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14.jpg
KCI등재 학술저널

Location Choice and Price Competition: The Case of the Gasoline Market in Seoul

  • 26

이 논문은 주유소 수준의 패널데이타를 이용하여 주요소 간 경쟁을 분석하였다.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유소 위치선정의 중요한 결정요인은 인구밀집도, 지가, 주유소 브랜드의 집중도, 개인별 자동차 소유 대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주유소의 가격은 정유사 브랜드 별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어느 정도 시장지배력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유소의 보조서비스는 주유소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한 주유소들이 제품특성이나 공간적 차별화를 통해 가격경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1km 또는 2km 반경의 주유소 밀집도는 가격경쟁을 격화시키며 균형가격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비정유사 브랜드는 균형가격에 더 큰 가격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쟁정책의 관점에서는 비정유사 브랜드의 진입비용을 낮추는 것이 시장경쟁을 제고하고 소비자 후생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We analyzed the locational pattern and price competition among gas stations in Seoul using station-level panel data. Results indicate that population density, land price, station brand concentration, and car ownership per pers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lo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brand specific price differential and it was in part attributable to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Ancillary services of st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regarding pricing decisions. This verifies that gas stations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spatial and product characteristic dimensions to soften price competition. Meanwhile, station dens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stations within a 1km or 2km radius of a station, intensified price competition and lowered equilibrium prices. Specifically, the increase in independent stations that do not use refinery brands had a much stronger competitive effect on equilibrium pr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itive policy, lowering the entry costs of independent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enhance market competition and improve consumer welfare.

Ⅰ. Introduction

Ⅱ. Model and Data

Ⅲ. Results

Ⅳ.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