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경기도의 학교를 대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가 사회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 지정되었으며,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생 참여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 등‘효과적인 학교’가 갖는 특성들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다층분석을 통해 교육격차 감소에 대한 혁신학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교 모두에서 여타의 조건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학업성취도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일반학교에 비해 혁신학교에서 그 영향력의 정도가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학교가 가정배경의 열악함이나 낮은 사교육 투자 등과 같은 불리한 조건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교육격차 감소에 대한 혁신학교의 효과가 중학생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며, 그 원인이 혁신학교의 활성화된 학생 중심 수업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혁신학교가 가정배경이나 교육여건이 불리한 조건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의미있는 기여를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조건에 있는 학교를 전략적으로 혁신학교로 지정하는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학교가 학생 중심 수업을 위시로 한 혁신학교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고, 그 성과를 일반학교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키워드

혁신학교, 교육격차, 학생중심수업, 사회자본, 효과적인 학교

참고문헌(66)open

  1. [보고서] 강영혜 / 2004 /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 방안 연구

  2. [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정책개발팀 / 2012 /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분석

  3. [기타] 경기도교육청 / 2012 / 혁신학교 기본문서 / 미간행유인물

  4. [보고서] 경기도교육청 / 2013 / 혁신교육백서

  5. [보고서] 고형일 / 2005 / 교육격차해소방안 연구

  6. [학술지] 김경근 / 2005 /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 교육사회학연구 15 (3) : 1 ~ 27

  7. [학술지] 김경근 / 2006 /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 교육사회학연구 16 (4) : 1 ~ 27

  8. [학술지] 김경식 / 2010 /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부모, 교사, 교우 관계와 학업성취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중등교육연구 58 (1) : 203 ~ 225

  9. [학술지] 김병성 / 2003 / 우등생과 열등생의 차이, 그 오래된 의문점:교육격차의 의미, 배경, 인과론 / 교육개발 30 (3) : 20 ~ 25

  10. [학술지] 김석수 / 1998 / 학교효과 결정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 교육사회학연구 8 (2) : 109 ~ 126

  11. [학술지] 김성식 / 2007 /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풍토 변인의 영향 분석 -평균 성취 수준과 학생 간 격차와 관련하여- / 한국교육 34 (2) : 27 ~ 50

  12. [학술지] 김성천 / 2013 / 혁신교육, 성과와 과제 / 교육비평 (봄, 여름) : 154 ~ 171

  13. [보고서] 김양분 / 2009 / 한국 교육 현황 분석:지역 간 학교 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14. [보고서] 김양분 / 2000 / 과외 교습 실태 조사

  15. [학술지] 김영화 / 2007 / 설립별 학교유형과 역사적 전통에 따른 사학 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계고교를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17 (3) : 53 ~ 78

  16. [학술지] 남궁지영 / 2014 /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 교육평가연구 27 (1) : 231 ~ 254

  17. [학술지] 나승일 / 2006 /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 (2) : 117 ~ 135

  18. [보고서] 남궁지영 / 2013 / 초, 중, 고등학교 교육격차 실태 및 완화 방안

  19. [보고서] 류방란 / 2006 / 교육격차 :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20. [학위논문] 박소영 / 2000 / 학교조직규모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연구

  21. [보고서] 배은주 / 2012 / 인천광역시 교육격차 실태 및 해소방안

  22. [학술지] 백병부 / 2011 / 계급별 문화자본의 보유 실태 및 문화자본 보유 결정요인 분석 / 교육발전연구 27 (1) : 5 ~ 27

  23. [학술지] 백병부 / 2012 /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와 수행평가의 관계 / 교육사회학연구 22 (3) : 111 ~ 132

  24. [학술지] 백병부 / 2013 / 학생이 지각한 교사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 40 (2) : 31 ~ 55

  25. [학술지] 백병부 / 2007 /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 교육사회학연구 17 (3) : 101 ~ 129

  26. [학술지] 백병부 / 2014 / 학교 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 / 교육학연구 52 (1) : 221 ~ 249

  27. [보고서] 백병부 / 2014 /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심으로

  28. [보고서] 백병부 / 2014 / 경기도 혁신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9. [보고서] 백병부 / 2013 /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성과 분석

  30. [학술지] 변수용 / 2008 /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18 (1) : 39 ~ 66

  31. [학술지] 변수용 / 2010 / 한국사회 고등교육 계층화의 영향요인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20 (1) : 73 ~ 102

  32. [단행본]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 1994 / 교육학용어사전 / 하우

  33. [학술지] 성기선 / 2010 /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20 (3) : 83 ~ 103

  34. [보고서] 성기선 / 2013 / 경기교육종단연구 1차년도 기초분석 보고서

  35. [학술지] 손준종 / 2010 / 한국 고등학교의 수평적 계층화에 관한 이해와 비판 / 교육사회학연구 20 (4) : 139 ~ 169

  36. [단행본] 신명호 / 2011 / 왜 잘사는 집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나?: 사회계층 간 학력자본의 격차와 양육관행 / 한울아카데미

  37. [학술지] 이현철 / 2014 /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 내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 교육사회학연구 24 (1) : 173 ~ 203

  38. [보고서] 이혜숙 / 2008 / 사교육비 실태분석 및 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39. [보고서] 이혜영 / 2004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학교와 타지역 학교의 교육격차 분석 연구

  40. [보고서] 임현정 / 2011 /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연구

  41. [학술지] 장미혜 / 2002 /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대학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구성의 차이 / 한국사회학 36 (4) : 223 ~ 251

  42. [학술지] 장상수 / 2000 / 교육기회의 불평등 :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학 34 (3) : 671 ~ 710

  43. [학술지] 조영재 / 2012 / 교육양극화 개념과 측정에 관한 논의 / 교육종합연구 10 (2) : 25 ~ 44

  44. [학술지] 조은 / 2001 / 문화자본과 계급 재생산 : 계급별 일상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 사회와 역사 60 : 166 ~ 205

  45. [학술지] 최샛별 / 2002 / 한국사회에서의 문화자본의 체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서양고전음악사례를 중심으로 / 가족과 문화 14 (3) : 5 ~ 5

  46. [단행본] Brookover, W. B. / 1979 / Schools, social systems and student achievement: Schools can make difference / Praeger

  47. [단행본] Bryk, A. S. / 1993 / Catholic Schools and the Common Good / Harvard University Press

  48. [학술지] Coleman, J. S. / 1988 /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 95 ~ 120

  49. [학술지] Coleman, J. S. / 1982 / Cognitive outcome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 Sociology of Education 55 (2) : 65 ~ 76

  50. [단행본] Coleman, J. S. / 1982 / High school achievement: Public, catholic, and private Schools Compared / Basic Books

  51. [단행본] Coleman, J. / 1966 /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2. [학술지] Edmonds, R. / 1979 /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 Educational leadership 37 (1) : 15 ~ 24

  53. [학술지] Fowler, W. J. / 1991 / School siz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3 (2) : 189 ~ 202

  54. [단행본] Freiberg, H. J. / 1999 / School Climate / Routledge Falmer

  55. [기타] Howley, C. / 1996 / Ongoing dilemmas of school size: A short story / Eric ed 401089

  56. [단행본] Jencks, C. / 1972 / Inequality: A Reassessment of the Effects of Family and Schooling in America / Basic Books

  57. [학술지] Lee, V. E. / 1989 / A multilevel model of the social distribution of high school achievemen / Sociology of education 62 (3) : 172 ~ 192

  58. [단행본] Lee, V. E. / 2001 / Restructuring high schools for equity and excellence / Teachers College Press

  59. [학술지] Lee, V. E. / 1997 / How high school organization influences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learn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 Sociology of Education 70 : 128 ~ 150

  60. [단행본] Mortimore, P. / 1988 / School matters: The Junior years / Open Books

  61. [학술지] Muijis, D. / 2002 / Teacher beliefs and behaviours : What matters? /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37 (2) : 3 ~ 15

  62. [단행본] Park, H. / 2007 / Stratification in higher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 Stanford University Press : 87 ~ 112

  63. [단행본] Raudenbush, S. / 2002 /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 / Sage Publications

  64. [단행본] Rosenthal, R / 1968 / Pygmalion in the classroom: Teacher expectation and puplis’ intellectual development / Holt, Rinehart & Winston

  65. [단행본] Rutter, M. / 1979 / Fifteen thousand hours: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 / Harvard University Press

  66. [학술지] Thornton, C. H. / 1980 / High school contextual effects for black and white students: A research note / Sociology of education 53 : 247 ~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