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재무분석가가 과신성향이 높은 경영자가 제시하는 낙관적 정보에 단순히 반응하여 이익을 예측한다면 이익예측정확성이 낮아질 것이다. 반면 재무분석가가 과신성향이 높은 경영자에 대해 부정적 성과의 예측위험을 감지하고 신중하게 이익을 예측한다면 이익예측정확성이 높아질 것이다.
[연구방법]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3,992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다변량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증결과 경영자 과신성향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은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신성향이 높은 경영자에 대해 재무분석가는 부정적 성과의 예측위험을 감지하고 정보 탐색과 면밀한 분석을 통해 보다 신중하게 이익을 예측하면서 정확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추가분석을 통해 경영자 과신성향이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이익예측편의와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과신성향이 높은 경영자에 대해서 재무분석가가 신중히 보수적으로 예측하면서, 시장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낙관적 이익예측편의가 해당 기업에 대해서는 축소되고 예측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가 정보중개인으로서 투자자에게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감시인으로서 분석기업의 내부경영자를 감시하는 역할도 수행하는지를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요인으로 경영자 특성을 제시한 측면에서도 기여점이 있다. 또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과 낙관적 편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재무분석가의 예측 정보를 활용하는 투자자들과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nagerial overconfidence on the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f the analyst naively react to the information that overconfident managers provide, the earnings forecast accuracy will decrease. But if the analyst perceive the risk of the forecast concerning the overconfident manager, the analyst will forecast earnings carefully and the earnings forecast accuracy will increase.
[Methodology] The sample of this study covers firms from year 2010 to 2017 listed in either the KOSPI or KOSDAQ markets. The final sample includes 3,992 firm-years. I us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managerial overconfidenc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ccuracy. This means the analyst perceive the risk of forecast concerning overconfident managers’ negative performance, and forecast earnings with more care and more information enhancing the forecast accuracy. The additional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managerial overconfidence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alysts’ forecast error.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analyst play the role of monitoring the manager as outside stakeholder, as well as providing the forecast information for the investor as information agent. And this study found new factor, management characteristics, influencing analyst earnings’ forecas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도출
Ⅲ. 연구방법 및 데이터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25-000478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