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의 전환기에 있는 한국에서 가족 형성기 청년들의 경제적 조건과 성역할 규범이 그들의 출산 의도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베이 자료와 2019년에 수집된 심층면접 자료를 함께 사용하는 혼합방법론을 시도하였다. KGSS-연계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생계부양자 규범 전환기의 청년들은 비전형적 성별 분업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도, 돌봄을 여성의 일로 본질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이 갖는 생계부양 가치를 부정함으로써 변형된 방식으로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을 내재하고 있었다. 둘째, 청년들은 출산 결정과 관련하여 대부분 높은 수준의 경제적 불안정성 인식을 보였으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요구하면서도 불균등한 육아 부담을 전제하는 일 지향적 보수주의 규범은 여성과 남성 모두의 출산 의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간 거시적 수준에서 국가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었던 성역할 규범이 미시적 수준에서 수용되거나 변화하는 방식을 보여줌과 동시에 개인들의 출산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revious macro-level research has pointed to gender ideology as a factor behind low fertility in post-industrial countries, but how it shapes individuals’ fertility at the micro-level has yet to be examined. Using in-depth interviews matched with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data, we investigate how the interplay of subjective economic insecurity and gender ideology influences fertility intentions of young Korean adults. Despite occasional hints at preferences for atypical gender arrangements, the ideology of the male breadwinner is largely maintained by essentializing care as women"s work and denying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as breadwinning. Furthermore, a pro-work conservative gender ideology which imposes a double burden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unpaid care work on women is likely to lower both women and men’s fertility intentions, although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level of subjective economic insecur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how gender ideology at the macro level is both accepted and resisted by individuals, and thus shapes fertility intentions at the micro level.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생계부양자모델과 출산: 이론적 · 경험적 맥락
Ⅲ. 자료 및 방법
Ⅳ. 생계부양자모델 전환기의 젠더규범
Ⅴ. 변형된 남성생계부양자 규범과 출산: 젠더규범과 경제적 불안정성의 상호작용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8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300-000058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