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에 나타난 김석문(金錫文)의 우주론

Cosmological arguments in the Twenty‒Four Accounts of the Book of Changes (Yeokhak‒isipsadohae, 易學二十四圖解) by Kim Seok‒mun (金錫文, 1658‒1735)

한국학
약어 : KSQ
2018 vol.41, no.3, pp.113 - 161
DOI : 10.25024/ksq.41.3.201809.113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70 회 열람

이 논문은 조선후기 유학자인 김석문(金錫文, 1658‒1735)의 우주론에 관한 것이다. 김석문의 우주론이 서양천문학과 신유가의 우주론을 결합하여 성립했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우주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학이십사도해](1726)를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하는데, 이는 우주의 생성론, 구조론, 운동론, 그리고 개벽론으로 나누어 접근해볼 수 있다. 그의 우주론은 우주의 생성으로부터 소멸까지 태극(太極)에 내재하는 ‘움직임’(動)의 원리가 실현되는 것을 가장 기초적인 전제로 삼고 있다. 우주에 존재하는 기(氣)에 움직임의 원리가 실현됨으로써 천체와 만물이 생성되고 운동하며 끝내는 소멸에 이르게 된다. 김석문의 우주론이 다른 학자의 그것과 구별되는 점은, 그가 우주론을 주장하면서 언제나 우주론적 원리들이 천체들의 운동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고 믿었다는 것이다. 우주론의 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그의 태도는 서양천문학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천문학(Western astronomy), 지구(地球, the Earth), 태극(太極, the Great Absolute), 태허(太虛, the Supreme Void), 황심(黃心, tthe ecliptic center), 황도경사각(the ecliptic obliquity), 세차(歲差, precession), 지전설(地轉說, the theory of rotating earth)

  • 1. [학술지] 金錫文 / 1975 / 易學二十四圖解 / 東方學志 (16)
  • 2. [단행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 1998 / 堅城誌(『京畿道邑誌』 제3책) / 서울대학교 규장각
  • 3. [단행본] 邵雍 / 1983 / 皇極經世書(『文淵閣四庫全書』 제803책) / 商務印書館
  • 4. [단행본] 陽瑪諾 / 1983 / 天文略(『文淵閣四庫全書』 제787책 / 商務印書館
  • 5. [단행본] 阮元 / 2008 / 疇人傳彙編 / 廣陵書社
  • 6. [단행본] 熊三拔 / 1983 / 表度說(『文淵閣四庫全書』) 제787책 / 商務印書館
  • 7. [단행본] 張載 / 1978 / 張載集 / 中華書局
  • 8. [단행본] 鄭顥 / 1981 / 二程全書 / 中華書局
  • 9. [단행본] 朱熹 / 2007 / 朱子語類 / 中華書局
  • 10. [단행본] 湯若望 / 1983 / 五緯曆指(『文淵閣四庫全書』 제788책) / 商務印書館
  • 11. [단행본] 강재언 / 1990 / 조선의 서학사 / 민음사
  • 12. [단행본] 구만옥 / 2004 / 조선후기 과학사상사연구 I / 혜안
  • 13. [단행본] 그랜트(E. Grant) / 1992 / 중세의 과학 / 민음사
  • 14. [단행본] 勞思光 / 1987 / 中國哲學史: 宋明編 / 탐구당
  • 15. [단행본] 야마다 케이지(山田慶兒) / 1993 / 朱子의 自然學 / 통나무
  • 16. [단행본] 전용훈 / 2004 / 여헌 장현광의 학문세계, 우주와 인간 / 예문서원
  • 17. [단행본] D’elia, P. M. / 1960 / Galileo in China / Harvard University Press
  • 18. [단행본] Milton K. Minitz / 1965 / Theories of the Universe / The Free Press
  • 19. [단행본] Nathan Sivin / 1973 / Studia Copernicana(VI) / Polska Akademia Nauk
  • 20. [단행본] 江曉原 / 1990 / 近代中國科技史論集 /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 21. [단행본] 中國天文學史整理硏究小組 / 1981 / 中國天文學史 / 科學出版社
  • 22. [학술지] 구만옥 / 2017 /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 (57) : 1 ~ 57 kci
  • 23. [학술지] 김성환 / 2013 / 김석문의 학문 배경과 『역학도해』의 전승 과정 / 국학연구 (22) : 407 ~ 22 kci
  • 24. [학술지] 김용헌 / 1996 / 金錫文의 宇宙說과 그 哲學的 性格 / 동양철학연구 / 15 : 363 ~
  • 25. [학술지] 민영규 / 1975 / 17世紀 李朝學人의 地動說: 金錫文의 易學二十四圖解 / 동방학지 / 16 : 1 ~
  • 26. [학술지] 小川晴久 / 1983 / 김석문의 우주론 / 한국과학사학회지 / 5 (1) : 132 ~ 1
  • 27. [학술지] 小川晴久 / 1979 / 地轉(動)說에서 宇宙無限論으로: 金錫文과 洪大容의 世界 / 동방학지 / 21 : 55 ~
  • 28. [학술지] 양순자 / 2015 / ‘太極’의 미완성된 자연화 - 金錫文의 「易學二十四圖解」를 중심으로 - / 동양철학 (43) : 171 ~ 43 kci
  • 29. [학술지] 이용범 / 1976 / 金錫文의 地轉論과 그 思想的背景 / 진단학보 / 41 : 77 ~
  • 30. [학술지] 전용훈 / 2010 / 17세기 서양 歲差說의 전래와 동아시아 지식인의 반응 / 한국실학연구 (20) : 357 ~ 20 kci
  • 31. [단행본] 전용훈 / 1997 / 한국천문력 및 고천문학: 태양력 시행 백주년 기념 워크샵 논문집 / 천문대 : 132 ~
  • 32. [학술지] 허종은 / 1994 / 김석문의 우주론과 그 사상사적 위치 / 한국동서철학연구회 논문집 / 11 : 173 ~
  • 33. [학술지] 황병기 / 2004 / 역학과 서구과학의 만남, 조선후기 사상의 내적 발전사 탐구 / 도교문화연구 (21) : 137 ~ 21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