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199.162
3.128.199.162
close menu
KCI 등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나도풍란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개발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of Class I Endangered Wildlife, Sedirea japonica - A Case Study of Korea National Park of Dadohaehaesang -
심윤진 ( Shim Yun-jin ) , 박용수 ( Park Yong-su ) , 장래하 ( Jang Rae-ha ) , 윤영준 ( Yoon Young-jun ) , 김선령 ( Kim Sun Ryoung ) , 한승현 ( Han Seung Hyun )
한국도서연구 32권 1호 153-172(20pages)
DOI 10.26840/JKI.32.1.153
UCI I410-ECN-0102-2021-900-000900091

본 연구는 나도풍란(Sedirea japonica (Rchb. f.) Garay & H.R. Sweet)의 문헌조사 및 서식지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나도풍란의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향후 나도풍란 대체서식지 평가 및 복원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나도풍란은 국내 자연 상태에서 절멸된 것으로 간주되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2018~2027)에 따라 우선복원대상종(총 25종)으로 선정되었다. 나도풍란의 서식변수로 최고우기 월강수량, 연간 기온 차이, 월평균 기온차, 최저기온, 해발고도, 경사, 도로와의 거리를 제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상대습도, 안개일수, 광환경, 향, 인위적 남획 등이 추가적으로 제시되었으나 데이터 구축 여부를 고려하여 상대습도, 향, 인위적 남획을 선정하였다. 이중 인위적 남획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보호지역 포함 여부를 제시하였다. 최고우기 월강수량, 연간 기온 차이, 월평균 기온차, 최저기온 등은 모두 적합하나 나도풍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변수로 선정되지 않았다. 위의 과정을 통해 최종 변수는 상대습도, 해발고도, 경사, 향, 인위적 남획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SI(Suitability Index) 모델과 HSI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대상지에 적용하였다. HSI가 가장 높은 값은 1.0이며 해당 면적은 16,040,000㎡로 나타났다. 그 외0.8(148,280,000㎡), 0.7(57,940,000㎡), 0.6(5,320,000㎡)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HSI가 1.0인 지역을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나도풍란의 서식지 평가와 복원 모델의 제시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특히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 선정과 평가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는 국내·외 구축되어 있는 공간 자료의 한계로 100 m×100 m의 격자 크기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일차적인 후보지 선정에 의미가 있으며, 세부 대상지 확정을 위해 서는 이차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후속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후에 대한 공간자료와 나도풍란 서식지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구축된다면 보다 정밀한 공간분석으로 세부적인 대체서식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서식지 적합성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나도풍란의 서식지에 대한 다양한 실태조사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of Sedirea japonica (Rchb. f.) Garay & H.R. Sweet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and habitat status of S. japonica and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HSI model. Currently, S. japonica is considered extinct in the wild and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wildlife species level 1. Thus, S. japonica has been selected as a priority restoration target species(a total of 25 species) according to the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Comprehensive Plan (2018~2027). The habitat variables of S. japonica are the relative humidity, the altitude, the gradient, the slope, and the artificial over-exploitation.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f S. japonica,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nd expert opinions, the SI(Suitability Index) model and HSI mode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it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HSI model. The SI model and HSI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results, and expert advice, and applied to the site to test the applicability. The highest value for HSI was 1.0, with an area of 16,040,000 m2, and 0.9 with an area of 106,510,000 m2. As a result, the area with an HSI of 1.0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the S. japonica. As a result, the area with 1.0 of HSI value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S. japonica. The HSI model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the habitat evaluation and restoration model of S. japonica. In particular,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for S. japonica. However, the alternative habitat of S. japonica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as evaluated by a 100 m × 100 m grid siz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patial data establish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lect a primary candidate site, and a secondary on-site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etailed target site. If the spatial data on the micro-climate and the long-term monitoring of the S. japonica habitat are constructed through follow-up studies, detailed alternative habitats can be suggested by the more precise spatial analysis. However, as a future study, various status-finding data on the habitat of S. japonica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HSI model.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