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보행자는 원하는 목적지까지 최단거리로 가려고 하는 경향으로 인해 가능한 한 모든 기회를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도로를 건너고자 한다. 이때 무단횡단이라는 보편적인 보행자의 위반행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보행 중 사망자수는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회원국 평균 18.8%보다 약 2.1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의 무단횡단 시도에 따라 성공 시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지만, 실패 시에는 중상 또는 사망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단횡단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에 걸쳐 경기도에서 발생한 무단횡단 사고 977건과 경기도 내 무단횡단 사고다발지점 169개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무단횡단 사고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왕복 4차로 이상의 주도로, 주변에 버스정류시설이 많이 위치한 구간, 다른 횡단보도와의 이격거리가 100〜200m 사이에 위치한 구간, 무단횡단방지분리대와 보행자휀스와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 무단횡단 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왕복 4차로 이상의 버스정류시설이 많이 위치한 구간에 대해서는 보행자 편의를 위해 횡단보도 설치 간격을 줄여 설치하고, 횡단보도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대해서는 무단횡단방지분리대와 보행자휀스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키워드

무단횡단, 보행자 교통사고, 횡단보도, 무단횡단 방지분리대

참고문헌(16)open

  1. [보고서] 교통안전공단 / 2006 / 교통사고 증감원인 분석 및 대책연구

  2. [학술지] 기경문 / 2009 / 보행자의 보행심리를 알면 교통사고 줄일 수있는 답이 보인다 / 신호등 : 6 ~ 9

  3. [학술지] 김창모 / 2009 / 미국 대도시의 보행자 교통사고 유형 분석과안전확보 대책 / 월간 교통 (132) : 84 ~ 89

  4. [기타] 경찰청 / 2012 /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 / 경찰청 : 94 ~ 96

  5. [보고서] 도로교통공단 / 2010 / 무단횡단 심리분석 및 보행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 25 ~ 35

  6. [보고서] 도로교통공단 / 2013 / OECD 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 56 ~ 57

  7. [보고서] 도로교통공단 / 2012 / 2011년 교통사고 통계분석 : 198

  8. [학위논문] 백승엽 / 2012 / 無斷橫斷交通事故 豫防對策에 관한 硏究 : 횡단보도 및 무단횡단 방지시설을 중심으로

  9. [보고서] 설재훈 / 2005 / 보행자 교통사고의 분석과 대책

  10. [학술지] 이순철 / 1993 / 보행자 교통사고의 특성과 감소대책 / 신호등 : 79 ~ 84

  11. [학술지] 임선호 / 2009 / 교통사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대한교통학회지 27 (4) : 41 ~ 53

  12. [단행본] Karl Kim, I / 2007 /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s / Elsevier : 894 ~ 904

  13. [학술지] Lasmini, A / 2010 / Optimizaion of safe pedestrian facility and traffic management, A case study of MALANG, INDONESIA / Journal of Economics & Engineering (4) : 8

  14. [단행본] Mark J. King / 2009 /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s / Elsevier : 485 ~ 490

  15. [단행본] Victoria Gitelman / 2012 / Accident analysis &preventions / Elsevier : 63 ~ 73

  16. [단행본] Xiangling Zhuang / 2011 /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s / Elsevier : 1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