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고구려의 한(漢)나라 고취(鼓吹) 수용과 그 독자적 특징

Goguryeo’s Reception of Han Dynasty’s Koch’wi and its Originality

한국학
약어 : KSQ
2017 vol.40, no.1, pp.253 - 276
DOI : 10.25024/ksq.40.1.201703.253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56 회 열람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의 고취는 주로 조선시대의 고취를 위주로 진행되어왔으며, 고구려의 고취를 주제로 한 연구는 보이지 않는다. 한국 고취의 원류는 한나라 ‘사고취기인(賜鼓吹伎人)’의 사료에서 찾을 수 있는데, 안악 3호분의 전실과 회랑에 그려진 주악도와 기대악대는 한나라의 황문고취(黃門鼓吹) 및 단소요가(短簫饒歌)와 비교할 수 있다는 견해가 일찍부터 제기된 바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료와 고고학 자료를 결합하여 고구려가 한나라 고취를 수용한 바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 고취에 대한 논의를 좀 더 심층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고구려 건국 전에 한의 무제(武帝)가 배소(排簫)와 가(笳)로 구성된 고취를 현도에 전해주었고, 현도를 통해서 고구려에 전해졌다. 이 배소와 가는 후대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져 있다. 그리고 고구려 고분벽화의 고취악대를 살펴본 결과, 고구려는 한나라에서 배소와 가 외에도 요(鐃)와 도고(鼗鼓)를 수용하여 건고(建鼓)와 같은 계열의 입고(立鼓)도 향유하고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한나라의 실내에서 무릎을 꿇고 배소·고·가를 연주하는 고취형식, 말을 타면서 요·가·배소·고를 연주하는 고취형식은 각각 고구려 안악 3호분의 주악도와 기마악대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고구려는 한나라의 고취악기와 고취형식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안악 3호분의 주악도와 기마악대의 고취가 각각 한나라의 황문고취와 단소요가에 해당된다는 견해는 더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고구려의 고취는 이중고(二重鼓), 담고(擔鼓), 담종(擔鐘), 목에 메는 북, 틀에 메는 북, 그리고 쌍뿔나발의 각(角)에서 독자적 특징을 보인다. 이중고는 한나라 계통의 기마악대에 편입하여 담고와 담종으로 구성된 보행악대와 같이 고구려 독자적인 고취형식을 완성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담고를 비롯한 여러 ‘메는 북’은 각과 조합된 형태의 고각(鼓角)으로,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전쟁터에서 군사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투고일 2016. 12. 20. 심사일 2017. 1. 16. 게재 확정일 2017. 2. 27. 주제어(keyword) 고취(Koch’wi), 고구려(Goguryeo), 한나라(Han Dynasty), 음악 수용(music reception), 독자적 특징(originality)

The research on Koch’wi as an important part of the Korean court music, especially on Goguryeo’s Koch’wi, is rather scarce. This paper focuses on Goguryeo’s reception of Han Dynasty’s Koch’wi, and aims at finding what instruments and performing forms of Han Dynasty’s Koch’wi were brought into Goguryeo, as well as at discussing the originality of Goguryeo’s Koch’wi. Prior to the founding of Goguryeo (37BC‒668AD), Emperor Wu of Han (r. 141‒97 BC) handed down Koch’wi a type of music consisting of panpipes and jia(笳) to the Xuantu(玄菟) Commandery. Later on this panpipe and jia Koch’wi was passed down to Goguryeo. According to Goguryeo ancient tomb mural, we can find panpipe, jia, yo(鐃), and dogo(鼗鼓) drum of Han. We can also find other similar drums and the same Koch’wi performing forms in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and Han tombs. However there are some special drums and trumpets which appeared in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This special drum‒trumpet Koch’wi was Goguryeo’s original creation, and was used on battleground as military techniques.

고취, 고구려, 한나라, 음악 수용, 독자적 특징
Koch’wi, Goguryeo, Han Dynasty, music reception, originality

  • 1. [기타] / 古今注
  • 2. [기타] / 舊唐書
  • 3. [기타] / 北堂書鈔
  • 4. [기타] / 史記
  • 5. [기타] / 隋書
  • 6. [기타] / 三國志
  • 7. [기타] / 삼국사기
  • 8. [기타] / 三輔黃圖
  • 9. [기타] / 宋書
  • 10. [기타] / 樂書
  • 11. [기타] / 樂府詩集
  • 12. [기타] / 周禮注疏
  • 13. [기타] / 前漢書
  • 14. [기타] / 晉書
  • 15. [기타] / 동국이상국집
  • 16. [기타] / 後漢書
  • 17. [기타] / 欽定周官義疏
  • 18. [단행본] 경북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실 / 2005 / 우리악기 보고 듣기 / 경북대학교박물관
  • 19. [단행본] 송방송 / 1985 / 한국고대음악사연구 / 일지사
  • 20. [단행본] 송방송 / 2012 / 한겨레음악대사전(상) / 보고사
  • 21. [단행본] 류둥성 / 2010 / 그림으로 보는 중국음악사 / 민속원
  • 22. [단행본] 이진원 / 2007 / 한국고대음악사의 재조명 / 민속원
  • 23. [단행본] 劉再升 / 2006 / 中國古代音樂史簡述 / 人民音樂出版社
  • 24. [단행본] 林謙三 / 1962 / 東亞樂器考 / 人民音樂出版社
  • 25. [단행본] 中國社會科學院 / 1996 / 簡明中國歷史地圖集 / 中國地圖出版社
  • 26. [단행본] 中國藝術硏究院硏究所 / 1984 / 中國音樂詞典 / 人民音樂出版社
  • 27. [단행본] 中國音樂文物大系編輯委員會 / 1996 / 中國音樂文物大系·四川卷 / 大象出版社
  • 28. [단행본] 中國音樂文物大系編輯委員會 / 1996 / 中國音樂文物大系·河南卷 / 大象出版社
  • 29. [단행본] 中國音樂文物大系編輯委員會 / 1999 / 中國音樂文物大系·北京卷 / 大象出版社
  • 30. [학위논문] 강연희 / 2004 / 고분벽화 주악도에 나타난 악기연구 : 4~6세기를 중심으로
  • 31. [학술지] 김성혜 / 2015 / 신라 고취대 재현을 위한 악기 편성 연구 / 한국음악사학보 (54) : 31 ~ 54 kci
  • 32. [학술지] 문주석 / 2007 /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각(鼓角)’ 연구 / 남북문화예술연구 (1) : 29 ~ 1 kci
  • 33. [학술지] 변미혜 / 1984 / 安岳第三號墳의 奏樂圖가 갖는 文化史的 意義에 관한 考察 / 한국음악연구 / 13·14 : 103 ~
  • 34. [학술지] 석현주 / 1996 / 낙랑고지와 집안의 고구려 음악: 고구려 고분 벽화의 악기에 기하여 / 예술논문집 / 11 : 219 ~
  • 35. [학술지] 송혜진 / 2006 /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북(鼓)의 유형 : 행렬악의 연주 형태에 기하여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28 : 1 ~ kci
  • 36. [학위논문] 申大澈 / 1995 /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 37. [단행본] 이혜구 / 1967 / 한국음악서설 / 서울대학교출판부 : 28 ~
  • 38. [학위논문] 郭學智 / 2007 / 漢代鼗鼓的圖像學硏究
  • 39. [학술지] 陶成濤 / 2014 / 作爲儀仗樂隊性質的黃門鼓吹 / 黃鐘 (4) : 65 ~ 4
  • 40. [학위논문] 馬玉香 / 2008 / 東周和漢代建鼓硏究
  • 41. [학술지] 武家昌 / 2006 / 冬壽墓壁畫中的樂器及相關問題 / 博物館硏究 (1) : 38 ~ 1
  • 42. [학술지] 宋娟 / 2009 / 長白山鼓吹樂初探: 以高句麗鼓吹樂爲中心 / 東北史地 (1) : 80 ~ 1
  • 43. [학술지] 孫尙勇 / 2002 / 黃門鼓吹考 / 黃鐘 (4) : 10 ~ 4
  • 44. [학위논문] 王希丹 / 2016 / 集安高句麗墓壁畫的音樂考古學硏究
  • 45. [학술지] 錢志熙 / 2010 / 論蔡邕述敘“漢樂四品”之第四品應爲相和淸商樂 / 北京大學學報 / 47 (2) : 43 ~ 2
  • 46. [학술지] 田疇農 / 1959 / 關於高句麗古墳壁畫上樂器的硏究 / 音樂硏究 (1) : 78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