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48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고령자의 여가 활동 트렌드

국민여가활동조사 7년 변화를 중심으로

  • 430

한국 고령자들의 여가 활동은 소극적 여가 중심인 것으로 분석되는데, 여가 유형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n=680)과 2019년(n=1,708)의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 활동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비교하고, 적극적 여가 향유와 관련 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무엇인지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2019년 고령자들은 7년 전에 비해 소극적 여가 활동 참가율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여가는 물론 문화·예술·스포츠·취미·여행 등 적극적 여가 활동의 총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은 문화예술 관람·참여 영역이고, 증가폭이 가장 큰 것은 스포츠 관람·참여 영역이었다. 고령자의 여가가 소극적 활동만으로 구성된 사람들의 비중이 3.8%로 크게 줄어들고, 여가 활동 중 적극적 여가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가 63.8%로 7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하여 최빈수가 되었다. 여가 활동 중 적극적 여가의 구성비가 절반을 초과하는 고령자의 비율도 7.6%를 기록하여, 여가 활동의 다양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극적 여가 혼재형 또는 적극적 여가 우세형에 속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 저학력층, 저소득층, 읍면지역 거주 고령자 및 불건강한 고령자에 대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여가 지원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ost pervasiv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Korean older adults are passive.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o what extent theses patterns have changed. This study examined 7-year changes i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aged 65+). We used the Korean National Leisure Condition Survey,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set, with 680 elderly respondents in 2012 and 1,708 respondents in 2019. The participation rate in passive leisure activitie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from 2012 to 2019.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s in social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visibly increased. The proportional increase was highest for cultural and art-related leisure activities, while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increase was largest for sports activities. The proportion of older adults with only passive leisure activities decreased to 3.8% in 2019. In contrast, the proportion of those whose leisure activities included at least one active leisure activity increased to 63.8%. The proportion of those whose leisure activities mostly consisted of active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to 7.6%, implying a greater breadth of leisure activities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more effective policy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women, less-educated and lower-income individuals, rural residents, and the less-healthy.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토론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