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 of Each Fine Particle Emission Source of the Daejeon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Model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모델을 활용한 대전지역의 초미세먼지 배출원별 기여도 추정 연구

첫 페이지 보기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MF acceptance model to identify the emission source and contribution of fine particle (PM2.5). The measurement point was selected as the Daejeon area, where industrial complex areas, residential areas, and rural areas are located nearby, and thus can be affected by multiple factors. Measureme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winter (January) and summer (May, June) peri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MF model, it was classified into 7 factors, namely, dust, sea salt particles, secondary nitrate and chloride, secondary sulfate, industrial emissions, coal combustion, and vehicle emission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tribution by season, the contribution of dust and sea salt particles was high during that period due to the yellow dust event that occurred in May-June. In the case of secondary products, nitrate and hydrochloride were higher in winter than in summer due to the phase change at room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coal combustion, they were higher in winter. Through this, it was judged that the PMF result was goo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PM2.5)의 배출원 및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PMF 수용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 였다. 측정지점은 주변에 산단지역, 주거지역, 농촌지역이 위치하여 복합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전지역으로 선정하 였다. 겨울(1월)과 여름(5, 6월)기간 동안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석하였다. PMF 모델 분석 결과 7가지 Factor 즉, 먼 지, 해염입자, 2차 생성 질산염 및 염산염, 2차 생성 황산염, 산업배출, 석탄연소, 자동차배출로 분류하였다. 계절별 기여 도를 확인한 결과 먼지와 해염입자의 경우 5-6월에 발생한 황사 이벤트로 인해 그 기간 동안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차 생성물질의 경우 질산염과 염산염은 상온에서 상변화가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인해 여름보다 겨울에 더 높게 나타났 으며, 석탄연소의 경우 겨울에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PMF 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장소 및 기간
2.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3.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수용모델
III. 결과
1. Input 데이터
2. PMF 수용모델
IV. 결론 및 고찰
사사
References

저자

  • Sangwoo Han [ 한상우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Anyang, Republic of Korea ]
  • Chunsang Lee [ 이춘상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Anyang, Republic of Korea ]
  • KyungChan Kim [ 김경찬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Anyang, Republic of Korea ]
  • Subin Lee [ 이수빈 | Air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in the Central Region,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
  • Jinseok Han [ 한진석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Anyang,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도시환경학회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설립연도
    2001
  • 분야
    공학>환경공학
  • 소개
    산업화와 도시 집중화 및 교통의 증가에 따른 각종 공해 물질의 증가에 의하여 우리들이 살고 있는 도시환경은 오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들의 생산활동이나 공공교통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폐기물, 소음 및 진동 그리고 그 밖의 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은 인간의 건강 및 생명에 유해하며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급한 대처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본 한국도시환경학회는 도시환경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조사연구함으로써 도시환경학문의 발전과 응용 및 보급에 기여하고 나아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도시환경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간기
    계간
  • pISSN
    1598-253X
  • 수록기간
    2001~2024
  • 십진분류
    KDC 539 DDC 62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1 No.4 통권 제60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