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만해 한용운 연보의 쟁점과 주요 사례

Major Issues in Han Yong‒Un’s Chronological Listings

한국학
약어 : KSQ
2015 vol.38, no.3, pp.79 - 114
DOI : 10.25024/ksq.38.3.201509.79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47 회 열람

이 글의 목적은 여러 한용운 연보(年譜)를 대조하여 여러 쟁점을 도출하고, 자료에 근거하여 해소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배경은 한용운의 여러 연보에 주요 행적이 일치하지 않거나, 오류가 적지 않아 한용운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지 못하는 상황의 해소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는 Ⅱ장에서 평전의 출간과 연보의 대두 상황을 한용운 이미지의 유통 맥락과 연결시켜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1919년 3·1운동 전후의 연보 상황에서 빈번한 문제들을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 주요 사례를 쟁점으로 제시하고 여러 자료를 토대로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특히, Ⅲ장에서는 여러 연보를 대조하면서 한용운의 연보 상황에 주요 행적에 관한 시점 불일치, 주요 행적의 포함 여부, 동일한 단체명의 다른 표기, 시점 기록의 모호성 문제 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1919년 이전의 연보 상황에는 시점 불일치 문제가 가장 빈번하고, 1919년 이후의 연보 상황에는 주요 행적의 포함 여부 문제가 가장 크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Ⅳ장에서는 시점 불일치 문제의 주요 사례로 이향·출가 시점, 러시아여행의 출발·귀국 시점, 만주행의 내용과 귀국 시점 등을 검토하고, 각 시점을 1896년(18세)‒1903년(25세), 1904년(26세) 3월경, 1911년(33세) 8‒10월경으로 정리하였다. 만주행의 내용을 독립운동과 연결시키는 경향에 대해서는 여행 기간에 대한 고려, 여행 이후 한용운의 인적 교류 등에 대해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주요 행적의 포함 여부 문제의 주요 사례로는 명진학교 보조과 입학 여부, 『음빙실문집』을 접한 경험, 불교동맹회의 조직, 1919년 이후의 다양한 사회 활동 부분을 검토하고, 각 시점을 1907년(29세) 3‒12월, 1905년(27세) 6월‒1910년(32세), 1914년 8월경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명진학교 보조과 입학 여부와 『음빙실문집』에 관한 부분이 한용운의 근대 지식 습득과 연관되어 중요하다는 점, 불교 대중화라는 맥락에서 조선불교회와 함께 불교동맹회도 연보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는 점, 1919년 이후의 사회 활동이 관습적으로 누락되면서 한용운의 삶 전체를 이해하거나 후속 연구에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필자는 지면의 한계를 고려하여 주요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지만, 이 연구가 기존의 한용운 연보를 전반적으로 검토하면서 새로운 연보를 작성하기 위한 후속 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용운에 관한 이해가 심화되기를 기대한다.

We can find various discrepancies and errors in chronological listings of Han Yong‒Un. These don’t help to understand world view of Han Yong‒U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rive issues including chronological listings of Han Yong‒Un, and to solve some of them. For this,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relevance of images, critical biographies, and chronological listings of Han Yong‒Un. In chapter Ⅲ, I, examining the contents of chronological listings of Han Yong‒Un, presented their several issues such as differences in the time of major incidents, the exclusion of major incidents, errors in organizations’ name, and the vague description of major incidents’ time. Then, in chapter Ⅳ, I reviewed the cases of several issues in chronological listings of Han Yong‒Un, including time being priest and visiting Russia and Manchuria. I also explained the contents being involved in several organizations. And, through these, I argued that the resolution of the issues c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studying Han Yong‒Un. I expect to make this article a small contribution to elucidate several issues in the chronological listing of Han Yong‒Un, and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his life and major careers.

한국 불교, 한용운, 이미지(불교개혁론자, 민족주의자, 시인), 평전, 연보의 쟁점
Korean Buddhism, Han Yong‒Un, Images as a Reformer of Buddhism, a Nationalist, and National Poet, Critical Biography, Issues in Chronological Listing

  • 1. [기타] / 경향신문
  • 2. [기타] / 동아일보
  • 3. [기타] / 매일신보
  • 4. [기타] / 불교닷컴
  • 5. [기타] / 신한민보
  • 6. [기타] / 조선일보
  • 7. [기타] / 한겨레
  • 8. [기타] / 황성신문
  • 9. [학술지] / 1926 / 佛敎消息 梵魚寺의 敎堂 復活 / 불교 (24)
  • 10. [학술지] / 1912 / 잡보 門牌撤去 / 조선불교월보 (6)
  • 11. [학술지] / 1912 / 잡보 朴漢永師 歡心 / 조선불교월보 (7)
  • 12. [학술지] / 1912 / 잡보 月初師 披露會 / 조선불교월보 (7)
  • 13. [학술지] / 1911 / 雜報 中東 引繼 (3)
  • 14. [학술지] / 1912 / 잡보 會議院 會議 顚末 / 조선불교월보 (6)
  • 15. [학술지] / 1913 / 雜貨鋪 敎堂 擴張 / 조선불교월보 (17)
  • 16. [학술지] / 1932 / 佛敎社 韓龍雲 / 동광 (38)
  • 17. [단행본] / 1980 / 증보 한용운전집 제2권 / 신구문화사
  • 18. [학술지] / 1910 /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고시 제72호 / 朝鮮總督府官報 (69)
  • 19. [학술지] 기자 / 1931 / 名士 逢變錄‒韓龍雲氏의 拳銃洗禮 / 별건곤 (42)
  • 20. [학술지] 기자 / 1931 / (萬華鏡) 韓龍雲氏는 왜 ‒체머리를 흔드나 / 별건곤 (46)
  • 21. [학술지] 기자 / 1932 / 次代의 指導者 總觀 / 삼천리 / 4 (3)
  • 22. [학술지] 기자 / 1936 / 當代處士 찾어(2), 尋牛莊에 叅憚하는 韓龍雲氏를 차저 / 삼천리 / 8 (6)
  • 23. [학술지] 만해 / 1935 / 最後의 五分間 / 朝光 (創刊)
  • 24. [학술지] 불교회 / 1920 / 朝鮮佛敎會 宣傳書 / 朝鮮佛敎叢報
  • 25. [학술지] 한용운 / 1927 / 죽엇다가 다시 살아난 이약이–滿洲山間에서 靑年의 拳銃에 마져서 / 별건곤 (8)
  • 26. [학술지] 한용운 / 1930 / (이때까지 아모에게도 아니한 이약이, 秘中秘話) 남모르는 나의 아들 / 별건곤 (25)
  • 27. [학술지] 한용운 / 1930 / 나는 웨 僧이 되엇나? / 삼천리 (6)
  • 28. [학술지] 한용운 / 1932 / 나는 왜 이럿케 됏나, 그는 왜 중이 되엿나 / 별건곤 (47)
  • 29. [학술지] 한용운 / 1933 / 처음 서울 오든 때 ‒ 西伯利亞 거처 서울로 / 삼천리 / 5 (9)
  • 30. [학술지] 강미자 / 2006 / 한용운의 민족주의와 근대주의에 대한 일고찰 - 朝鮮獨立의 書를 중심으로 - / 역사와경계 (58) : 203 ~ 58 kci
  • 31. [학위논문] 강미자 / 2007 / 한용운의 불교개혁운동과 민족주의운동
  • 32. [단행본] 고은 / 1978 / 한용운평전 / 민음사
  • 33. [학위논문] 高宰錫 / 1990 / 韓國近代文學의 佛敎知性的 背景硏究 : 韓龍雲과 梁建植을 중심으로
  • 34. [단행본] 고재석 / 2010 / 한용운과 그의 시대 / 역락
  • 35. [학술지] 김광식 / 1995 / 1910年代 佛敎界의 曹洞宗 盟約과 臨濟宗 運動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2)
  • 36. [단행본] 김광식 / 2004 / 만해 한용운 평전: 첫 키스로 만해를 만난다 / 장승
  • 37. [학술지] 김광식 / 2006 / 명진학교의 건학정신과 근대 민족불교관의 형성김 광 식 / 불교학보 / 45 kci
  • 38. [학술지] 김광식 / 2008 / 한용운의 불교 근대화 기획과 승려결혼 자유론 / 대각사상 (11) : 399 ~ 11 kci
  • 39. [단행본] 김광식 / 2010 / 우리가 만난 한용운 / 참글세상
  • 40. [단행본] 김광식 / 2011 / 만해 한용운 연구 / 동국대학교출판부
  • 41. [단행본] 김삼웅 / 2006 / 만해 한용운 평전 / 시대의창
  • 42. [학술지] 김순석 / 2003 / 統監府 시기 佛敎界의 明進學校 설립과 운영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21 : 4 ~ kci
  • 43. [단행본] 김열규 / 1982 / 한용운연구 / 새문사
  • 44. [학술지] 김종해 / 1971 / 만해 한용운 해적이(年譜) / 나라사랑 (2)
  • 45. [학술지] 김진무 / 2011 / 근대 합리주의 인간관의 유입과 佛性論의 재조명 -梁啟超와 韓龍雲의 佛性論 이해를 중심으로- / 禪學(선학) (29) : 321 ~ 29 kci
  • 46. [학위논문] 金春男 / 1985 / 梁啓超를 통한 萬海의 西歐思想 수용 : 朝鮮 佛敎維新論을 中心으로
  • 47. [학술지] 남도영 / 1981 / 舊韓末의 明進學校: 最初의 近代式 佛敎學校 / 역사학보 (90)
  • 48. [단행본] 만해사상연구회 / 1980 / 한용운 사상연구 / 민족사
  • 49. [단행본] 만해 한용운선생 전집간행위원회 / 1980 / 증보 한용운전집 제1권‒제6권 / 신구문화사
  • 50. [단행본] 박걸순 / 1992 / 한용운의 생애와 독립투쟁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51. [단행본] 박재현 / 2015 / 만해 그날들: 한용운 평전 / 푸른역사
  • 52. [학술지] 서굉일 / 2003 / 단애 윤세복과 독립운동 / 경기사학 (7)
  • 53. [학술지] 신진숙 / 2009 / 동아시아 근대담론 속에 나타난 민족과 윤리주체의 의미 고찰* - 萬海사상과 梁啓超의 <新民設>을 중심으로 - / 동악어문학 (53) : 295 ~ 53 kci
  • 54. [학술지] 안병직 / 1979 / ‘朝鮮佛敎維新論’의 분석: 萬海탄신 100주년 기념논문 / 창작과 비평 / 14 (2)
  • 55. [단행본] 안병직 / 1980 / 한용운 / 한길사
  • 56. [단행본] 염무웅 / 1981 / 한국현대시문학대계 2 / 지식산업사
  • 57. [학술지] 이동언 / 1993 / 一松 金東三 硏究 ‒ 國內와 亡命 初期의 活動을 中心으로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
  • 58. [학술지] 李善伊 / 2003 / 만해 韓龍雲 文學에 나타난 脫植民主義的 인식 / 어문연구(語文硏究) / 31 (2) : 245 ~ 2 kci
  • 59. [학술지] 이평전 / 2009 / 한용운 소설에 투영된 근대 사상 연구 / 동악어문학 (52) : 117 ~ 52 kci
  • 60. [학술지] 이혜숙 / 2013 / 한용운 소설의 인물과 근대사상 형상화 양상- 장편 『흑풍(黑風)』과 『박명(薄命)』을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 / 26 : 245 ~ kci
  • 61. [단행본] 임중빈 / 1979 / 만해 한용운 / 태극출판사
  • 62. [학위논문] 전보삼 / 2007 / 화엄의 관점으로 본 만해사상 연구
  • 63. [단행본] 전보삼 / 1992 /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만해의 불교사상 / 민족사
  • 64. [학술지] 조명제 / 2014 /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과 일본의 근대지(近代知) / 한국사상사학 (46) : 313 ~ 46 kci
  • 65. [단행본] 조영암 / 1957 / 녹원 제1권 / 녹원사
  • 66. [학술지] 한기두 / 1976 / 佛敎維新論과 佛敎革新論 / 창작과 비평 / 11 (1)
  • 67. [학술지] 한상길 / 2012 / 이동인과 만해: 근대불교의 개화와 유신 / 만해학보 (12)
  • 68. [학술지] 한상복 / 1989 / 獨立運動家 家門의 社會的 背景: 友堂 李會榮 一家의 事例硏究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
  • 69. [인터넷자료] / / 만해기념관
  • 70. [인터넷자료] / / 만해마을
  • 71. [인터넷자료] / / 만해NGO교육센터
  • 72. [인터넷자료] / / 봉국사
  • 73. [인터넷자료] / 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