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 나라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 자체가 그 나라의 문화를 알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언어 속에 담긴 한국적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문화 요소를 교수, 학습해야 한다. 특히, 유목 생활을 하는 몽골과 농경으로 정착 생활을 한 한국은 문화적 기반 자체가 너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몽골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몽골인의 경우에는 주로 이야기를 통해 언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몽골 설화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하였다. 이에 한국 문화 교육에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몽골과 한국의 설화를 선정하고 그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적 가치가 있는 요소를 추출하여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에서는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을 다룬 앞선 연구를 검토했다. Ⅲ에서는 몽골 설화와 한국 설화가 대응되는 양상을 여러 기준을 통해 살펴보고 작품을 분류·선정했다. Ⅳ에서 화소(話素) 분석을 활용한 설화의 줄거리를 통해 몽골 설화와 한국 설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한국 문화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문화 요소를 통해 몽골과 한국의 문화 요소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국 문화와 한국 문화에 대한 비교·인식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도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몽골·한국 설화(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한국 문화 교육(Korean cultural education), 비교·대조(comparison and contrast), 교육 내용(educational contents), 화소 분석(motif analysis), 한국 문화 교육 요소(Korean culture educational elements), 활동(activities)

참고문헌(47)open

  1. [기타] 국립국어원 / 2010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 국립국어원 : 171 ~ 192

  2. [기타] 국립국어원 / 2011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 국립국어원 : 90 ~ 103

  3. [보고서] 국립국어원 / 2016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 : 15 ~ 168

  4. [단행본] 국립민속박물관 / 2012 /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편) / 국립민속박물관

  5. [단행본] 데. 체렌소드놈 / 2007 / 몽골의 설화 / 문학과 지성사

  6. [단행본] 박갑수 / 2013 /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교육 / 역락

  7. [단행본] 박영순 / 2006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론 / 한림출판사

  8. [단행본] 박환영 / 2005 / 몽골의 유목문화와 민속 / 민속원

  9. [단행본] 박환영 / 2008 / 몽골의 전통과 민속 보기 / 박이정

  10. [단행본] 배재원 / 2014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 혜안

  11. [단행본] 설성경 / 1988 /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 새문사 : 8 ~ 73

  12. [단행본] 신주철 / 2013 /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문학교육론 / 커뮤니케이션북스

  13. [단행본] 이창식 / 2008 /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 역락

  14. [단행본] 임경순 / 2009 /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 HUFS BOOKS

  15. [단행본] 장덕순 / 1991 / 구비문학개설 / 일조각 : 15 ~ 74

  16. [단행본] 장장식 / 2005 / 몽골유목민의 삶과 민속 / 민속원

  17. [단행본] 최운식 / 2006 / 한국인의 삶과 문화 / 보고사

  18. [단행본] 카트린 푀게‒알더 / 2009 / 민담, 그 이론과 해석 / 유로서적

  19. [단행본] 한미라 / 2011 / 한국인의 생활사 / 일진사

  20. [학술지] 강현화 / 2006 /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요구조사 - 문화교재 개발을 위해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1 : 99 ~ 128

  21. [학술지] 강현화 / 2010 /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 국어국문학 (155) : 39 ~ 78

  22. [학술지] 권오경 / 2009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 언어와 문화 5 (2) : 49 ~ 72

  23. [학술지] 김동환 / 2008 /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 국어교육학연구 (31) : 297 ~ 321

  24. [학위논문] 김민주 / 2007 / 설화를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25. [학위논문] 김은지 / 2012 / 한국어교사 대상 문화 교육과정 연구 : 일반대학원 문화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26. [학술지] 김정숙 / 1997 /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교육한글 10 : 317 ~ 325

  27. [학술지] 김형복 / 2017 /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 로컬리티 인문학 (18) : 189 ~ 211

  28. [학술지] 김형복 / 2017 /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팔 없는 여인>과 <손 없는 색시>의 비교를 통해 / 한국민족문화 (65) : 3 ~ 26

  29. [학술지] 김혜진 / 2011 /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고전문학과 교육 (22) : 249 ~ 278

  30. [학술지] 백봉자 / 2006 / 문화 교육 자료의 개발 방향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1 : 1 ~ 23

  31. [학술지] 서희정 / 2005 / 도깨비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한국어교육 16 (3) : 185 ~ 206

  32. [학위논문] 송용실 / 2012 / 한국어 문화교육의 실태와 교육방안 연구 :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관점분석을 중심으로

  33. [학술지] 안미영 / 2008 /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 한국학 31 (4) : 107 ~ 130

  34. [학술지] 안주호 / 2016 / 몽골 현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동악어문학 (68) : 253 ~ 278

  35. [학위논문] 안희은 / 2009 /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36. [학술지] 오윤선 / 2016 / 한국문화교육 제재로서 설화의 선정과 교재화 방향 / 고전문학과 교육 (31) : 113 ~ 143

  37. [학술지] 윤승준 / 2002 / 한·몽 설화의 비교- 爭年說話를 중심으로 - / 비교민속학 22

  38. [학술지] 이가원 / 2014 /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 연구 / 한국문예비평연구 (45) : 379 ~ 415

  39. [학술지] 이성희 / 1999 /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육 10 (2) : 257 ~ 271

  40. [학위논문] 이행선 / 2018 / 한국과 몽골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41. [학술지] 임효례 / 2012 / 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배달말 교육 32 : 129 ~ 158

  42. [학술지] 장장식 / 2007 / 한국과 몽골 설화의 비교연구 / 비교민속학 (33) : 199 ~ 228

  43. [학술지] 정연숙 / 2012 / 문학텍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양상 / 국어교과교육연구 21 : 361 ~ 385

  44. [학위논문] 정희정 / 2014 /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중국인 초·중급학습자 대상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45. [학술지] 조항록 / 2004 /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 한국언어문화학 1 : 199 ~ 219

  46. [학술지] 하은하 / 2017 /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 인문논총 31 : 73 ~ 116

  47. [학술지] D.OTGONTSETSEG / 2009 / 蒙·韓 구비문학에서 말[馬]이 지니는 의미와 상징 / Journal of Korean Culture 13 : 71 ~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