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the educational gap in the Context of COVID-19: A Case Study of Gyeonggi Province

교육사회학연구
약어 : -
2020 vol.30, no.4, pp.113 - 145
DOI : 10.32465/ksocio.2020.30.4.005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회학회
3288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발생하는 교육격차 실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초, 중, 고등학교 800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교육의 여건 및 과정에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학교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어떠한 교육 지원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온라인 수업을 듣는 환경과 학습 여건이 열악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가정의 학생일수록 온라인 수업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학교 과제를 수행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이들은 선생님이나 보호자로부터 도움을 받기 보다는 혼자해결하거나 해결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경제적 수준이 높은 가정에서는 보호자가 자녀의 온라인 수업에 함께 참여하고 학업을 지도하면서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었다. 사교육 참여와 시간에서도 가정 배경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교육적 차이는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발생한다는 점에서 교육 불평등 문제로 연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한 학교의 노력과 지원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 기회나 여건만을 보장해주는 기존의 지원 방식으로는 현재의 교육격차를 감소시키기 어려울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학교의 역할과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in the COVID-19 era.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the school related group,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total 8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in lower-income families were inadequate environment to take the online class from home. Indeed, they were in challenge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class and to work on the assignmen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higher-income families received more supports from parents: participating with their children in online classes, supporting to school assignments and to private education. This shows that the educational gap to students based on household income is possible to link with the educational inequality. The efforts from school level was insufficient to reduce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existing education policy is necessary to be revised to resolve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COVID-19. In addition, several alternative approaches to compensate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were discussed. This suggests that it may be difficult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 problem with the existing policy supports that guarantee educational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measures to compensate for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were discussed.

교육격차, 교육 불평등, 코로나19, 비대면 수업, 온라인 수업
Educational Gap, Educational Inequality, COVID-19, Non face-to-face class, On-lin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