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4 pp.508-526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4.5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illustration course using contour drawing

Koh Woon Kim†
Visiting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Myoungji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ggon84@snu.ac.kr)
July 20, 2020 August 22, 2020 August 25, 2020

Abstract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fashion illustration education plan using the contour drawing that fosters observational ability and enables creative drawing. This study developed two illustration curriculum proposals consisting of 15 weeks, combin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ers organized a step-by-step teaching plan that utilizes contour drawing according to the three stages of fashion illustration classes: foundation courses, general courses, and intensive courses. When the contour drawing is use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foundation courses of fashion illustration, it can be used as a technique to reduce the fear of students about practical skills, induce interest in illustration, and cultivate observation ability about objects. In general process, it is combined with various tools and coloring materials to strengthen expression power,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detailed expressions and illustrations about human body and clothing. In intensive courses, it is expanded to the production of creative works with new aesthetics through digital techniques and mixed materials. As such, the contour drawing is expan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and goals of each step, and is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Contour drawing has the effect of acquiring observ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it is analyzed as a technique that enables the production of creative illustration of students.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 개발 연구

김 고 운†
명지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객원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패션 관련 디자인 산업이 확장되는 동시에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창의적, 자 기주도적 대학 교육에 대한 소구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 패션 관련 대학 및 전공교 과는 그 다양성과 전문성에서 세분화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대학 교과 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과목은 인체와 의복의 표현 기법의 습득이라는 1차적인 영역에서 나아가 창조적 발전가능성을 갖고 있는 패션산업이며 동시에 예술로 서 독자적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 한편, 패션 및 의 류학 전공 학생들의 다수가 입시미술을 경험하거나 미술전공자가 아님에도 4년의 대학과정 중 기초 인체 드로잉이나 관찰력을 도모하는 기초과정 교과개설이 대부분 부족함에 따라(Kim, 2008) 이를 보완하는 효 과적인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즉, 창의적 일러스트레 이션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학생의 관찰력 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드로잉의 기법의 접목이 필요 하다. 다양한 드로잉 프로그램을 접목하는 것은 학생 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이는 창의적 표현을 하는 데 필요한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잠재된 직관 및 감각에 영향을 미치며, 조형의 기초적인 표현력을 길러주어 자기의 느낌과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특히 비실기 전형으로 입학한 패션 및 의 류학 전공 학생들이 경험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을 줄이고, 실기교과에 흥미를 가지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효과적 인 교과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찰력을 함양하고 창의적인 드로 잉을 가능하게 콘투어 드로잉(contour drawing)에 주 목하였다. 콘투어 드로잉은 그리는 동안 대상에서 눈 을 떼지 않고 하나의 연속된 선으로 물체의 외곽을 그 려나감으로써 눈과 손, 즉 시각과 촉각의 협응을 통해 개성적이며 동시에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드로잉을 표 현하는 기법이다(Lee, 2004). 이에 대상의 모사와 재 현이 아닌 창의롭고 자유로운 선을 활용하는 기법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선 행연구를 살펴보면 좌뇌 중심 교육 프로그램 및 환경 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 개선안으로 우뇌를 활용 하는 에드워즈의 사고원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개 발하는 연구(Baik, 2006;Han & Park, 2019;Hwang, 2012;Kim, 2012;Park, 2017)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주로 아동이나 혹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미술교과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학을 대상으로 인체 그리고 인체를 포함하는 패션 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션 전공 교과에 우뇌 중심 의 콘투어 드로잉을 접목한 학술연구는 Park(2013)의 연구 외에는 부재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과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 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실증적인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패션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콘투어 드로잉을 활 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에 실제 콘투 어 드로잉을 접목한 4개 대학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를 사례로 세부교과내용 및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우뇌 중심의 콘투어 드로잉의 교육적 가능성 과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실기 전형 전공생들을 위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안을 구축 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과과정 및 학생 작품의 사례는 국내 D대학교, S대학교, C대학교, M 대학교 의류학과 및 의상디자인 전공에서 2008년에 서 2020년 사이에 운영된 패션 드로잉 및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 수업과 그 결과물이다. 이 중 D대학교, S 대학교, C대학교는 비실기 전형으로 입시미술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의 효과 적인 분석을 위하여 실기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로 구성된 M대학교의 사례를 함께 분석하였다. 교과목 을 수강한 학생들의 결과물은 사진파일로 수집하였으 며 2,000여장의 이미지 중 촬영상태 및 화질 등의 기 준에 맞춰 연구에 활용 가능한 이미지 527장을 추출 하였다. 본 수집자료는 1차적으로는 각 학교의 연도 별 교과목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 결과물을 다시 통합 하여 이론 및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분된 기초․일 반․심화 과정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다시 일러스트레 이션 교육과정과 과정별 수행한 콘투어 드로잉의 단 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 때, 학교별 실기-비실기 전 형에 따라 입시미술이 훈련된 학생인가에 대한 여부 를 하위 세목으로 두어 교육안의 구축 및 적용에 있어 참고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 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패션 드로잉 및 일러스트 레이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각 교과의 학습목표 및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콘투어 드로잉의 개념과 표현기법을 밝히고 우뇌 중심의 드 로잉 기법으로서 콘투어 드로잉의 특성을 확인한다. 셋째, 선행 교육안 분석과 수업사례 및 실제 수업의 결과물들을 중심으로 패션 전공 교과목에 콘투어 드 로잉을 접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의 교육안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안으로 창의력이 요구되는 패션 전공 학생들의 드로잉 능력을 함양하 는 교육기법으로 실질적으로 적용가능 하며, 학문적 관점에서는 패션 전공 교과의 세분화와 다양화를 위 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Ⅱ. Background

    1. Prior studies and case studies on the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 관련 정보 및 이미지 를 그려내는 것에서 나아가 예술 작품, 매거진용 삽 화, 광고 등 사회전반에 걸쳐 그 활용 영역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창조적이며 효과적인 패션 일러스트 레이션 교과 및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많지 는 않으나,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오고 있다.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은 인체에 입혀진 의복을 구체적으로 그려 내는 착장화로, 일반적으로 스타일화라고 칭한다. 그 러나 현대에 와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예술적 목 적의 전람회나 장식용 그리고 광고, 매거진용 삽화를 위한 상업 디자인, 제품 디자인 등에 활용되는 등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Kim, 2008). 이와 같은 패션 일 러스트레이션을 교육하는 수업의 과정은 시각예술 전 반의 기초로, 대상을 정확하게 미적으로 관찰하는 훈 련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 교육 과정 내에서 패션 일 러스트레이션 교육은 관찰을 통한 시지각의 기초 훈 련을 통하여 인체의 비례, 형태 및 비율을 표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의복을 묘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교과목이다(Lee, 2003). 국내 대 학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의 학습내용과 이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학습목표와 역량을 확인하고자 선행연구와 더불어 대학의 학과 홈페이지 및 수강편 람, 전공별 로드맵 등을 바탕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 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내 대학의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 교육 현황에 대해 연구한 Kim(2008)에 따 르면 이러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은 각 대 학 및 전공의 교육목표에 따라 명칭이 분류되며, 크게 기초과정과 일반과정, 그리고 심화과정으로 나누져 있음을 설명한다. 후술할 사례인 4개 대학의 패션 일 러스트레이션 교과과정 또한 개설된 과목 수에 따라 단계의 구성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교과의 구성에 있 어 아래의 기초․일반․심화과정의 세부교육내용과 교육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초 교육과정은 드 로잉의 포괄적 개념을 습득하는 기초 과목으로, 인체 및 사물의 묘사 등 대상을 정확하고 미적으로 관찰하 는 기초 훈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초 이론과 실기를 통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의상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기본 과정의 교과라고 할 수 있다. 패션 은 인체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작업으로서 인체 구조 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패 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본 교육은 인체의 비례와 특 징을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인 체 비례에 대한 이해와 균형, 운동의 조화로운 표현에 중점을 두어 교육한다.

    둘째, 기초과정의 습득 이후 수행되는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의 일반과정은 디자인 발상을 위한 창의력을 개발하고 학생 개인이 디자인한 의상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능력을 체득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다양한 표현도구로 표현기법을 익혀 용도에 적합한 의상을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 다(Kim, 2008;Kim & Park, 2005). 일반과정에서는 선행한 기초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의복을 효과적 으로 시각화하고 디자인 교과와 연계되는 능력의 함 양으로서 패션 감각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재료나 소재별 표현방법을 익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패션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는 설명적 형 식의 도해인 도식화를 익히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최 근 디지털 메소드를 활용한 도식화 혹은 작업지시서 의 제작이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패션 일러스트레이 션 수업에서의 핸드 드로잉을 활용한 도식화의 제작 비중은 비교적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디지털 패션 관 련 혹은 패션 CAD수업에서의 도식화 습득이 강화되 고 있다.

    셋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의 심화과정은 창 조적 기법과 다양한 표현 도구를 활용한 창작표현과 실무를 대비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제작 과정으로 연 장된다. 선행과정에서 습득한 표현 능력들을 기반으 로 다양한 콘셉트에 따른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작품 의 제작으로 확장되는 과정으로, 개성의 표출 및 효과 적인 아이디어의 전달을 위해 전통적 표현기법인 핸 드 드로잉 기법뿐 아니라, 디지털시대의 표현기법 등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표현기법(Kim, 2011)의 개 발이 시도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4개 대학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관련 교과과정 사례를 살펴보면 위에 서 도출한 세 단계의 교육과정이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이수 학년 및 개설된 교과의 수에 따라 각 단계의 적용에서 위의 <Table 1>과 같이 차이가 나타난다. 입시전형에 따른 실기 미술의 훈련 경험여부와 함께 살펴보면, D대학교, S대학교, C대학 교는 비실기 전형으로 학생들은 드로잉에 대한 기초 훈련이 부재한 상태이다. 반면 M대학교는 실기 전형 으로 학생들은 입시 미술을 통한 기본드로잉 및 재료 표현에 대한 습득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교과의 편 성에 있어서도 각각 4개, 2개의 일러스트레이션 관련 과목이 개설된 것에 비하여 M대학교는 1학년을 대상 으로 하는 1개의 일러스트레이션 과목만이 개설되어 있다. M대학교의 경우, 4학년에 개설된 크리에이티브 포트폴리오 수업에서 심화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다루기는 하나, 이것은 학생 개별 프로젝트 작업으로 서 학생의 진로에 따라 일러스트레이션을 주제로 작 업을 전개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교과로, 본 연 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의 전공교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연구의 대상에서는 제 외하였다.

    세 단계의 교육과정의 구성을 살펴보면, 비실기 전 형의 D대학교, S대학교, C대학교의 경우, 저학년에는 패션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인체를 관찰하고 표현하는 연습과 인체 묘사능력을 기초로 하는 의복의 표현을 습득하는 기초-일반 과정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 을, 그리고 고학년에서는 각종 일러스트레이션 테크 닉의 응용과 독창적인 작품의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심화과정을 개설하였다. 반면, M대학교의 경우, 한 과 목 안에서 기초․일반․심화과정을 모두 다루고 있 어 입시 전형에 따른 학생의 미술 훈련 여부가 교육안 의 구성에 있어 서로 다르게 구축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국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Choi, 2005;Joung & Park, 1997;Kim, 2008;Kim & Park, 2005;O, 2013)들은 공통적으로 패션 전공자 의 디자인 표현력 향상을 위해서는 인체구조 및 비례 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형태를 표현하는 능력을 함 양하기 위한 드로잉 기초수업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대부분의 패션 전공자들은 입시 미술을 준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에 비해, 1~2년 동안 2~3과목의 교육과정 이수만으로 인체의 표현에 서부터 의복 착장 표현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재료 의 구사, 다양한 패션 이미지 연출까지의 학습내용을 단기간에 습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을 밝히고 있 다. 즉, 인체 드로잉 혹은 기초 드로잉 등의 기초과정 을 보강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드로잉 교수법을 적용 하여,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비실기 패션 전공 학생들 이 보다 체계적으로 또한 실기교과에 대한 어려움 없 이 인체 및 의복 표현에 대해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안이 필요하다. 또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영 역을 단순히 인체표현이나 스타일화의 표현에서 나아 가 창의적인 예술영역이자 패션 산업시스템에 적용가 능한 작업의 관점으로 보자면, 기존에 수행되는 좌뇌 중심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대안으로 효과적이고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이상 적으로 여겨져 온 9~12등신의 인체비율을 공식처럼 표현하는 좌뇌 중심의 드로잉에서 나아가 개성과 창 의력을 함양시키는 교육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패션 전문인으로서 패션 일러스트레이터의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세분화되고 심화된 교과의 추가적인 편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전 공을 편성해야 하는 학제 시스템 하에서, D대학교처 럼 학년별로 일러스트레이션 교과가 개설되는 것은 특수한 경우로, 실질적으로는 1~2과목 이상의 일러스 트레이션 교과목을 편성하는 것은 어렵다고 볼 수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 으로 위의 4개 학교, 특히 비실기 전형의 패션 전공생을 대상으로 한 3개 학교의 교과 과정 및 작품사례를 분 석하여 15주차로 구성된 기본-일반과정 그리고 심화 과정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안을 구성하고자 한다.

    2.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ntour drawing

    콘투어(contour)의 사전적 의미는 윤곽, 외형, 윤곽 선, 지형선 등을 뜻하며, 콘투어 라인(contour line)이 란 소묘나 그림에서 형태나 형태 집단의 테두리를 나 타내는 선을 의미한다(Park, 2013). 즉, 윤곽선을 중심 으로 그림을 그려내는 것을 콘투어 드로잉이라 한다. 콘투어 드로잉은 1941년 Kimon Nicolaides가 그의 저 서인 ‘The natural way to draw: A working plan for art study’에 소개한 드로잉 방법이다. 이 드로잉 방법 은 학생들이 시각과 촉각을 함께 쓰도록 유도하여 마 치 그림을 그리는 학생이 모델의 인체를 더듬어 가는 상상을 하면서 아주 천천히 그리는 방법으로서 논리 적이고 분석적인 기능을 가진 속도를 좋아하는 왼쪽 뇌의 활동을 정지하게 하고, 창의적이고 무의식적이 며 직관적인 기능을 하는 오른쪽 뇌가 활동하도록 유 도하는 드로잉 법으로서 사실적 묘사에 얽매여 드로잉 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표현 방법이다(Lee, 2004). 블라인드 드로잉(blind drawing) 혹은 순수 윤곽 드로잉(pure contour drawing), 무의식 드로잉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명칭에서 짐 작할 수 있듯이 대상이 되는 윤곽 즉 물체의 경계를 선으로 그려나가는 드로잉 기법을 뜻한다.

    Edwards(1979/2017)는 니콜레이즈가 제안한 콘투 어 드로잉을 우뇌로 그림을 그리는 5가지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의 기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Edwards는 뇌 의 사고방식의 특성에 따라 좌뇌의 특징을 ‘L-모드’ 로, 우뇌의 특징을 ‘R-모드’로 지칭한다. L-모드는 몸 리적이고 이성적이며 언어적이고, 분석적인 특징을 가 지며, 반면 R-모드는 비언어적이며 직관적이고 감성 적이며 창의적인 측면이 강하다(Edwards, 1979/2017).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주로 지각된 형태를 시각화하 기 위해 뇌가 주관적인 상태로 바뀜으로써 가능해지 는데, 이때 우뇌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 다. 우뇌의 특성이 감성적, 직관적, 시각적, 공간적, 종 합적, 창의적, 구체적이라고 한다면, 드로잉 즉 그림 을 그린다는 것은 우뇌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대부 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Jeon, 2007). 이에 Edwards 는 그림을 그리려는 방법으로 우뇌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지각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을 위 해 새롭게 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인지된 대 상을 그리는 기본 기술로써 ‘경계’, ‘공간’, ‘관계’, ‘빛 과 그림자’, ‘형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계’는 대상의 윤곽을 파악하여 대상을 인지하는 것 을 의미한다. ‘공간’은 대상을 둘러싼 주변 공간을 인 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는 물체와 물체 혹은 물 체와 공간의 비례를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빛과 그림자’는 대상의 명암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 지막 ‘형태’는 종합적인 것으로 위의 네 가지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사물의 ‘객관적 실재성’을 인식하는 것 을 의미한다. 이 다섯 가지 방법의 가장 첫 단계가 바로 ‘경계’ 즉 윤곽을 그려내는 콘투어 드로잉이다(Edwards, 1979/2017;Han & Park, 2019).

    콘투어 드로잉은 Nicolaides의 저서에 소개된 이후 미국의 미술 담당교사들이 널리 사용하면서 알려진 방법으로 미국뿐 아니라, 유럽 등 전 세계의 미술교과 및 미술대학에서 활용되는 기초드로잉 교육방법이다.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교육 방법이 인정을 받게 된 것은 기초실기를 배운 경험이 없는 학생들도 쉽게 배 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찰력과 그림실력이 빠르게 향 상되기 때문이다. 콘투어 드로잉을 위해 학생들은 짝 을 지어 서로의 모습을 보면서 드로잉을 하거나, 그룹 을 지어 대상이 되는 실물 혹은 실제 모델이나 인물을 세워놓고 드로잉한다. 혹은 <Fig. 1>과 같이 거울을 활 용하여 자화상에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하거나 사진을 관찰하며 그려보기도 한다. 특히 블라인드 콘투어 드 로잉은 그리는 동안 대상물에서 눈을 떼지 않고 한 형 상을 다 그리기 전에는 도구를 도화지에서 떼지 않고 연속된 선으로 그려나가는 방식이다. 이때 대상물에 서 눈을 떼지 않기에, 선은 중첩될 수 있으며 형태의 표현을 위해 그려놓은 선을 지우개로 지우고 수정하 지 않는다(Lee, 2004).

    드로잉 학습은 사물을 관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관찰은 모든 예술 작업의 기본이며 시각예술을 형성 하는 기반이 된다. 학생들은 자신이 인지하는 이미지 를 의도대로 표현하지 못하면 본인의 시각적인 능력 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로 인해 당황하여 주눅 이 들거나 그림그리기에 대한 자신감이 줄어들고, 결 국 드로잉에 소질이 없다고 단정 짓게 된다. 하여 일 반적으로 그림을 잘 그리기 위해서는 선천적인 재능 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배워서 익히는 기술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Maslen & Southern, 2013/201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바른 관찰을 훈련 하는 콘투어 드로잉을 통한 연습이 필요하다. 콘투어 드로잉은 시선이 대상물을 따라 움직이는 동선을 그 대로 손이 잡고 있는 도구가 천천히 따라가며 그 윤곽 을 자세하게 표현해낸다. 이때 정확한 형체의 재현보 다는 형태에 대한 고정관념을 배제하고 관찰을 통해 시선의 움직임을 윤곽선으로 그려내는 것에 집중함에 따라 <Fig. 2>와 같이 어지럽고 정돈되지 않은 드로잉 이 나오게 될 확률이 높다. 기존의 그림실력과 상관 없이 대부분의 콘투어 드로잉은 결과물을 중간에 확 인할 수 없는 표현기법의 특성상 그림을 그리는 사람 의 예상과는 완전히 다른 결과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실물의 재현과 완벽한 묘사력이 콘투어 드로잉의 성취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아니므로 학생들은 잘 그 린 그림에 대한 부담감을 버리고 선을 그려내는 데에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된다.

    Ⅲ. Development of a Step-by-step Fashion Illustration Course with Contour Drawing

    본 장에서는 먼저 콘투어 드로잉을 적용하여 교육 안을 구축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 션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의 단계 즉 기초-일반과정, 심 화과정이라는 범주에 따라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하는 2과목의 단계별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수업안을 구성 하였다.

    1. Subject development applying contour drawing

    콘투어 드로잉은 서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 초․중․고등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내 기초 표현 및 창의적인 드로잉을 위한 교육안으로 주로 제안되고 있으며, 대학 교육에 있어서는 인체의 형과 동세 표현 이 중요한 애니메이션 관련 교육 과정에 접목되어 활 용(Moon & Kim, 2008;Park, 2015)되고 있다. 대학 교육 특히 패션 전공을 대상으로 우뇌 중심의 콘투어 드로잉이 활용된 연구 사례로는 Park(2013)의 연구가 대표적이며, Chang(2001)의 저서 ‘패션 크로키’에 윤 곽 드로잉에 대한 교육방법이 일부 언급되어 있다.

    먼저 주로 많이 활용되는 국내 초․중․고등 교육 과정 내 콘투어 드로잉의 활용을 살펴보면, 실제 콘투 어 드로잉을 포함하는 우뇌 중심 드로잉 기법은 아동 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수업에 주로 적 용되고 있다. 연구자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 교과 사례연구의 효과적인 분석에 있어 아동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보다는 최소 고등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하 는 교육안과 사례들을 분석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드로잉 기법이 적용된 연 구의 전공분야를 살펴보면, 상술한 Park(2013)의 연구 를 제외하고는 디자인 전공 및 애니메이션 전공을 중 심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전공분야는 상이하 나, 이들의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인 교육안의 구축과 사례분석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콘투 어 드로잉을 포함하는 우뇌중심의 그리기를 접목한 고등학생 미술교과 또는 미술전공 대학 교과 연구들 을 살펴보면 대부분 Edwards(1979/2017)의 우뇌 중심 드로잉의 5단계의 기법이 그대로 교육안 전체에 순차 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디자인과 입학 학생을 위한 6차시의 드로잉 워크숍 을 구성한 Park(2017)의 연구를 살펴보면 우뇌로 그 림그리기의 5단계를 따라서 각 차시별 4시간이 소요 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이전단 계 과정으로 마음대로 그리기, 선 흉내내서 그리기 등 평소 실력으로 그림을 그리는 단계로 이 단계의 결과 물이 교육과정 종료 후 비교 평가의 지표가 됨을 밝히 고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윤곽선 그리기로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과 수정된 콘투어 드로잉을 통해 손과 식물 등을 그리는 과정이다. 세 번째 단계는 뷰파인더 이용하는 것으로 시각적으로 길이감, 너비 등을 상대 적으로 비교하여 원근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네 번째 단계는 여백 그리기로 여백 보고 사물 그 리기, 초상 거꾸로 그리기, 옆얼굴 그리기로 구성된 다. 다섯 번째 단계는 명암연습으로 사과를 든 손을 그린다. 여섯 번째 단계는 자신의 얼굴을 보고 자화상 을 그리는 단계이다.

    선행 교육안 특히 Park(2017)의 연구사례와 결과를 살펴보면 두 번째 단계의 콘투어 드로잉 이후의 단계 의 결과물들은 형태, 명암, 원근감 등을 활용하여 실 제와 최대한 가깝게 그리는 기존의 좌뇌 중심의 수업 을 통해서 획득하고자 하였던 결과물과 유사한 형태 를 보인다. 즉, 우뇌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이 개성과 창의력을 가진 드로잉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실물과 최 대한 동일하도록 모사하는 능력을 위한 과정으로 활 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우뇌로 그림을 그리는 다섯 단계 중 사물의 윤곽에 집중하는 콘투어 드로잉에 보다 집중하여 교육안을 구축하였으며, 이 는 실제 형, 명암, 원근 등의 관점에서 대상을 재현하 는 드로잉은 아닐지라도 관찰력과 창의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인 콘투어 드로잉의 집합적인 활용이 패션 전공 내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에서는 더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패션 교육에 활용된 Park(2013)의 연구를 살펴보면 P대학교 1학년 전공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 초드로잉 과목에 대한 수업사례를 확인 할 수 있다. P대학의 신입생들은 비실기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 로, Park(2013)은 기초-발전-응용단계로 나누어 15주 과정의 수업사례를 연구하였다. 기초단계는 기본적인 선, 명암, 구 등을 그리는 단계로 일반적인 기초드로 잉 수업의 소묘 연습 및 명암 표현단계와 유사하다. 발전단계는 콘투어 드로잉을 접목하는 과정으로 옆사 람의 얼굴, 손, 자화상 등이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때 Edwards(1979/2017)의 우뇌 중심 드로잉 기법 중 일 부인 왼손그리기와 거꾸로 그리기를 함께 병행하였 다. 마지막으로 응용단계는 전신포즈에 대한 훈련으 로 이루어지며, Edwards(1979/2017)의 우뇌 중심 드 로잉 기법인 사진자료를 보지 않고 관찰 후 암기하여 그리는 기법, 거꾸로 그리는 기법, 왼손 그리기 기법 등이 진행된다.

    본 연구는 콘투어 드로잉 기법을 중심으로 비실기 패션 전공 학생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사례를 분석하 고 교육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Park(2013)의 연구와 유사사한 맥락을 지니는 한편, 교과 과정의 세부 내용 와 교육 목표에서는 차이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가 제 안하는 기초-일반과정의 단계를 포함하는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 교육안(Table 2)은 기존 입시미술 혹은 좌 뇌 중심의 교육에서 활용된 소묘 형식의 선 연습, 명 암표현, 원근 표현을 위한 훈련을 배제한다. 즉 Park (2013)의 연구 중 기초단계에 해당하는 과정이 포함 되지 않는다. 수업 시작과 함께 고정된 스테레오타입 의 선과 형의 재현보다는 콘투어 드로잉을 먼저 접함 으로써 종이와 친숙해지고 드로잉에 대한 흥미를 불 러일으키기 위함이다. 드로잉의 대상에 있어서도 얼 굴, 손, 전신을 포함한 신체와 함께 패션을 구성하는 의복과 디테일, 소재 등에 집중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고유한 특수성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패션 일러스트레 이션 교육과정 중 심화 단계는 학생 개인의 자기주도 적 작업으로서 창의적인 콘셉트와 일러스트레이션 표 현 기법이 반영된 아트워크로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 션의 제작과 패션 제품으로의 실용화 과정을 수행한 다. 기초-일반 단계에 이어 확장된 범주의 패션 일러 스트레이션 교과 과정을 제안하는 것이 본 교육안의 특징이다. 15주차로 구성된 2개 교과목의 수업단계는 각각 <Table 2> 및 <Table 3>과 같다.

    2. The steps and detailed learning contents of the fashion illustration course applying contour drawing

    1) Fashion illustration course with contour drawing: Foundation-general stage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 과: 기초-일반 단계(이하 기초-일반 교과)’는 실기에 대한 학생들의 두려움을 줄이고,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동시에 대상에 대한 관찰력을 함양하는 과정이다. 인체에 대한 단계적 접근과 함께 다양한 도구 및 채색재료와 결합하여 표현력을 강화 하고, 인체 및 의복에 대한 디테일한 표현 및 개성 있 는 스타일화의 제작이 교과목표이다.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초-일반 교과는 1주차의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에 대한 이론적인 개괄과 함께 수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진행 이후, 크게 6개 단계의 실습과정 으로 진행된다.

    ① 1단계: 2-3주차에 진행되는 1단계는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통한 선 연습과 얼굴 및 손 그리기 연습이다. 웜 업 단계 혹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수업 의 시작단계에서 활용하는 콘투어 드로잉은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으로 그리고자하는 대상물에서 눈을 절 대 떼지 않고 시선을 따라 손을 움직이며 그리는 동안 내가 그려내는 작업물을 절대 확인하지 않는 것이 원 칙이다. 즉, 정확한 대상물의 형태를 재현하는 것이 주된 목표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옳은 형태 혹은 잘 그린 그림이라고 생각해왔던 기존의 인식 대신 정확 한 형태는 아니더라도 천천히 눈에 보이는 부분을 선 으로서 그려내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사전에 지니 고 있는 지식이 개입되어 관찰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 는 것이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의 목표이다.

    관찰하는 대상의 규모와 범위가 커질수록 선의 세 밀한 표현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작 단 계에서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은 전신보다는 얼굴 을 중심으로 그려낸다. 이때, 실물을 보면서 그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데, 학생들끼리 두 명씩 짝을 짓거 나, 소그룹을 형성하여 실제 얼굴을 관찰하며 그리는 것이 좋다. 혹은 거울을 보면서 학생 본인의 얼굴을 그려볼 수도 있다. 실물을 그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 진이나 잡지 화보 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이때 해상 도가 낮은 사진이나 사이즈가 작은 사진은 세밀한 표 현을 하기에 방해가 되므로 사이즈가 크고 해상도가 높은, 두상에서 얼굴 전체가 잘리거나 생략되지 않은 사진을 활용한다. 도구는 4B연필을 사용하며 소묘나 데생 시 비스듬하게 연필을 잡는 방법이 아닌, 일반적 으로 글씨를 쓸 때 연필을 쥐는 방식으로 균일하게 힘 을 주어 선을 그린다. 형태의 수정을 위해 지우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드로잉의 사이즈는 최소 A3 크 로키북에서 4절지 사이로, 너무 작게 그리지 않도록 지도한다.

    다양한 각도와 표정의 얼굴의 연습과 함께 손을 그 리기도 하는데, 첫 단계로는 왼손으로 포즈를 잡고,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으로 다양한 손의 모습을 표 현한다. 다음 단계로는 반대로 오른쪽 손으로 포즈를 잡고, 왼손으로 드로잉을 진행해본다. 손 표면의 주름 이나 포즈에 따른 형태들을 천천히 그려나갈 수 있도 록 지도한다. 손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 을 적용하여 선 연습과 관찰 훈련을 한 학생 작품의 사례는 <Fig. 3>과 같다. 1단계에서는 얼굴과 손을 중 심으로 오른손과 왼손을 번갈아가며 블라인드 드로잉 을 습득한다.

    ② 2단계: 4-5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2단계는 블라 인드 콘투어 드로잉과 더불어 변형된 블라인드 콘투 어 드로잉을 활용하여 인체 각 부분의 세부 형태를 표 현하는 연습을 진행한다. 이전 단계의 얼굴과 손에서 발, 다리, 팔, 상체, 하체 등 표현의 대상이 되는 신체 의 범위를 확장한다. 이는 인체의 골격 및 구조에 대 한 이해에 앞서 직관적으로 신체의 형과 인체의 곡선 을 인지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1단계와 마찬가지로 실물을 대상으로 드로잉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상황 에 따라 사진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기초단계에서 는 다양한 포즈의 실제 신체를 대상으로 연습하는 것 이 좋다.

    본 단계에서는 관찰의 대상을 확장하여 새로운 인 체의 형을 드로잉하는데에 있어 1단계에서 활용한 블 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먼저 활용하여 관찰연습을 통한 형태를 인지한다. 2~3회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 로잉을 통한 연습이 끝나며, 변형된 형태의 블라인드 드로잉을 진행한다. 이것은 1단계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이 진행되는 작업을 전혀 쳐다보지 않는 형식 에서 약간 변형된 것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중 선의 방향이나 형을 결정할 때에 잠깐씩만 작업물을 확인 하는 드로잉 기법이다. 같은 사진 <Fig. 4>를 보고 그 린 <Fig. 5>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과 <Fig. 6>의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 결과물을 보면 알 수 있 듯이,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이 작업물의 전혀 확인 하지 않아 대상물의 형태 표현이 대부분 인지되지 않 고 완전히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나온 것과는 달리, 변형 블라인드 콘두어 드로잉은 잠깐씩 작업물의 방 향과 형을 확인하며 그림을 그려나감에 따라 대상물 의 비율이나 비례는 완벽하지 않으나 인식 가능한 어 느 정도의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기존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 과정 중, 필요한 경우 잠깐만 학생이 드로잉 작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 하는 것으로 작업물을 보고 그리는 시간이 길지 않도 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이상적인 비 율이나 형태의 재현은 아니지만, 개성있는 새로운 미 감의 일러스트레이션이 등장하기도 한다.

    2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물 혹은 사진, 패 션 화보 등을 참고하여 얼굴과 손이 함께 등장하는 상 체 부분, 손에서 연장되는 팔, 발에서 연장되는 다리 등으로 신체를 부분으로 나누어 연습을 반복한다. 드 로잉의 사이즈는 최소 A3 크로키북에서 4절지 사이 로 진행한다. 1단계의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이 작 업을 전혀 보지 않은채로 진행됨에 따라 스케치북 내 에서 사이즈가 지나치게 작게 그려지거나 크게 그려 지는 경우가 있었던 것에 비해, 2단계의 변형 블라인 드 콘투어 드로잉은 작업의 확인이 일부 가능함에 따 라 비교적 작업 공간 안에 알맞은 규모로 드로잉이 진 행될 수 있다. 관찰하고 표현하는 대상에 따라 짧게는 3분에서 길게는 10분까지 시간을 조절하며 진행한다. 교수자는 시간을 체크하고, 학생들에게 남은 시간을 공지하여 드로잉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다른 학생들에 비해 작업시간이 짧은 학생의 경우 세 밀한 묘사와 관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대상 물을 디테일하게 관찰하면서 충분히 드로잉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 하여 인체 부분을 표현한 사례는 아래의 <Fig. 7>과 같다.

    ③ 3단계: 6-8주차에 진행되는 3단계는 변형 블라 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통한 인체 포즈의 관찰과 표현 을 훈련하는 과정이다. 신체 전신을 대상으로 하는 변 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으로, 다양한 포즈의 인체 와 함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나 스타일화에서 주로 많이 활용하는 패션 포즈들을 관찰하고 연습하는 과 정이다. 실물 모델을 관찰하거나 혹은 신체의 윤곽이 잘보이는 사진을 활용한다. 두상, 손, 발 등이 생략되 거나 잘리지 않은 전신의 사진을 활용한다. 관찰하는 대상의 규모가 전신으로 확장됨에 따라 학생들의 형 태 표현에 생략이 많아지거나 디테일한 관찰을 놓칠 수 있으므로, 이전 단계에서의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드로잉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특히 전신을 표 현하게 되면서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바디이미지나 비 율을 표현하는 것에 집중을 하게 되고, 콘투어 드로잉 이 가지는 개성적이면서 리듬감 있는 선의 사용을 놓 치는 학생들이 생기게 되므로, 실습 중에 인체의 실제 비율 혹은 이상적인 비율의 표현이 아닌 신체의 구조 와 형을 눈에 익히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반복적 으로 강조한다. 다양한 포즈의 인체를 표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신체의 기울기와 움직임에 따른 형의 변 화 등을 인식하게 된다.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 을 활용하여 다양한 포즈 및 패션 포즈의 인체를 표현 한 사례는 <Fig. 8>과 같다.

    ④ 4단계: 9-10주차에 걸친 4단계는 콘투어 드로잉 을 활용한 패션 피겨와 의복에 대한 드로잉 훈련이다. 일반과정의 첫 단계로 인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인체를 둘러싼 의복의 표현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채 색도구를 활용한 소재 및 문양의 표현 이전에 먼저 선 행되어야 하는 스케치로서, 신체의 입체적인 형과 기 울기를 따라 변화하는 의복의 움직임, 포즈와 함께 움 직이는 의복 구성선, 소재에 따른 두께감이나 경연감, 의복의 디테일 등을 관찰하여 표현하는 과정이다. 포 즈에 따른 옷의 주름 등을 관찰하고 눈에 익히게 된 다. 특히 이 단계는 옷의 구성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 는 1~2학년 학생들이 의복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의 복을 관찰하고 직관적으로 이를 표현하는 반복과정들 을 통해 의복 표현에 대한 이해력을 신장시킨다.

    기초과정 교육과 마찬가지로 실제 모델과 착용한 의상을 대상으로 드로잉하며, 상황에 따라 패션 이미 지나 패션화보의 활용도 가능하다. 이때 신체에서 생 략되는 부분이 없도록 전신을 대상으로 인체와 의복 을 그리는 연습을 반복한다. 소재에 대한 이해력과 표 현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상반되는 소재의 이미지를 준비하도록 지도한다. 예를 들어 러플이나 플라운스 등 의복의 드레이퍼리성을 강조하는 이미지를 수집하 여 연습한다고 할 때, 얇고 가벼운 원단의 의복을 착 용한 이미지와 무겁고 두꺼운 원단의 의복을 착용한 이미지를 같이 연습한다. 짧게는 5분에서 길게는 10 분 정도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하는 반복 과 정들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소재에 따른 의복 의 형태와 실루엣의 표현을 체득하게 된다. 또한 의복 내 디테일의 표현에 있어서도 막연하게 인식하던 고 정된 형태에서 벗어나 포켓, 버튼, 지퍼, 칼라 등을 자 세히 관찰하게 된다.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하여 다양한 포즈와 의복을 표현한 사례는 아래 의 <Fig. 9>와 같다.

    ⑤ 5단계: 11-12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5단계는 개 성있는 패션 피겨의 스케치와 채색 표현기법을 습득 하는 과정이다. 스타일화의 제작에 있어 변형 블라인 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하여 캐릭터 강한 페이스 스 타일링, 개성적인 신체 비율 등을 표현할 수 있다(Fig. 10). 과거 스타일화의 제작에 있어 9~12등신의 가늘 고 긴 피겨가 일반적이었다면 최근에는 비교적 실제 의 비율에 가까운 피겨가 함께 병용되고 있다. 표현하 고자 하는 패션 콘셉트에 따라 활용하는 피겨의 비율 이나 스타일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패션 콘셉트를 더 욱 강조할 수 있다. 스트릿 무드를 반영한 캐주얼 무 드, 키치적인 무드 등에 변형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 을 활용한 피겨를 접목하여 콘셉트를 더욱 효과적으 로 강조할 수 있다. 패션 콘셉트 혹은 표현하고자 하 는 소재, 색채 등을 채색기법의 활용과 더불어 개성있 는 패션 스타일화 표현으로 확장시키는 단계이다.

    ⑥ 6단계: 13-15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과정으로 콘 투어 드로잉을 활용하여 창의력을 동반한 작품성이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눈에 보 이는 모든 것을 디테일하게 표현했던 기초단계에서 확장된 과정이다. 창작자로서 학생의 창의성과 표현 의도에 따라 드로잉은 왜곡, 과장, 생략 등이 가능하 다. 또한 표현 기법에 있어서도 4B 연필 이외에 펜, 색연필, 수채 색연필, 마커 등의 다양한 표현재료를 접목하거나 채색하여 <Fig. 11>과 같이 드로잉 자체로 하나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할 수도 있다. 예 를 들어 수성펜이나 수채색연필로 콘투어 드로잉을 진행한 후 그 위에 수채화 물감이나 물을 활용하여 번 지는 효과를 추가하여 드로잉의 표현을 보다 풍부하 게 만들 수 있다.

    2) Fashion illustration course with contour drawing: Intensive stage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 과 : 심화 단계(이하 심화 교과)’는 기초-일반 교과 이 후에 진행되는 전공 심화 과정으로 마찬가지로 15주 차로 구성된다(Table 3). 선행 교과의 드로잉과 표현 기법들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 품을 제작하는 학습내용으로 구성된다. 이전 기초-일 반 교과에서 체득한 인체와 의복에 대한 이해, 관찰력 의 함양, 자유로운 선의 활용 등을 기반으로 하여 학 생 개인별로 설정한 콘셉트에 따른 작품의 표현을 도 모한다. 특히 개개인의 개성적인 드로잉 스타일을 반 영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을 진행함에 있어 혼합 기법, 디지털 기법 등과의 접목과 더불어 새로운 미감 의 개성있는 창작 작품의 제작을 교과의 목표로 한다. 심화 교과는 1주차의 창의적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이론적, 실용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준비과정 및 교과 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이후 크게 3개 단계의 실습과 정으로 진행된다.

    ① 1단계: 2-6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1단계는 콘투 어 드로잉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에 창의적 표현기 법을 활용하는 과정이다. 선행 교과인 기초-일반 교과 에서 활용한 평면 중심의 채색기법에서 확장된 테크 닉으로서, 입체 표현 기법을 적용해한다. 먼저 창의적 인 작품의 제작을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콘셉트를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참고할 일러스트레이 션 이미지 자료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트렌드 혹은 사 회문화적인 이슈를 반영하는 자료를 함께 활용한다. 이어서 밑그림이 될 콘투어 드로잉을 그려낸다. 시작 단계에서 화면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작업할 수도 있 지만 다양한 콘투어 드로잉을 그리고 이를 배치해 나 가면서 스케치를 콘셉트에 따라 수정, 정리한다. 완성 된 스케치에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입체표현기법은 콜라주로 특히 종이를 활용한 파피에 콜레, 패브릭과 스티치를 중심으로 하는 핸드 스티칭, 머신 스티칭, 아플리케 등이 있다. <Fig. 12>는 변형 블라인드 콘투 어 드로잉을 통해 작업한 스케치를 기반으로 종이 위 에 콜라주, 파피에 콜레 등을 활용한 작품사례이다. 레터링 스티커, 신문, 잡지, 라인 테이프 등의 재료를 혼합적으로 적용하였다. 종이 외에도 캔버스, 다양한 소재의 패브릭 등에 적용되어 스티칭 작업들과 결합 하게 되면 보다 심화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제 작, 더욱 창의적인 작품의 제작이 가능해지며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에게도 더 많은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Fig. 13>과 같이 패브릭을 배경으로 패션 일러스트레 이션을 제작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변형 콘투어 드로 잉을 스케치로 활용하고, 그 위에 스티칭, 아플리케, 패브릭용 물감, 전사 기법,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등을 적용할 수 있다.

    ② 2단계: 7-11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2단계 작업은 콘투어 드로잉과 디지털 메소드를 접목하는 과정이 다. 채색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기법에서 나아가 대표적인 디지털 기법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나 포 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일러스트레이션 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기법 의 사용은 창의적이며 새로운 미감의 패션 일러스트 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단독 기법의 활 용이 아닌 전통적인 표현 기법과 디지털 메소드가 결 합하면서 보다 심화된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확장된다. 1단계와 마찬가지로 학생 각자의 개성있는 아이디어 를 강화하고, 창의력을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의 제작을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콘셉트를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콘셉트에 따라 구성된 스케치를 기반으로 포 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디지털 페인팅 프로그램 을 활용하여 작업을 완성하는데에 있어 종이에 스케 치한 콘투어 드로잉을 스캔하거나 촬영하여 디지털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채색하거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Fig. 14>와 같이 포토샵 등을 활용하여 채색함 으로써 디자인 콘셉트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스타일 화 및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상에서 콘투어 드로잉을 진행하여 작품으로 표현할 수도 있 다. <Fig. 15>는 어도비 일러스크레이터 프로그램 상 에서 콘투어 드로잉을 접목한 작업으로 디지털 프린 팅을 활용한 원단의 제작이나 패션 상품의 제작으로 보다 수월하게 확장 가능하다.

    ③ 3단계: 12-15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3단계는 앞 서 제작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업들을 실용화하는 단계이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작품으로서의 예술 적이 가치에서 나아가 패션 상품과의 결합을 통해 산 업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티셔츠, 에 코백, 가방 등과 같은 패션 관련 굿즈에 활용가능하 다. <Fig. 16>은 2단계 심화 교과과정에서 완성된 패 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파우치 백으로 실물화한 예시이 다. 특히 최근에는 원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이나 이미 지를 활용하여 상품을 제작할 수 있는 생산 채널이 확 장됨에 따라 에코백, 파우치, 티셔츠, 패턴 원단 등의 패션 상품뿐 아니라 문구류, 휴대폰 액세서리, 인테리 어 패브릭, 리빙 제품 등의 제작까지 쉽게 도모할 수 있다. <Fig. 17>은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일러스트 레이션 작품을 문구류 및 핸드폰 액세서리에 적용한 예시이다. 나아가 실용화 과정의 결과물로는 실물 제 작가능한 제품뿐 아니라,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컬러링 어플, 패션 필름 제작, 이모티콘 제작 등 산업 적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활용가능한 범주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Fig. 18>은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일러 스트레이션 작품을 휴대폰 및 휴대기기용 컬러링 애 플리케이션으로 목업 작업한 예시이다.

    3. Case study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course using contour drawing

    국내 D대학교, S대학교, C대학교, M대학교 의류학 과 및 의상디자인 전공 대상으로 수행된 콘투어 드로 잉을 접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과정과 이를 통해 도출된 학생 작품 사례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인체의 이해와 표현에 있어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기초 교과과목은 비실기 입학 전형 전공생(이 하 비실기 전공생)의 관찰력을 증진시키고, 실기 입학 전형 전공생(이하 실기 전공생)의 개성적 표현을 가능 하게 한다. 블라인드 콘투어 드로잉이 완료된 결과물 을 살펴보면 형태는 완전히 일그러지고 예상과는 다 른 위치와 규모의 작업이 완성되게 된다. 특히, 콘투 어 드로잉은 선을 끊지 않고 연속된 하나의 선을 사용 하는데, 이에 따라 선은 대상물의 윤곽을 따라 움직이 며 중첩된 선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예상치 않은 우연 한 효과의 선과 형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고정관념 속의 형태로 관성적으로 그려내던 물체를 진지하게 관찰하고 눈과 손에 익히는 경험을 제공한 다. 예를 들어 얼굴을 대상으로 드로잉을 진행하는 경 우 일부 비실기 전공생들은 눈은 타원형, 눈동자는 원 형, 코는 삼각형의 모서리 형태 등 기존의 형에 대한 고정된 인식을 기반으로 단순화된 관성적인 형태를 그려낸다(Fig. 19). 그러므로 교수자는 시연을 보일 때, 대상물이 무엇인지를 인식하지 말고, 무의식의 상 태로 눈에 보이는 것을 보이는 그대로, 시선이 대상물 의 윤곽을 만져나가는 그 동선과 속도를 손으로 그대 로 옮겨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게 되면, 형태에 대 한 고정관념으로 미리 선을 예측하여 그리는 것이 아 니라 시선을 따라서 그대로 관찰하며 관찰력과 표현 력이 동시에 증진된다. 얼굴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콘 투어 드로잉을 적용하여 선 연습과 관찰 훈련을 한 학 생 작품의 사례는 <Fig. 20>과 같다. 실기 전공생의 경 우, 입시를 위해 습득한 소묘기법이나 명암표현 등을 기반으로 대상의 윤곽의 잡아내기 보다는 덩어리를 입체적으로 인식, <Fig. 21>과 같이 명암을 넣거나 완 성된 형을 만들기 위해 선을 끊어 그리거나 작업을 확 인하면서 규격화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있다. 눈에 보이는 대상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 속에 인지 되어 있는 대상을 손으로 표현하여 정형화된 그림을 그려내게 되는데, 콘투어 드로잉이 익숙해지게 되면 개성있는 선의 사용과 함께 창의력이 내포된 패션 일 러스트레이션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입시 미술 을 경험한 실기 전공생의 규격화된 형의 표현, 구도, 채색기법 등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롭고 개성있는 패 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개설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 과목의 수에 따라 결과물의 적용범위와 확장성이 다르게 나 타난다. 각각 D대학교는 4개, S대학교, C대학교는 2 개, M대학교는 1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를 개 설 중으로, 그 결과물을 살펴보면 D대학의 경우 저학 년에는 신체와 의복에 대한 이해와 표현, 고학년에는 심미성을 가진 개성있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 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했다. 특히 패션 일 러스트레이션을 제품으로 실용화하는 과정에 있어 주 로 접목되는 티셔츠, 가방 등의 패션상품에서 확장, 문구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패션 필름 및 이모티콘 등에 적용하는 과정이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이는 산 업적인 관점에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을 경 험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2개의 교과 를 편성한 S대학교, C대학교의 결과물은 창의적인 시 도가 보이는 작업들이 많으나 대부분 평면작업으로 완성되거나 실용화에 있어 제작의 접근성이 높은 패 션 상품으로 접목되는 경향을 보인다. 실기 전공생으 로 구성된 M대학교의 경우 2개로 제안된 본 연구의 교육안을 1개 교과로 축소 및 수정하여 수행하였는 데, 채색기법이나 표현력에 있어 기초능력을 이미 가 지고 있는 실기 전공생인 경우 평면 작업에서는 무리 없이 다양한 창의적 결과물을 도출해냈다. 그러나 상 대적으로 심화 과정을 통한 결과물들은 시간적인 제 한과 더불어 1학년에 편성되었다는 점에서 일부 아쉬 운 부분이 드러났다. 1학년의 경우, 패션 제품 혹은 상 품제작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고, 디지털 드로잉 프로 그램을 배우는 교과를 수강하기 이전의 상태로, 디지 털 기법의 혼합적인 사용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결과 물의 확장과 실용화에 있어 제한점을 보인다.

    셋째,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교과는 패션 전공생 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특 히 비실기 전공생의 경우 드로잉에 자체에 대한 두려 움을 경감시킨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기초과정의 교육내용은 인체에 대한 이해, 인체 부분별 세부 표 현, 다양한 인체 포즈에 대한 습득으로 의복에 대한 드로잉 이전에 인체에 대한 이해를 선행하는 과정이 다. 입시미술을 경험하지 않거나 중․고등학교 과정 에서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대부분의 학생들의 경우, 본격적인 실습을 통한 인체의 드로잉을 처음 경험하 는 경우가 많아 선을 그리는 것부터 두려움을 느낀다. 이 때 일반적인 소묘나 데생 수업의 경우 직선과 곡 선, 자유선 등을 그리는 선 연습을 통해 손을 풀고 다 양한 선을 경험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또한 올바른 형태의 선의 방향 등을 그려내는 데에 는 반복되는 연습과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하 여 이와 같은 선 연습을 비교적 쉽고 흥미롭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하게 되 면 학생들은 예상과는 다른 일그러진 형태의 결과물 에서 흥미를 느끼고, 드로잉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여나간다. 실제 비실기 전공생들로 구성된 D대학 교, S대학교, C대학교 강의 평가의 주관식 문항을 살 펴보면 상당수의 학생들이 그림을 그리는 자체에 두 려움이 사라지고, 흥미를 느꼈다고 언급하고 있다.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 과 사례를 분석하고 그 특성들을 살펴본 결과, 기초- 일반단계 그리고 심화 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 의 개발과 수행이 학생들의 관찰력과 창의력 증진에 효과적인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술 훈련의 경 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실기 전공생들에게 특히 효 과적임을 확인하였다.

    Ⅳ. Conclusion

    비실기 전형의 학생이 많은 의류학과 및 패션디자 인 전공의 특성 상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실기과정 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관찰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의 구성은 중요하다. 이러한 관 점에서 기존의 대상을 재현하는 전통적 드로잉 기법 과는 다른 기제인 우뇌 중심의 콘투어 드로잉은 직관 적이면서도 창의성을 개발하고, 개성있는 화풍을 구 축하는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적 이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 나가는 패션 일러스트 레이션 분야에 발맞춰, 개성적이면서도 새로운 미감 을 제공하는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수업사례를 연 구하고 단계별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의 세 단 계 즉, 기초과정과 일반과정, 그리고 심화과정이라는 단계별 학습과정에 따라 콘투어 드로잉을 각 단계별 로 접목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때, 국내 대학의 현실적인 교과 편성을 고려하여 기초-일반 단계와 심 화 단계의 두 개의 교육안을 구성하였다. 이는 순차적 으로 진행되는 각 15주로 구성된 교육안으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 : 기초-일 반 단계’는 다시 6개, ‘콘투어 드로잉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 : 심화 단계’는 3개의 단계로 구 성된다. 각 단계에 따른 적합한 콘투어 드로잉을 수행 함에 따라, 학생들은 인체와 의복에 대한 이해력과 관 찰력, 그리고 표현력을 체득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 불어 최근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경향이 일상성을 기반으로하는 함축적이고 다소 키치적인 무드를 포함 함에 따라, 개성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본 교육방 안의 과정은 보다 새롭고 참신한 결과물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학생들과 교수자에게 유용했다. 학 교별 교과목의 진행과 그에 따라 도출된 학생들의 작 품사례 등을 분석한 결과, 콘투어 드로잉을 접목한 패 션 일러스트레이션 교과목은 교과목의 개설 개수, 수 강하는 학년 등에 있어서도 차이를 나타내는데, 전공 관련 지식의 함양과 함께 타 교과에서 습득한 다양한 지식과 결합될 때 보다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비실기 전공생의 경우 인체의 이해와 표현에 있어 관찰력을 증진시키고, 드로잉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실기 입학 전형 전공생들의 경우 에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규격화된 형의 표현 기법, 채색기법, 구도의 배치 등에서 벗어나 개성있고 창의 적인 화풍의 일러스트레이션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법으로서의 콘투어 드로잉을 접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대한 연구로 학 생들과의 소통 및 강의 평가 등을 활용하여 수업에서 의 높은 성취도를 획득하였으며, 학생들은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습득하였음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정량적 관점에 있어 창의력 혹은 성취도라는 추 상적인 기준을 객관적인 지표로 증명하는 측면에서는 다소 제한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는 효과적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안으로 실질적 으로 바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패션 전공 교과 특히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관련 교과의 세분화와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학 문적 의의를 가진다.

    Figure

    RJCC-28-4-508_F1.gif

    Contour drawing Reprinted from Mo McMorrow. (2014). http://www.youtube.com/

    RJCC-28-4-508_F2.gif

    Blind contour drawing Reprinted from Hill. (2019). http://www.alisonchiamartworkshopsjervisbay.com/

    RJCC-28-4-508_F3.gif

    Blind contour drawing Photographed by the author(C Univ.). (July 10, 2020).

    RJCC-28-4-508_F4.gif

    Reference image Reprinted from Migdalia. (n.d.). http://www.pinterest.com/

    RJCC-28-4-508_F5.gif

    Blind contour drawing

    RJCC-28-4-508_F6.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RJCC-28-4-508_F7.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Step 2 Photographed by the author(S Univ.). (October 27, 2019).

    RJCC-28-4-508_F8.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Step 3 Photographed by the author(C Univ.). (April 1, 2020).

    RJCC-28-4-508_F9.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Step 4 Photographed by the author(C Univ.). (April 1, 2020).

    RJCC-28-4-508_F10.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Step 5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December 21, 2015).

    RJCC-28-4-508_F11.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with coloring: Step 6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June 27, 2013).

    RJCC-28-4-508_F12.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with collage technique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November 21, 2015).

    RJCC-28-4-508_F13.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on fabric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July 23, 2013).

    RJCC-28-4-508_F14.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with digital method Captured by the author(D Univ.). (July 12, 2010).

    RJCC-28-4-508_F15.gif

    Advanced blind contour drawing on adobe illustrator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December 17, 2012).

    RJCC-28-4-508_F16.gif

    Fashion products using fashion illustr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December 17, 2012).

    RJCC-28-4-508_F17.gif

    Stationery using fashion illustr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M Univ.). (June 16, 2020).

    RJCC-28-4-508_F18.gif

    Mock-up of mobile coloring applic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D Univ.). (July 28, 2020).

    RJCC-28-4-508_F19.gif

    Stereotyped drawing Photographed by the author(C Univ.). (July 10, 2020).

    RJCC-28-4-508_F20.gif

    Blind contour drawing Photographed by the author(C Univ.). (July 10, 2020).

    RJCC-28-4-508_F21.gif

    Stereotyped drawing Photographed by the author(M Univ.). (June 16, 2020).

    Table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in four university

    Fashion illustration course with contour drawing: Foundation-general stage

    Fashion illustration course with contour drawing: Intensive stage

    Reference

    1. Baik, J. Y. (2006). A study on development of children’s ar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right brain activity.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6(1), 317-338.
    2. Chang, D. (2001). Fashion croquis (1th ed.). Seoul: Kyomunsa.
    3. Choi, J. H. (2005). A visual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using 2d graphic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4), 550-563.
    4. Edwards, B. (2017). The new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E. Kang, Trans.). Seoul: Namusoop. (Original work published 1979)
    5. Han, C. , & Park, S. (2019). A study on the drawing program using the right-brain to improve observation ability. Art Education Review, 72, 173-200.
    6. Hill, E. (2019, January) How blind contour drawing can help you become a better artist. Alison Chiam Art Workshops Jervis Bay, Retrieved May 15, 2020, from http://www.alisonchiamartworkshopsjervisbay.com/blog/how-blind-contour-drawing-can-help-you-become-a-better-artist
    7. Hwang, J. W. (2012). The effects of the program of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on children’s visual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8. Jeon, S. S. (2007). The intrinsic qualities of art education through brain development and structure.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1(2), 29-59.
    9. Joung, H. O. , & Park, S. H. (1997).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fashion illustr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1), 65-77.
    10. Kim, L. Y. , & Park, M. (2005). A study on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for fashion illus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3), 150-163.
    11. Kim, M. H. (2008).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6), 115-122.
    12. Kim, M. H. (2011).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applied using a blending mode in Photoshop.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518-530.
    13. Kim, M. Y. (2012). Summary of thesis research on classroom effect on drawing instruction using the right-brain obser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Eucation, Chung-Buk, Korea.
    14. Lee, H. S. (2004). A study on how to instruct students in drawing class for their creative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Eucation, Chung-Buk, Korea.
    15. Lee, J. S. (2003).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for the clothing & textiles – Understanding & analysis of textile material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 162-168.
    16. Maslen, M. & Southern, J. (2014). Drawing projects (J. H. Lee, Trans.). Seoul: Namusoop. (Original work published 2013)
    17. Migdalia, C. (n.d.). Koreanmodel [Pinterest]. Retrieved August 18, 2020, from https://www.pinterest.com.au/pin/471611392208108047/
    18. Mo McMorrow. (2014). Blind contour drawing [You Tube Channel]. Retrieved June 15,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M1lXKMyVSYs
    19. Moon, C. , & Kim, S. K. (2008). A study on the hybrid drawing education for creative thinking - A case of the drawing education curriculum at H Uni.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9(1), 367-375.
    20. O, J. H. (2013).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technique for fashion majors to improve design ex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282-293.
    21. Park, H. S. (2013). The study on case of the contour drawing edu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1), 237-243.
    22. Park, K. (2017). A study of basic drawing education using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3), 66-76.
    23. Park, S. W. (2015). Brain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bout life drawing-focusing on animation major drawing.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71-91.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