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자녀를 둔 부모와 주 양육자 307명(초등학교: 113, 중학교: 101, 고등학교: 91)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부적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유형 중 경제적 스트레스, 심리적 스트레스, 교육적 스트레스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부적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유형 중 경제적 스트레스, 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 교육적 스트레스에서 장애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가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름을 시사한다.

키워드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조절효과

참고문헌(38)open

  1. [학위논문] 강연희 / 2002 / 청각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 [학술지] 고성혜 / 1994 /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18 : 21 ~ 38

  3. [학위논문] 고일영 / 2010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4. [학술지] 김광혁 / 2008 / 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 부모의 우울 및 부부관계,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1 : 228 ~ 232

  5. [학술지] 김명소 / 2001 /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5 (2) : 19 ~ 39

  6. [학술지] 김미옥 / 2001 /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 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8 : 9 ~ 23

  7. [학위논문] 김보라 / 2014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8. [학술지] 김서은 / 2015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장애수용정도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생애학회지 5 (1) : 19 ~ 35

  9. [학술지] 김성수 / 2010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이 방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 / 정서·행동장애연구 26 (3) : 257 ~ 275

  10. [학위논문] 김소영 / 2015 /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중다매개효과

  11. [학위논문] 김은실 / 2007 /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 어머니의 민감성과 장애아동의 애착안정성간의 구조적 관계

  12. [학술지] 박춘희 / 2012 / 장애학생 부모의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 상담학연구 13 (2) : 479 ~ 504

  13. [단행본] 박지연 / 2006 / 장애인 가족지원 / 학지사

  14. [학위논문] 박지원 / 1985 /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15. [단행본] 배병렬 / 2015 /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분석(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 청람

  16. [학위논문] 서혜영 / 1992 /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17. [학술지] 신현숙 / 2012 / 남자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의 조절효과 / 청소년학연구 19 (2) : 1 ~ 27

  18. [학위논문] 신숙재 / 1997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학술지] 심미영 / 2013 / 장애인가족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재활복지 17 (3) : 135 ~ 157

  20. [학술지] 이도경 / 2013 / 사회적 지지가 발달장애 유아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아동교육 22 (2) : 161 ~ 188

  21. [학위논문] 이명자 / 2008 / 대학생의 자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율·통제 동기 및 내재·외재 목표의 매개효과

  22. [학위논문] 이숙자 / 2005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23. [학술대회] 염시창 / 2014 /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 전남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워크샵

  24. [학위논문] 우혜영 / 2014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25. [학위논문] 원은영 / 2010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26. [학위논문] 윤나경 / 2014 /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27. [학위논문] 尹惠貞 / 1993 / 靑少年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社會關係網 支持 知覺

  28. [학술지] 이종화 / 2000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문연구지(동광) 97 : 88 ~ 146

  29. [학술지] 정대영 / 2010 /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 정서·행동장애연구 26 (3) : 319 ~ 343

  30. [학위논문] 한은정 / 2010 / 중증 지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31. [학위논문] 황경자 / 2002 /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학술지] Abidin, R. R. / 1990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 The stresses of parenting /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4) : 298 ~ 301

  33. [단행본] Aiken, L. S. / 1991 /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 Sage

  34. [학위논문] Bristol, M. M / 1979 / Maternal coping with autistic children: Adequacy of the interpersonal support and effects of child characteristic

  35. [학술지] Bristol, M. M. / 1988 /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 Developmental Psychology 24 (3) : 441 ~ 451

  36. [학술지] Cummins, R. A. / 2001 /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caring for a family member with a severe disability at home : a review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5) : 926 ~ 935

  37. [학술지] Dyson, L. L. / 1993 / Response to the presence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Parental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over time /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8 (2) : 207 ~ 218

  38. [학술지] Ryff, C. D. / 1989 /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6) : 1069 ~ 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