 - 899
DOI : 10.35594/kata.2012.19.4.007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미술치료학회
145 회 열람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따른 심리적소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107명이다. 미술치료사의 심리적소진척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의 질문지, 자아탄력성척도는 Block(1961)의 질문지를 Klohnen(1996)이 수정한 질문지, 사회적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한 임진형(2000)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wo-way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이 심리적소진이 더 낮았다. 그러나 심리적소진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 낮은 집단,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 낮은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심리적소진에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영향력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ego-resilience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 art therapists. Psychological burnout scale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1981), Ego-resiliencey scale developed by Block(1961) and revised by Klohnen(1996), an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1985) and revised by Lim(2000)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in ego-resilienc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in social support. High group in ego-resiliencey and in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score in psychological burnout than low group did. But there was no interaction-effect between ego-resiliencey and social support. Second, it appeared that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psychological burnout.

미술치료사,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심리적소진
Art-therapist, Ego-resiliencey,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burnout

  • 1. [학위논문] 고근종 / 2006 /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 2. [학위논문] 권수련 / 2003 / 항공승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3. [학위논문] 김미연 / 2009 / 특수학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의 역할
  • 4. [학위논문] 김미현 / 2006 / 인터넷 및 게임 중독이 청소년정신건강과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군산시를 중심으로
  • 5. [학위논문] 김미화 / 2003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 6. [학위논문] 김영미 / 2007 / 음악치료사의 성격 특성 및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7. [학위논문] 김유진 / 2010 /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 성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8. [학위논문] 김은정 / 2007 / 자기효능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9. [학술지] 김현미 / 2010 /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자 활동, 자기 효능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인문학논총 / 15 (2) : 173 ~ 2 kci
  • 10. [학위논문] 김현옥 / 2010 /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11. [학위논문] 김현주 / 2005 /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역전이 관리 능력
  • 12. [학술지] 문경주 / 2002 /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21 (1) : 29 ~ 1 kci
  • 13. [학위논문] 박성호 / 2001 /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14. [단행본] 박정선 / 2004 / 직무스트레스 평가방법 / 고려의학
  • 15. [학위논문] 박지원 / 1985 /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 16. [학위논문] 朴玹珍 / 1997 /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 17. [학위논문] 송영경 / 2006 /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학교적응
  • 18. [학위논문] 신정희 / 2007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 19. [학위논문] 심순애 / 2007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20. [학술지] 안효진 / 2007 /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 아동학회지 / 28 (5) : 221 ~ 5 kci
  • 21. [학위논문] 여선영 / 2006 /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 Out)과의 관계
  • 22. [학위논문] 유미숙 / 1999 / 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행동과 치료자 반응 분석
  • 23. [학위논문] 이미자 / 2009 /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및 조절효과 탐색
  • 24. [학위논문] 이수옥 / 2007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내외통제성 및 대인불안의 관계
  • 25. [학위논문] 이영미 / 2007 /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26. [학위논문] 이유정 / 2004 / 노인전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7. [학위논문] 임정하 / 2003 /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28. [학위논문] 임진형 / 2000 /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 29. [학위논문] 장기보 / 2003 / 간호장교의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 지각,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 30. [학술지] 전정미 / 2006 /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성향이 심리적 소진(Burn-out)에 미치는 영향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9 (2) : 17 ~ 2 kci
  • 31. [학술지] 정순임 / 2006 / 보험심사간호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완충효과 / 간호행정학회지 / 12 (3) : 482 ~ 3 kci
  • 32. [단행본] 정옥분 / 2003 /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 지향적 도덕성 / 집문당
  • 33. [단행본] 정현희 / 2009 / 실제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 학지사
  • 34. [학술지] 정현희 / 2007 /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유능성지각과 문제행동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45 (7) : 93 ~ 7 kci
  • 35. [학위논문] 채숙희 / 2009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 36. [학위논문] 최윤희 / 2004 / 미술치료에 의한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관한 연구
  • 37. [학술지] 최혜윤 / 2003 /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8 (2) : 279 ~ 2 kci
  • 38. [단행본] 탁진국 / 2006 / 심리검사 / 학지사
  • 39. [학위논문] 하현주 / 2007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40. [학위논문] 한주희 / 2000 / 인간관계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41. [학위논문] 홍준호 / 2004 / 상담자의 자아강도와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소진의 관계
  • 42. [학술지] Block, J. / 1961 / Ego-identity, role variability, and adjustment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25 : 392 ~
  • 43. [학술지] Brissette, I. / 2002 / The role of optimism and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82 : 102 ~
  • 44. [학술지] Clark, C. C. / 1980 / Burnou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 10 : 39 ~
  • 45. [학술지] Delia, C. / 1996 / Stress in clinical psychologist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 42 : 141 ~
  • 46. [단행본] Edelwich, A. / 1983 /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 Pergamon Press
  • 47. [학술지] Gjerde, P. F. / 1986 / Egocentrism and ego resilienc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erspective-taking from early childhood to adolescenc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1 : 423 ~
  • 48. [단행본] Guy, J. / 1987 / The Personal life of the psychotherapist / John Wiley & Sons
  • 49. [학술지] Jacobs, S. R. / 2003 /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 44 (3) : 292 ~ 3
  • 50. [학술지] Klohnen, E. C. / 1996 /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70 (5) : 1067 ~ 5
  • 51. [단행본] Landreth, G. L. / 1991 /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 / Acclerated Development
  • 52. [학술지] Marshall, R. / 1982 / Burnou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Pediatrics / 65 (6) : 1161 ~ 6
  • 53. [단행본] Maslach, C. / 1982 / Burnout: the cost of caring / Prentice Hall
  • 54. [단행본] Maslach, C. / 1981 /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55. [학술지] Maslach, C. / 2001 / Job burnout / Annual Reviews of Psychology / 52 : 397 ~
  • 56. [학술지] Pines, A. M. / 2004 / Adult attachment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burnout : a preliminary, cross-cultural investigation / Work & Stress / 18 : 66 ~
  • 57. [학술지] Raquepaw, J. M. / 1989 / Psychotherapist burnout : a componential analysis /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 Practice / 20 : 32 ~
  • 58. [단행본] Remley, T. P. / 2005 / Ethical, leg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counseling / Merrill/Prentice Hall
  • 59. [학술지] Rutter, M. / 1985 /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 protective factors and resisance psychiatric disorder /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147 : 598 ~
  • 60. [학술지] Scheier, M. F. / 1985 / Optimism, coping, and health :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 Health Psychology / 4 : 219 ~
  • 61. [단행본] Seligman, E. P. M. / 1991 / Learned optimism / Simon & Schuster Audio
  • 62. [학술지] Zellars, K. L. / 2000 / Burnout in health care: the role of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30 : 1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