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핵전쟁>(랩, 랠프 E)의 번역(1970)과 문학자 표문태의 반핵 운동

Translation(1970) of Kill and Overkill(Lapp, Ralph Eugene) and the Anti‒Nuclear Movement of Litterateur Pyo Moon‒tae

한국학
약어 : KSQ
2021 vol.44, no.3, pp.87 - 123
DOI : 10.25024/ksq.44.3.202109.87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 회 열람

이 글은 한국 반핵운동의 선구자로 간주되는 문학자 표문태(表文台, 1914‒2007)의 반핵 활동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희곡, 수필, 소설을 쓴 표문태는 1970‒1980년대에 반핵 운동을 했다. 표문태는 작가로서도 반핵운동가로서도 사실상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표문태는 문학지에 거의 작품을 발표하지 않고 문단의 이방인의 위치에서 작가 활동을 하며 다양한 사회운동을 했다. 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사회참여를 실천한 표문태는 1970년 랠프 E 랩의 『핵전쟁』을 번역 출간했고, 1987년 두 권의 핵 관련 서적을 편저했다. 요컨대 핵이 한국에서 거의 조명 받지 않던 시기에 이 선구자는 어떤 점을 공론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기록을 남겼을까. 표문태가 포착한 핵 위험의 내용과, 그 목소리를 공론화하는 전략, 반핵의 의미를 구명(究明)해 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anti‒nuclear activities of Pyo Mun‒tae (1914‒2007), litterateur regarded as a pioneer of the Korean anti‒nuclear movement. Pyo Mun‒tae, who wrote plays, essays and novels, staged an anti‒nuclear campaign in the 1970s and 1980s. Pyo Mun‒tae is virtually unknown as a writer and anti‒nuclear activist. Pyo Mun‒tae rarely published his works in literary magazines, and worked as a writer in the literary world as a stranger, engaging in various social movements. Pyo Mun‒tae, who actively practiced social participation until the 1980s, translated and published Ralph Eugene Lapp’s Kill and Overkill in 1970 and published two nuclear‒related books in 1987. In short, at a time when nuclear weapons were hardly lighting rod in Korea, what did the pioneer strive to publicize and record? I will figure out the contents of the nuclear danger detected by Pyo Mun‒tae, the strategy of publicizing its voice, and the meaning of anti‒nuclear.

원폭 피해자, 핵무기, 핵전쟁, 핵발전소, 탈핵
Atomic Bomb Victims, Nuclear Weapons, Nuclear War, Nuclear Power Plants, Denuclearization

  • 1. [기타] / 경향신문
  • 2. [기타] / 동아일보
  • 3. [기타] / 연합뉴스
  • 4. [기타] / 조선일보
  • 5. [기타] / 한겨레
  • 6. [기타] / 한국일보
  • 7. [단행본] 랠프 E. 랩(Lapp, Ralph E) / 1970 / 核戰爭: 무서운 全面戰의 內幕 / 玄岩社
  • 8. [단행본] 표문태 / 1978 / 서러운 사람들 / 일월서각
  • 9. [단행본] 표문태 / 1979 / 天挑복숭아의 神話 : 表文台에세이 / 새밭
  • 10. [단행본] 표문태 / 1987 / 아시아를 비핵지대로 / 일월서각
  • 11. [단행본] 표문태 / 1987 / 버림받은 사람들 / 중원문화
  • 12. [단행본] 표문태 / 1988 / 마구간의 진실
  • 13. [단행본] ラリフ.E. ラップ / 1963 / 核戰爭になれば / 岩波書店
  • 14. [단행본] Lapp, Ralph Eugene / 1962 / Kill and overkill: the strategy of annihilation / Basic Books
  • 15. [단행본] 강은주 / 2012 / 체르노빌 후쿠시마 한국 / Archive
  • 16. [단행본] 김기진 / 2014 / 한권으로 꿰뚫는 탈핵 / 무명인
  • 17. [단행본] 김승국 / 1988 / 반전반핵 양키고홈 / 아침
  • 18. [단행본] 김승국 / 1989 / 겨레의 칠성판 核 / 황토
  • 19. [단행본] 高木仁三郞 / 1986 / 반핵과 제3세계 / 시인사
  • 20. [단행본] 앨런 브링클리 / 2011 /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 휴머니스트
  • 21. [단행본] 이기훈 / 2017 / 6월 민주항쟁 / 한울아카데미
  • 22. [단행본] 이삼성 / 2005 / 동북아시아 비핵지대 / 살림
  • 23. [단행본] 이영희 / 1988 / 반핵 / 창비
  • 24. [단행본] 정욱식 / 2012 / 핵의 세계사 / 아카이브
  • 25. [단행본] 정재정 / 2014 /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 / 역사문제연구소
  • 26. [단행본] 정해구 / 2011 /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 역사비평사
  • 27. [단행본] 존 루이스 개디스 / 2010 / 냉전의 역사 / 에코리브르
  • 28. [단행본] 타임‒라이프 북스 편집부 / 1987 / 原爆과 日本敗亡 / (주)한국일보 타임‒라이프
  • 29. [단행본] 토니 주트 / 2019 / 『전후 유럽 1945‒2005』 2 / 열린책들
  • 30. [단행본]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편찬위원회 / 2011 / 한국원폭피해자 65년사 / 한국원폭피해자협회
  • 31. [단행본]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1987 / 핵전쟁과 인류: 평화를 위해 싸우는 의사들 / 미래사
  • 32. [단행본] 히다 슌타로 / 2015 / 생명을 살리는 반핵 / 건강미디어협동조합
  • 33. [학술지] 오은정 / 2018 / ‘제국의 신민’에서 ‘재한피폭자’로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에서 한·일 시민연대의 사회문화적 토대와 그 변화 / 기억과 전망 (39) : 103 ~ 39 kci
  • 34. [학술지] 이행선 / 2017 / 아리요시 사와코(有吉佐和子)의 번역 수용과 한국 사회의 ‘복합오염’ ― 환경재난과 환경운동(권숙표, 최열) / 대동문화연구 (100) : 509 ~ 100 kci
  • 35. [학술지] 이행선 / 2018 / 한국인 원폭 피해자와 증언의 서사, 원폭 문학: 김옥숙, 『흉터의 꽃』(2017) / 기억과 전망 (39) : 148 ~ 39 kci
  • 36. [학위논문] 장성환 / 2017 / 해방 후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정체성 찾기 : 원폭피해자의 발생부터 원폭2세의 활동에 이르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