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07.90
18.117.107.90
close menu
KCI 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의 연계성 분석
An Analysis on Continuity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Contents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조상연 ( Jo Sangyeon ) , 이주한 ( Lee Juhan )
초등교육연구 33권 4호 297-326(30pages)
DOI 10.29096/JEE.33.4.12
UCI I410-ECN-0102-2021-300-001252643

이 연구는 유ㆍ초 연계의 연속성(continuity)과 전이(translation)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의 교과-성취기준의 연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 1-2학년군 교육과정의 교과-성취기준은 전체적으로 70% 수준의 연계를 보였다. 즉 누리과정의 영역-내용 59개 항목 중 초등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과 잘 연계되는 것으로 분석된 것이 41개 항목(68.4%)이었고 잘 연계되지 않는 비연계로 분석된 것이 총 18개 항목(31.6%)이었다. 영역별로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과 국어교과의 연계가 약 92% 수준으로 연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연계를 보였고 신체운동ㆍ건강 영역이 약 42%로 가장 낮은 수준의 연계를 보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영역 다음으로는 사회관계 영역, 자연탐구 영역, 예술경험 영역 순으로 연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ncluded both continuity and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were linked at a 70% level overall. In other words, among the 59 items that are the areas-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41 items(68.4%) of they were analyzed to be well linked to national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a total of 18 items(31.6%) of Nuri-curriculum were analyzed as non-associated. By area,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Nuri-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ssociation with about 92%. On the other hand,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s showed the lowest level of association with about 42%. And, after the communication area, the association was found to be good in order of social relations, nature exploration, and art experience.

Ⅰ. 서 론
Ⅱ. 유ㆍ초 교육과정의 연계와 그 준거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