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8.34
52.14.8.34
close menu
KCI 등재
청년층의 지역이탈과 이주지역 선택: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Migration of the Young in Ulsan Area
이상욱 ( Sangwook Lee ) , 권철우 ( Chul-woo Kwon ) , 임영주 ( Youngju Lim )
경제연구 37권 1호 43-66(24pages)
DOI 10.30776/JES.37.1.3
UCI I410-ECN-0102-2019-300-001135551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 2%」를 이용하여 울산지역 청년들이 이주를 선택하는 요인과 이주지역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주선택요인은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주지역 선택은 다항 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 중에서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거나, 남성이거나, 미혼일수록 울산지역을 떠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년들의 학력수준은 유의하게 지역이동 가능성을 높이며,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의 경우에는 지역이탈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지역 출신은 자신이 나고 자란 고향에 머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 후 경력이 1년 미만의 젊은 노동자들은 지역이탈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청년들의 이주지역 선택을 분석한 결과, 청년들은 울산지역에 비해 쇼핑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이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육 기회가 많은 지역으로 청년들이 이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타지역으로의 이주 선택에 있어서 이주 지역의 보육여건은 중요한 결정요인이 아니지만 초등교육 여건은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이주대상 지역의 낮은 주택가격상승률은 비수도권이나 비광역시, 울산인근 지역으로 이주시 지역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청년들은 청년실업률의 증가가 높지 않거나 청년실업률이 낮아지는 지역으로 이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the migration choice and of the destination choice of the young in Ulsan area using 「Census of the Population and House 2015」(2% sample). Particulary, the determinants of the migration choice is estimated by Logit model and the determinants of the destination choice is estimated by Multinomial Logit model. The estimated results show that who are relatively young, male, single, or inexperienced workers are more likely to leave Ulsan. Who are married or participate social activity or born in Ultsan male are more likely to stay Ulsan. Further, the analyses on the destination choice show that the young prefers to move to the region has the more shopping facilities and the more chance of university eduction. The daycare service of the destination seems to be not significant factor of the choice, but the primary eduction of the destination is significant factor of the destination choice. The low growth of housing price and unemployment rate of the destination may increase for the young to move into.

Ⅰ. 서론
Ⅱ. 울산지역 인구이동 현황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