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영국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평가

Exploring Socio-economic Neighbourhood Renewal Policy in England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09 vol.19, no.3, pp.99 - 114
DOI : 10.35149/jakpg.2009.19.3.009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94 회 열람

1990년대 후반부터 영국의 노동당 정부가 예산을 배분하고 집행해온 도시재생사업은 물리적 재생에 국한된 것이 아닌 사회경제적 재생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낙후된 도시지역 재생의 목적은 물리적 시설의 상태 개선뿐 아니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의 질 향상 및 소속감 증대 등 그 지역의 사회경제적 재생을 포함한 종합적 재생을 통해 전 지역이 일정 수준 이상의 삶의 조건을 갖추어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영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종합적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조성된 예산 및 기구, 제도를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이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경제적 요소가 고려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뒤, 도시재생사업 제도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재생이 실현되는 과정을 고찰하고, 영국의 도시재생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Neighbourhood renewal policies in England since the late 1990s has focused on socio-economic issues as well as physical and economic regeneration. It can be considered as holistic approach of neighbourhood renewal policy. Neighbourhood renewal policies in deprived areas aim to improve the residents?quality of life and their belongings in the area. This paper describes the renewal systems, budgets and a variety of agencies and their relations for the neighbourhood renewal policies in England, explores how the socio-economic issues are considered in the renewal process and finds out the implication for the Korean urban regeneration policy which seems to aim for holistic perspectives.

도시재생, 사회경제적 관점, 도시재생예산, 도시재생주체, 결핍지수, 지역협약
neighbourhood renewal, socio-economic perspective, neighbourhood renewal fund, actors of neighbourhood renewal, indices of deprivation, local area agreement

  • 1. [학술지] 김윤이 / 2004 /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한 연구 / 도시연구 (9) : 115 ~ 9
  • 2. [학술지] 민번식 / 2009 /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과제 / 국토 (6) : 6 ~ 6
  • 3. [학술지] 양재섭 / 2007 / 영국의 도시재생 추진기구와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 42 (5) : 129 ~ 5 kci
  • 4. [학술지] 오병호 / 2007 / 도시재생의 방향 / 서울경제 (23) : 3 ~ 23
  • 5. [학술지] 이영아 / 2004 / 레이 포레스트(Ray Forrest): 영국의 공공주택 민영화와 근린주구 정책 / 국토 / 268 : 77 ~
  • 6. [학술지] 천현숙 / 2008 / 파트너십 형성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영국 셰필드시 사례 연구 / 국토연구 / 57 : 19 ~ kci
  • 7. [기타] Be Birmingham / 2008 / Birmingham LAA: Working together for a better Birmingham / Birmingham City Council
  • 8. [기타]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 2007 / Neighbourhood Management: An overview of the 2004 and 2007 Round 2 Pathfinder Household Surveys: Key Findings
  • 9. [기타]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 2007 / The English Indices of Deprivation 2007
  • 10. [기타]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 2007 / The Single Regeneration Budget: final evaluation
  • 11. [학술지] Forrest, R. / 2000 /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the Neighbourhood / Urban Studies / 38 (12) : 2125 ~ 12
  • 12. [학술지] Lawless, P. / 2004 / Locating and explaining area-based urban initiatives: New Deal for Communities in England /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 22 : 383 ~
  • 13. [기타] Lupton, R. / 2003 / Neighbourhood Effects: Can we measure them and does it matter? / London School of Economics
  • 14. [단행본] Mayo / 1994 / Communities and Caring: The Mixed Economy of Welfare / MacMillan
  • 15. [기타] Neighourhood Renewal Unit / 2001 / Community Empowerment Fund: Preliminary Guidance
  • 16. [단행본]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 2005 / Sustainable Communities: People / Places and Prosperity
  • 17. [기타]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 2006 / The Neighbourhood Renewal Fund Grant Determination
  • 18. [기타] Smith, G. / 1999 / Area-based Initiatives: The reationale and options for area targeting / London School for Economics
  • 19. [단행본] Smith, I. / 2007 / Disadvantaged by where you live? / Policy Press
  • 20. [인터넷자료] / http://www.statistics.gov.uk/about/methodology_by_the me/area_classification/soa_dz/defaul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