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소비자는 감성적 경험과 삶의 가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기의 개성과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형태의 소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은 오프라인 공간을 통해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특별한 공간을 제공하여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브랜드의 가치표현과 감성체험을 할 수 있는 브랜드 공간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스케이핑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공간 브랜딩 전략으로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에 나타난 브랜드스케이핑에 표현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확장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사례분석을 위해 현장 방문을 토대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스케이핑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에 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브랜드스케이핑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특성요소가 어떤 형태로 표현되어 적용되고 있는지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선정하여 사례분석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를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으로 사례분석 한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과 관련된 정체성, 장소성, 전통성은 균형편차가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매장 규모와 공간구성에 따라 유희성, 결합성, 조형성은 균형의 편차가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는 각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아이덴티티는 다르지만 공간 디자인을 통하여 고객에게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전제로 하며, 독특한 체험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가치를 알리고 고객에게 자사 카페 체험, 이벤트, 서비스, 전시관람, 공연 등의 브랜드스케이핑의 공간연출을 적용하여 감성적 가치소비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는 공간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극대화 시키고 건축물이나 내부공간의 차별화된 공간연출로 조형성을 나타내어 랜드마크라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브랜드의 공간은 다양한 체험공간과 문화예술 전시, 카페, 라이프스타일 등이 결합된 형태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었다. 넷째, 공간 디자인은 매장의 전체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명확한 컨셉을 계획하여 그에 맞는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키워드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스케이핑, 브랜드 공간, 공간 디자인, 럭셔리 브랜드

참고문헌(26)open

  1. [학위논문] Ahn, Hearan / 2021 / A Study on lifestyle store space design applying Brandscaping characteristice

  2. [학술지] 조은지 / 2018 /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에 의한 패션브랜드 식음 공간 분석과 브랜딩 전략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6 (3) : 265 ~ 280

  3. [학술지] 최형욱 / 2013 / 브랜드 스케이핑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8 (4) : 27 ~ 37

  4. [단행본] D'Arienzo, W / 2016 / Brand management strategies:Luxury and mass markets / Fairchild Books

  5. [학위논문] 한아름 / 2013 / 플래그쉽스토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표현을 위한 오브제 특성과 적용방식에 관한 연구

  6. [학술대회] Han, E. / 2017 / A Study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Flagship Store Space Constru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Characteristic /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141 ~ 146

  7. [학위논문] Jang, Yunjeong / 2021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Flagship Store by Brand Experience Element

  8. [학위논문] Jeon, Yuna / 2021 /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Fashion Flagship Store with Experience Marketing

  9. [학술지] Jeon, Y. / 2019 /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fashion flagship store with experience marketing /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 (3) : 179 ~ 184

  10. [학술지] 정정희 / 2018 /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아트 마케팅 성과 / 한국의류학회지 42 (2) : 278 ~ 297

  11. [학위논문] Kang, Yunkyung / 2021 / A study on the Boutique Hotel designs using Brandscaping.: Re-Branding of Jeju PODO hotel

  12. [학술지] 강윤경 / 2018 / 브랜드스케이핑에 따른 국내 부티크호텔의 특성 분석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6 (1) : 215 ~ 230

  13. [학술지] Kim, K. / 2018 / A study on the design representation of fashion flagship store and brand identity /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Seoul 20 (1) : 64 ~ 69

  14. [학술지] Kim, M. / 2015 / A Study on the Brandscaping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Library -Based on cases of Company Libraries in Capital Area -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 (3) : 132 ~ 136

  15. [학술지] 이은정 / 2021 / 패션 브랜드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 (8) : 261 ~ 278

  16. [학술지] 이목영 / 2021 /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 (8) : 37 ~ 48

  17. [학위논문] Li, Jiarui / 2019 /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the Fashion Brand FlagShop form the Viewpiont of Space Marketing

  18. [학위논문] Ma, Jun / 2020 / A Study on the Life Style Brand Space Design Strategies Based on Experience Marketing

  19. [학술지] 오현주 / 2017 /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브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2 (1) : 137 ~ 149

  20. [학술지] 박혜은 / 2019 / 브랜드 스케이핑을 적용한 브랜드 라이브러리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4 (2) : 189 ~ 202

  21. [학술지] 사영재 / 2016 / 플래그십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 (2) : 41 ~ 48

  22. [학술지] 석재원 / 2020 / 파사드 디자인의 브랜드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 청담 패션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5 (1) : 229 ~ 240

  23. [학위논문] Shin, Oksoo / 2013 / A Study on the Synaesthetic Space Design in Fashion Flagship Store

  24. [학술지] 우승현 / 2017 / 라이프스타일 숍의 상품특성이 소비자의 체험지각 및 쇼핑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 (2) : 429 ~ 442

  25. [단행본] Yamada, Doyokko / 2007 / ブランドの 條件(MADE IN 브랜드) / 岩波新書

  26. [학위논문] Yun, Jungeun / 2015 /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Brandscaping and corporate brands though cultural art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