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Numerical Analysis of Wind Velocity Components in Vertical Development Vortex
연직발달형 소용돌이의 바람속도성분 수치분석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도시환경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국도시환경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VOL.19 No.3 통권 제51호 (2019.09)바로가기
  • 페이지
    pp.209-216
  • 저자
    Minu Son, Do-Yong Kim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64199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bstacle aspect ratio on vertical vortex patterns and wind velocity components in building canyon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A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building height (H) was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the width (W) of the building canyon. In the cases of H/W=1.0 and H/W=2.0, a descending (an ascending) air current was presented at leeward (windward) building side as the primary vertical vortex pattern. In the cases of H/W=3.0 and H/W=4.0, the secondary reverse pattern was additionally developed that an ascending (a descending) air current was presented at leeward(windward) building side. The flow pattern in vertical vortex was reversed again in the cases of H/W=5.0 and H/W=6.0. As a result, the vertical flow in building canyon was developed as ‘S’ shape, according to the building height increase. The reverse patterns were also determined from the chang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wind velocity components in building cany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건물협곡에서 형성되는 연직발달형 소용돌이에 대해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 외관비 에 따른 소용돌이 현상의 발달 양상 및 바람속도성분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물협곡의 폭(Width, W) 을 기준으로 건물의 높이(Height, H)를 증가시키는 조건하에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H/W=1.0 및 H/W=2.0의 경우에 는 건물협곡 내에서 풍하측 건물 쪽에서는 하강기류가 나타났고, 풍상측 건물 쪽에는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1차적인 연직 소용돌이의 패턴이 관찰되었다. H/W=3.0 및 H/W=4.0의 경우에는 건물협곡 내의 풍하측 건물 쪽에는 상승기류가 나타 났고 풍상측 건물 쪽에는 하강기류로 변화하는 2차적인 역회전 패턴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H/W=5.0 및 H/ W=6.0에서는 소용돌이의 연직기류의 방향이 또다시 역전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건물협곡 내에서 형성되는 연직기류는 건물 높이의 증가에 따라 ‘S’자 형태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역전양상은 연직속도성분 및 수평 속도성분의 변화로부터 확인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수치모델 개요
2. 수치실험 설계
III. 결과 및 고찰
1. 풍속
2. 연직속도성분
3. 수평속도성분
IV. 결론
References

저자

  • Minu Son [ 손민우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 Do-Yong Kim [ 김도용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도시환경학회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설립연도
    2001
  • 분야
    공학>환경공학
  • 소개
    산업화와 도시 집중화 및 교통의 증가에 따른 각종 공해 물질의 증가에 의하여 우리들이 살고 있는 도시환경은 오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들의 생산활동이나 공공교통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폐기물, 소음 및 진동 그리고 그 밖의 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은 인간의 건강 및 생명에 유해하며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급한 대처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본 한국도시환경학회는 도시환경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조사연구함으로써 도시환경학문의 발전과 응용 및 보급에 기여하고 나아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도시환경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간기
    계간
  • pISSN
    1598-253X
  • 수록기간
    2001~2024
  • 십진분류
    KDC 539 DDC 62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3 통권 제5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