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대학 비대면 수업의 확산에 따라 대학 강의의 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비대면 대학강의의 차별성을 고려한 강의 평가문항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대학강의의 질 관리를 위해 비대면 대학강의에 사용될 수 있는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검토와 전문가회의를 토대로 비대면 강의를 평가할 수 있는 영역들과 문항들로 13개 영역, 17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강의평가 문항은 2020년 비대면 대학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Rasch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문항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문항 적합도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평정척도 결과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강의평가 영역들은 한 개요의 요인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문항은 향후 비대면대학 강의의 강의 질 개선을 위해 개별 교수자 및 대학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키워드

비대면 대학 강의, 비대면 수업, 강의평가문항, 타당화, Rasch, COVID-19

참고문헌(59)open

  1. [학술지] Ahn, M. L. / 2001 / Development of quality assurance model and guiding principles for effective cyber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4 (1) : 1 ~ 10

  2. [학술지] Andrich, D. / 1978 / A rating formulation for ordered response categories / Psychometrika 43 (4) : 561 ~ 573

  3. [학술지] Bojović, Ž. / 2020 / Education in times of crisis: Rapid transition to distance learning / Computer Applica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28 (6) : 1 ~ 23

  4. [학술지] Cheung, D. / 1998 / Developing a student evaluation instrument for distance teaching / Distance Education 19 (1) : 23 ~ 42

  5. [학술지] 최금진 / 2018 /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A대학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 : 415 ~ 437

  6. [학술지] 정희정 / 2020 /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8) : 1359 ~ 1381

  7. [학술지] 도재우 / 2020 /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 교육문화연구 26 (2) : 153 ~ 173

  8. [학술지] Fehring, R. J. / 1987 /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 Heart and Lung 16 (6) : 625 ~ 629

  9. [학술대회] Freddoline, P. / 1997 / A general model for evaluating distance education programs. competition, connection, collaboration / Proceedings of the 13th Annual Conference on Distance Teaching & Learning : 81 ~ 85

  10. [단행본] Hair, J. E. Jr. / 1995 / Multivariate data analysis / Prentice Hall

  11. [학술지] 한신일 / 2005 /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23 (3) : 379 ~ 404

  12. [학술지] Harroff, P. / 2006 /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in web-based adult education /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0 (1) : 7 ~ 22

  13. [학술지] Jo, M. S / 2003 / Operation condition of cyber lectures and students' estimation in OCU and cheju university / Social Development Review 18 (1) : 213 ~ 236

  14. [학위논문] Jo, Y. S / 2018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cale

  15. [학술지] 조인옥 / 2020 /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8 : 241 ~ 265

  16. [학술지] 주영주 / 2008 / 기업 이러닝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0 (2) : 1 ~ 20

  17. [학술지] 주영주 / 2007 / 공무원 사이버 강좌 만족도 평가를 위한 타당화 연구 / 교육과학연구 38 (3) : 75 ~ 91

  18. [학술지] 주영주 / 2008 /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 (1) : 109 ~ 120

  19. [학술지] 정영란 / 2020 / 학습분석학 기반의 사이버대학의 중도탈락 예측 분석 / 교육방법연구 32 (2) : 205 ~ 232

  20. [학술지] 정향기 / 2020 /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 (3) : 392 ~ 412

  21. [학술지] 정희연 / 2020 /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 인문사회 21 11 (3) : 1305 ~ 1318

  22. [학술지] Kaiser, H. F. / 1974 /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 Psychometrika 39 (1) : 31 ~ 36

  23. [학술지] 김학일 / 2007 /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 공학교육연구 10 (4) : 58 ~ 77

  24. [학위논문] Kim, J. K / 2007 / An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e-learning success

  25. [학술지] 김정겸 / 2017 /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 (6) : 187 ~ 196

  26. [학술지] 김승환 / 2020 /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1) : 9 ~ 26

  27. [학술지] 김상미 / 2020 /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 (6) : 1091 ~ 1100

  28. [학술지] 김성숙 / 2008 /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 교육평가연구 21 (1) : 55 ~ 78

  29. [단행본] Kline, R. B. / 2005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The Guilford Press

  30. [학술지] 이보경 / 2020 /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 교양교육연구 14 (4) : 97 ~ 112

  31. [학술지] 이동주 / 2020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 (3) : 359 ~ 377

  32. [학술지] 이헌수 / 2020 /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 (3) : 377 ~ 395

  33. [학위논문] Lee, J. A / 2015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d project-based learning model for scientifically gifted secondary students: focused on the application case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ience

  34. [학술지] 이정기 / 2013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활용 방안 연구 / 교양교육연구 7 (6) : 247 ~ 274

  35. [학술지] Lee, M. G. / 2002 / Development of a students' evaluation instrument for web-based course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8 (1) : 175 ~ 192

  36. [학술지] Lee, S. H / 2001 /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students' evaluation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7 (1) : 81 ~ 106

  37. [학술지] Lee, S. Y. / 2011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the university / Higher Education 172 (1) : 17 ~ 18

  38. [학술지] 이영희 / 2020 /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 열린교육연구 28 (3) : 211 ~ 234

  39. [학술지] Meir, E. I. / 1981 /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 (4) : 1011 ~ 1016

  40. [인터넷자료] Minister of Education / Online education guidelines

  41. [학술지] Moawad, R. A. M. / 2020 /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academic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 Revista Romaneasca Pentru Educatie Multidimensionala 12 (1) : 100 ~ 107

  42. [단행본] Nunnally, J. / 1994 / Psychometric theory / McGraw-Hill

  43. [학술지] 오숙영 / 2015 / 강의평가도구 구성요인의 이론적 고찰 및 구인타당도 연구: S 대학교 강의평가 사례 중심 / 한국교육학연구 21 (4) : 5 ~ 35

  44. [학술지] 박찬정 / 2002 / 웹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에서 강의평가를 위한 문항 분석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5 (2) : 61 ~ 68

  45. [학술지] 박혜정 / 2006 /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 교육평가연구 19 (2) : 203 ~ 223

  46. [학술지] 박혜림 / 2012 /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 (11) : 5033 ~ 5043

  47. [학술지] Rubio, D. M. / 2003 /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 Social Work Research 27 (2) : 94 ~ 104

  48. [단행본] Ryoo, W. Y. / 1999 / Web-based education / Kyoyookbook : 177 ~ 203

  49. [학술지] Seo, E. H / 2002 / Development of students' evaluation instrument for cyber instruction / Yonsei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5 (10) : 133 ~ 153

  50. [학술지] 설현수 / 2007 /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의 타당화 / 교육평가연구 20 (4) : 31 ~ 51

  51. [학술지] 설현수 / 2015 / Rasch 측정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의 타당화 / 교육평가연구 28 (3) : 779 ~ 802

  52. [학술지] 신승현 / 2018 / 기업 스마트러닝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20 (1) : 59 ~ 82

  53. [학술지] Stewart, I. / 2004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studen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web-based Instruction /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8 (3) : 131 ~ 150

  54. [학술지] David Michael Telles-Langdon / 2020 / Transitioning University Courses Online in Response to COVID-19 /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14 (1)

  55. [학술지] Wolfe, E. W. / 2007 / Instrument development tools and activities for measure validation using Rasch models : Part II-validation activities /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8 (2) : 204 ~ 234

  56. [학술지] Won, H. H. / 2000 / Validit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questionnaires by students /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3 (2) : 55 ~ 76

  57. [학술지] Wright, B. D. / 1994 /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 (3) : 370 ~ 371

  58. [학술지] Yang, K. S / 2014 / Meta-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ourse, instructor, and student characteristic i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at universities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6 (2) : 293 ~ 322

  59. [학술지] Yang, M. K / 2008 /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Significance and problems / The Journal of Educational Principles 13 (1) : 93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