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중 고대무용 문화의 유통, 변천 그리고 전승과정의 연구를 통해 자기(柘枝)와 연화대(莲花台 )의 문화. 교류 과정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 등, 역사의 변천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문헌분석 및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 고대 궁정악무의 배경 및 형성을 정리하고. 당·송 시대를 중심으로 고대궁정악무 자기(柘枝)의 발전 및 전승변화를 탐구하였다. 연화대(蓮花臺)는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전해지면서 자기(柘枝)에서 연화대(蓮花臺)로 명칭이바뀐 것이며 고려 본토문화와 융합되었다. 쌍자기(雙柘枝)에서 무용수는 무기(舞妓)에서 동녀(童女)로 변하고 점차적으로 자기대무(柘枝隊舞)까지 단순한 무용에서 복잡한 설창무(說唱舞)의 종합적인 공연형식으로 변하였다. 여성스럽고 요염한 스타일의 무용이 동녀(童女)로 바뀐 연꽃(荷花)에 반유희성(半遊戲性)의 무용으로 나타난다. 그리고불교, 선도(仙道)의 색채도 지니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에서 자기(柘枝)무용이 연화대(蓮花臺)로 변화하며 이어지는 과정, 그리고 동시에 문화교류의 과정에서의 지역적 문화융합, 인접 등 비슷한 면을 알 수 있다.

키워드

궁정악무, 비교연구, 문화교류, 자기, 연화대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宋郭茂倩 / 2003 / 乐府诗集 / 中华书局 : 818

  2. [단행본] 薛能 / 1998 / 舞曲歌辞 柘枝词三首 / 辽宁教育出版社 : 78

  3. [단행본] 彭定求 / 2004 / 全唐诗索引·刘禹锡卷 / 延边人民出版社 : 13

  4. [단행본] 中国戏曲研究院 / 1959 / 国古典戏曲论著集成一 / 中国戏剧出版社 : 144 ~ 145

  5. [단행본] 송문숙 / 1987 / 포구락에 관한 고찰(抛球乐考察) / 이화여자대학교 : 25

  6. [단행본] 任半塘 / 1982 / 声诗 / 上海古籍出版社 : 89

  7. [단행본] 唐苏鹗 / 1985 / 杜阳杂编 / 中华书局 : 28

  8. [단행본] 申末平 / 1493 / 乐学轨范二 : 83 ~ 84

  9. [단행본] 李养正 / 1985 / 教基本知识 / 中国道教协会出版 : 60

  10. [학술지] 张师勋 / 1979 / 国舞蹈概俑 / 韩国一志 17

  11. [단행본] 董錫玖 / 1997 / 樂舞誌 / 湖南教育出版社

  12. [단행본] 金秋 / 2002 / 古絲綢之路樂舞文化交流史 / 上海音樂出版社

  13. [단행본] 樸永光 / 2003 / 影響世界的中國樂舞 樂學軌範

  14. [단행본] 鄭炳浩 / 1985 / 高麗史.世家 卷2 高麗史 / 樂誌 韓國傳統舞踴 韓國壹誌社

  15. [기타] 樸忠成 / 1991 / 宮中呈才舞圖笏記 高麗史

  16. [학술지] 이숙재 / 2008 / 향가를 모티브로한 무용작품 「사찬기파광가」의 현대적 해석 / 한국무용학회지 8 (2) : 44 ~ 48

  17. [학술지] 김미영 / 2016 / 임학선의 <태극구조 기본춤>의 동작선연구 -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무용학회지 16 (1) : 69 ~ 78

  18. [학술지] 정성숙 / 2013 / 효명세자의 정재창작이 한국 춤 발전에 미친영향 / 한국무용학회지 13 (2) : 49 ~ 57

  19. [학술지] 민성희 / 2016 / 중국정사 외국열전에 나타난 한국춤과 외국춤 비교 / 한국무용학회지 16 (2) : 23 ~ 33

  20. [학술지] 추나영 / 2018 / 국가무형문화재 전통공연예술 중 무용 및 가면극의 연구동향 분석 / 한국무용학회지 18 (1) : 1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