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상징적 과목으로 신설된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에 담겨있는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 및 논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일반사회 전공 교사 설문조사를 통해 통합사회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2022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개발은 다학문적 접근에서 간학문적 접근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통합사회의 핵심개념은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전체의 스트랜드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일반사회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향상하는 것이 과제이다.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에서 분과적 성격이 상대적으로 강해서 가르치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내용들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양성 기관에서 통합사회 전문성 육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이 시급하며, 통합사회 교수 전문성을 향상하도록 직무연수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2022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수업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안내, 그리고 자료 개발이 확충되어야 한다.

키워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사회,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발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강운선 / 2001 /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원리와 실제 : 고등학교1학년을 대상으로 / 사회과교육 34 : 463 ~ 488

  2. [기타] 교육부 / 1992 /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 교육부

  3. [기타] 교육부 / 2014 /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 2014. 9. 24. 보도자료 :

  4. [기타] 교육부 / 2015 / 사회과 교육과정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5. [기타] 교육부 / 2018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 2018. 8. 17. 보도자료 :

  6. [기타] 교육부 / 2018 /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 2018. 11. 발표자료. 교육부민주시민교육과 :

  7. [학술지] 구정화 / 2015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 시민교육연구 47 (3) : 1 ~ 29

  8. [보고서] 구정화 / 2014 / 문․이과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9. [보고서] 구정화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 통합사회 교육과정

  10. [보고서] 김경자 / 2015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총론)

  11. [학술지] 김국현 / 2016 / ‘행복’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통합사회’의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 윤리교육연구 (42) : 251 ~ 281

  12. [학술지] 김남준 / 2017 /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 / 도덕윤리과교육 (54) : 181 ~ 214

  13. [단행본] 모경환 / 2021 / 사회과교육 / 동문사

  14. [학술지] 모경환 / 2016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 시민교육연구 48 (1) : 1 ~ 30

  15. [학술지] 박은아 / 2018 / <통합사회>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연수 요구 / 시민교육연구 50 (1) : 53 ~ 78

  16. [보고서] 박철웅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통합사회과 교육과정

  17. [학술지] 옥일남 /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 교육과정평가연구 19 (2) : 49 ~ 75

  18. [학술지] 이동원 / 2001 / 공통사회 탄생 과정을 통해 본 통합·분과 논쟁 / 사회과교육연구 8 : 83 ~ 98

  19. [학술지] 이정우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 운영 실태 조사 연구 / 교사교육연구 58 (2) : 183 ~ 194

  20. [단행본] 이희현 / 2016 /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개발 : 초중학교 인문사회 / 한국교육개발원

  21. [단행본] 이희현 / 2016 /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 : 초중학교 인문사회 / 한국교육개발원

  22. [학술지] 임은진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과교육 58 (3) : 37 ~ 56

  23. [학술지] 허수미 / 2017 / 사회과 교사가 인식하는 ‘통합’의 의미와 실천 양상: 2015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4) : 739 ~ 766

  24. [학술지] 허숙 / 2009 / 왜 2009 개정 교육과정인가? / 교육광장 34 : 16 ~ 19

  25. [단행본] Cogan, J. J. / 2000 /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 / Kogan Page

  26. [단행본] Drake, S. M. / 2004 /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7. [단행본]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1994 /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28. [단행본]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2010 /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 A framework for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 NCSS publications

  29. [학술지] Wraga, W. G. / 1993 / The interdisciplinary imperative for citizenship education /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21 (3) : 201 ~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