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제보자 정보와 연계하여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제보자의 경험과 상흔을 관찰하고, 남성과 여성의 의식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나타나는 65편의 ‘지네각시 설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약 70%가 남성 제보자로부터 채록된 것이다. 우선 남성과 여성 제보자의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들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에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으면서 가정을 부양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동일시 양상을 중심으로 남성과 여성의 경험세계와 상흔을 관찰하였다. 우선 남주인공의 유형을 가장, 가난한 총각, 한량, 선비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고, 이에 대한 남녀 제보자의 동일시 양상을 관찰하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 ‘가난하여 가정을 부양할 수 없었던 가장’의 모습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으며, 여기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에 겪은 경제적 어려움이 노출되어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부재중인 남성을 대신하여 가장의 역할을 해야 했던 경험이 구술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가난하여 결혼할 수 없는 총각’의 모습은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경제적 이유로 객지를 전전한 제보자들의 경험과 외로움의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녀 제보자의 동일시 양상과 지네각시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하여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남녀의 의식세계를 고찰하였다. 남성의 의식세계에서는 남성의 강한 경제적 욕망이 가부장제도하에서의 헌신적 아내의 모습을 한 지네각시에 의해 성취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장의 무능력에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헌신적인 아내상을 받아들이는 여성 제보자들을 통해, 전반적으로 가부장제도하에서 살아온 남성과 여성 제보자들의 의식세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지네각시 설화, 남성 제보자, 여성 제보자, 경험세계, 상흔, 의식세계, 남성의 아니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가부장제도

참고문헌(11)open

  1. [학술지] 김정석 / 1993 / 『 지네각시』 설화의 전승과 그 의미 / 민족문화 16

  2. [단행본] 루이제 폰 프란츠 / 2013 / 인간과 상징 / 동서문화사

  3. [학위논문] 심민호 / 2003 / '지네 여인 변신 설화'의 지역성과 전승양상

  4. [단행본] 엘리자베트 바뎅테 / 2004 / 남자의 여성성에 대한 편견의 역사 / 인바이로넷

  5. [단행본] 월터 J. 옹 / 2014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문예출판사

  6. [학술지] 유강하 / 2010 / 스토리텔링과 리텔링 : 《妻妾成群》과〈大紅燈籠高高掛〉의 비교연구를 통한 인문치료 방법론 모색 / 중국소설논총 (31) : 469 ~ 492

  7. [학술지] 유진아 / 2016 / ‘구렁덩덩 신선비’에 나타나는 여성의 스키마와 상흔 / 정신문화연구 39 (2) : 31 ~ 56

  8. [학술지] 이지영 / 1997 / 용사설화의 측면에서 본 <지네처녀> 설화 / 구비문학연구 4

  9. [학술지] 정운채 / 2006 / 우울증에 대한 문학치료적 이해와 <지네각시> / 문학치료연구 5 : 161 ~ 170

  10. [학술지] 정운채 / 2008 /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 문학치료연구 9 : 247 ~ 278

  11. [학술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79 / 한국구비문학대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