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간호법 단독입법을 통한 간호인력의 합리적 재편 방안

A Reasonable Nursing Resources Reorganization Plan through Enactment of Nurse Act

일감법학
약어 : -
2015 no.32, pp.215 - 261
DOI : 10.35148/ilsilr.2015..32.215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686 회 열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의료기관 증가, 의료기관의 적정한 간호 인력확보의 필요성 증가와 같은 급격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로 간호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료비 증가, 만성질환자 관리의 필요성 증가에 비용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간호인력 수요도 커지고 있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확대 등으로 간호서비스 제공영역이 의료기관에서 지역사회로 변화하면서 간호의 역할범위도 보다 확장되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괄간호서비스 수요도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간호사는 다른 의료인력과 함께 의료법에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명확한 법적 지위와 규제 내용이 부재하며간호인력 간 업무와 책임한계가 불명확한 상황이다. 이는 급변하는 간호 관련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간호서비스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의 질 저하를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히, 진료보조업무에 있어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업무중복과 역할혼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업무규정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간호관련 단독법에 기반하여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업무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간호서비스의 책임성을 담보하고 있으며, 간호사가 간호보조인력에 대한 지도⋅감독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간호인력 간 업무중복의 문제를 피하고있다. 우리나라도 간호행위 관련 서비스의 책임강화와 간호인력 관련 문제발생 가능성을최소화하고 간호인력 양성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있는 인력수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간호사 관련 단독입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간호업무의 개념정의와 구체적인 행위구분, 면허⋅자격 응시기준, 교육기관 및 교육기간, 간호사중앙회, 보수교육 및 면허⋅자격신고제, 간호정책의 심의⋅의결을 위한 간호정책심의위원회, 인력처우개선 및 복지증진, 인력확보와 취업촉진을 위한 간호인력개발센터 설치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

의료인, 간호사, 간호보건환경, 간호법, 간호교육, 간호조무사
Medical personnel, Nurse, Nursing and health care environment, Nurse Act, Nursing education, Nurse-aides

  • 1. [단행본] 김윤희 / 2004 / 현대 간호의 주요쟁점(상)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 [기타]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 2013 / 간호인력 개편방안
  • 3. [보고서] 유선주 / 2013 /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 4. [보고서] 이경권 / 2011 / 국민간호증진 및 간호사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안에 관한 연구
  • 5. [보고서] 이용균 / 2009 / 병원 간호사 인력의 적정수급 방안
  • 6. [보고서] 이용재 / 2013 / 조산원 원가분석·적정수가 산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7. [보고서] 이태진 / 2009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경제성 평가: 비용-편익분석
  • 8. [보고서] 임준 / 2012 /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원기반 만성질환등록 관리사업의 효과평가
  • 9. [학술지] 장연화 / 2012 / 면허외 의료행위와 관련한 의료인의 형사법적 책임 / 형사판례연구 / 20 : 560 ~ kci
  • 10. [단행본] Hugh Small / 1998 / Florence Nightingale: Avenging Angel / St. Martin’s Press
  • 11. [보고서] WHO / 1986 / Regulatory Mechanisms for Nursing Training and Practice : Meeting Primary Health Care Needs
  • 12. [보고서] WHO / 2002 / Nursing and Midwifery A Guide to Professional Regulation
  • 13. [학술지] 김기경 / 2005 / 전문간호사 자격인정의 공공성 / 의료법학 / 6 (2) : 291 ~ 2
  • 14. [학술지] 김동환 / 2014 / 간호등급제가 요양병원의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 / 간호행정학회지 / 20 (1) : 95 ~ 1 kci
  • 15. [학술지] 김영신 / 2013 /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범위 - 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1493 판결 - / 법학논고 (41) : 71 ~ 41 kci
  • 16. [학술지] 김의숙 / 2006 / 간호 업무의 법적 정의 / 간호행정학회지 / 12 (4) : 574 ~ 4 kci
  • 17. [학술지] 윤석준 / 2012 / 만성질환 관리제도의 올바른 방향 / 대한의사협회지 / 55 (5) : 414 ~ 5 kci
  • 18. [학술지] 이소우 / 2010 / 21세기 한국 정신건강간호의 새로운 조망 / 정신간호학회지 / 10 (1) : 5 ~ 1
  • 19. [학술지] 이한주 / 2006 / 간호(사)법* 제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간호행정학회지 / 12 (3) : 355 ~ 3 kci
  • 20. [학술지] 정규원 / 2014 / 간호사의 과실- 분업적 간호행위의 형사책임을 중심으로 - / 법학논총 / 31 (2) : 207 ~ 2 kci
  • 21. [학술지] Carol S. Brewer / 1998 / The Influence of Structure, Staff Type, and Managed-Care Indicators on Registered Nurse Staffing / The Journal of Nrsing Administration / 28 (9)
  • 22. [학술지] Cox, S. Susan / 2006 / How to delegate to UAPs / Travel Nursing / 36 (6) : 10 ~ 6
  • 23. [학술지] Debbie Campbell / 2005 / Overview of the Nurse Reinvestment Act Programs, Legislative Interventions: Changing The Future of Nursing / Legislation : 24 ~
  • 24. [학술지] Peg Currie / 2008 / Delegation Considerations for Nursing Practice / Critical Care Nurse / 28 (5) : 86 ~ 5
  • 25. [학술지] W. M. Daly / 2003 / Nursing Roles and Levels of Practice: a Framework for Differentiating between Elementary, Specialist and Advancing Nursing Practice / Journal of Clinical Nursing / 12 : 158 ~
  • 26. [학위논문] 김신아 / 2004 / 간호법(안)의 타당성 검토
  • 27. [기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14 / 2013년 건강보험통계연보
  • 28. [기타]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4 / 2013년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 29. [기타] 국회보건복지위원회 / 2006 / 간호법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 30. [보고서] 김혜련 / 2014 / 강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에 대한 종단연구 : 39 ~
  • 31. [보고서] 대한간호협회 / 2004 /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한 간호법 제정
  • 32. [기타] 대한간호협회 / 2014 / 간호관계 법령의 업무 및 인력기준 현황
  • 33. [기타] 대한간호협회 / 간호법제정-간호법 제정으로 국민건강과 간호사 중심으로 간호인력체계 개편하자 / 대한간호협회(미간행 PPT발표자료)
  • 34.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12 / 2012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2012) 및 제8차(2012)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 35. [학술대회] 이용재 / 2013 / 조산원 활성화 및 수가현실화 방안 / 우리나라 조산제도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 자료집
  • 36. [학술지] 장영식 / 2013 / OECD국가의 보건수준 / 보건·복지 Issue & Focus
  • 37. [보고서] 정영호 / 2013 /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 21 ~
  • 38. [기타] Fadwa A. Affara / 2004 / Protecting the Public Through Professional Regulation of Nursing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4년 간호법 공청회 발표자료)
  • 39. [기타] Sister Rosemary Donley / 2002 / The Nursing Shortage : What Does The Nurse Reinvestment Act Mean to You? / ANA(American Nurses Association)
  • 40. [기타]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2 / 통계로 본 건강보험 시행 35년 / 2012년 6월 29일 보도자료
  • 41. [기타] 정규숙 / 2004 / 세계 각국의 간호법-선진국 대부분 간호법 있다 / 간호신문
  • 42. [인터넷자료] American Nurses Association / Principles for delegation 2005
  • 43. [인터넷자료] /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1&articleKey=1174
  • 44. [인터넷자료] / http://www.legislation.gov.uk/ukpga/1997/24/contents
  • 45. [인터넷자료]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 Delegation decision-making tree 1997
  • 46. [인터넷자료] / http://www.nursingworld.org/MainMenuCategories/Policy-Advocacy/State/Legislative-Agenda-Reports/State-StaffingPlansRatios?css=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