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어 한자어는 한문문법에 의한 한자어와 한국어 조어법에 의한 한자어로 구분된다. 웹사전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실린 단어 가운데 한자 ‘氣’로 끝난 표준단어는 486개이다. 이 가운데 어말의 ‘氣’가 직접성분이 아닌 단어 75단어를 제외한 411단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411단어 중에서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실려 있지 않은 41단어를 제외하면 370단어이다. 이 370단어 중에서 한국어 조어법에 의한 한자어는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조어구조 표시에 따르면 74개이다. 이 74단어를 세분하면 ‘단어+접미사’(52개), ‘단어+단어’(11개), ‘단어+어근’(1개), ‘어근+단어’(3개), ‘어근+접미사’(3개), ‘접두사+단어’(3개), ‘접두사+접미사’(1개)이다. 이상의 단어들을 면밀히 재검토한 결과 분석대상 411단어는 한문문법에 의한 단어가 317개, 한국어 조어법에 의한 단어가 93개로 확인되었다. 이 93단어를 세분하면 ‘단어+접미사’(73개), ‘단어+단어’(3개), ‘어근+단어’(3개), ‘어근+접미사’(13개), ‘접두사+단어’(1개)이다.

키워드

한자어(Sino-Korean word), 한문문법(classical Chinese grammar), 조어법(word formation), 조어구조(word formational structure), 어근(root), 접미사(suffix), 국어사전(Korean dictionary)

참고문헌(8)open

  1. [인터넷자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 [인터넷자료] 국립국어원 / 표준국어대사전

  3. [단행본] 김창섭 / 1996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 태학사

  4. [단행본] 배주채 / 2013 / 한국어의 발음 / 삼경문화사

  5. [학술지] 김창섭 / 2001 / 한자어 형성과 고유어 문법의 제약 / 국어학 37 : 177 ~ 195

  6. [단행본] 배주채 / 2005 /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 태학사 : 737 ~ 755

  7. [학술지] 임홍빈 / 1981 /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 국어학 10 : 1 ~ 35

  8. [학술지] 홍종선 / 2012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2009) 접사 선정의 기준 - ‘공시적 분석 가능성’을 중심으로 - / 한국어학 54 : 325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