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155.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사태와 울산지역 실업문제

노동력 수요부족과 일자리 미스매치를 중심으로

  • 313

이 논문은 고용관련 행정자료인 워크넷 원자료를 노동시장 미스매치론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코로나19 상황의 울산지역 실업문제를 설명하였다. 2020년 상반기 울산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적지만, 고용위기는 다른 주요 도시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근 울산의 고용위기를 낳는 구조적 특성을 설명하고, 워크넷 자료의 구인규모와 구직규모를 기초로 실업문제를 분석하였다. 첫째, 2020년 상반기 울산지역 실업발생의 일차적 요인은 ‘노동력 수요부족’이었다. 울산은 수출 제조업 중심 도시로서, ‘주요 수출국가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등 지역 외부적 요인이 지역경제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계적인 시장수요가 하락하고 글로벌 부품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여 주요 사업체들의 경영위기가 확대되면서 노동력 수요량은 3월부터 대폭 감소하였다. 둘째, 코로나19 사태에서의 고용위기는 ‘실행기능 중심지역’의 지역노동시장 특성을 반영하여 하위부문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노동력 수요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직종은 제조업 실행기능의 생산직이었으나, 노동력 수요부족량이 가장 큰 직종은 원래부터 일자리가 부족하였던 구상기능 관련 사무관리직이었다. 셋째, 일자리 미스매치도 지역노동시장에서 핵심적인 부문보다는 비 핵심부문에서 명확히 나타났으며, 노동시장 하위부문별로 구직초과 미스매치와 구인초과 미스매치가 공존하였다. 고학력층 구직자들의 구상기능 일자리 선호도가 지속되면서, 사무관련 직종에서 직종별 미스매치가 명확히 나타났으며, 동일한 직종에서도 고학력층 선호 일자리와 안정적 고용형태 일자리에서 구직초과 미스매치가 매우 크게 발생하였다. 반면 개인서비스직종에서도 구인-구직 비중 격차가 증가하였고, 동일 직종 가운데 불안정 고용형태 일자리와 저학력층 일자리는 구인초과 미스매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노동력 수요부족량과 미스매치가 지역노동시장에서 취약한 부문에서 명확히 나타났음을 잘 나타낸다.

The paper examines the unemployment issues in Ulsa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bor market mismatch. The worldwide spread of the COVID-19 shocked the local labor market in Ulsan,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 confirmed cases has been relatively lower then other major cities in Korea. The analysis of the WORKNET data shows that the primary source of the unemployment during the first half of 2020 is labor demand shortages. Economic declines of the world market, as the external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local economic conditions and the labor demand in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 city of Ulsan. The export production declined and global supply chains did not work from the early 2020 in Ulsan, that led to the growing managerial difficulties of many manufacturers and small owners after March of 2020. The unemployed persons including those who lost their jobs and the new job seeks after the graduation increased, while job openings decreased in the local labor market. Second, there occurred different shape of labor demand change in several segments of the local labor market. The number of job openings declined in the production-related occupations, but the total size of labor demand shortages was the highest in the white collar occupation that had not traditionally been sufficient in the manufacturing city. Thirdly, the mismatch between labor demand and supply was obvious in the white collar sectors than the production ones. Even in the same occupations, the mismatch index was higher in the more educated persons and the stable job openings. For most of the available job openings were the unstable and lower-wage ones that the job seekers avoid to choose. The job shortages and labor mismatch during the period of the COVID-19 economic crisis were more provident in the non-core sectors than in the core sectors of the local labor market.

Ⅰ. 서론

Ⅱ. 이론적 시각과 연구방법

Ⅲ. 울산지역의 특성과 최근 현황

Ⅳ. 코로나19 사태와 실업문제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