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증가한 취업난 속에서 문화예술활동이 취업불안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예술활동이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취업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문화예술활동이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만 19세부터 39세 사이의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활동은 취업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이를 통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볼 수 없었다. 반면, 문화예술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으며, 문화예술활동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직 중인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확대하여 청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engagement in cultural activities affects the employment anxiety and self-esteem felt by the youth generation in South Korea who are facing growing difficulties in finding job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resilience significantly mediates cultural activities’ impact on employment anxiety and self-esteem. The data for exploring these relationships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job seekers between the age of nineteen and thirty-nine and through professional research agenci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ngagement in cultural activities did not affect employment anxiety, and as such,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mediation of resilience in this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engagement in cultural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self-esteem through the full mediation of resil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eater institutional support for job-seeking youths’ cultural activities c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their self-esteem.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7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09-00013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