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장애에 대한 이분법적 시선과 담론의 극복

Overcoming Dichotomous Views on Disability through Social Discourse

한국학
약어 : KSQ
2014 vol.37, no.4, pp.163 - 190
DOI : 10.25024/ksq.37.4.201412.163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66 회 열람

이 글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의 원인이 장애 그 자체보다는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에 기반한 사회적 담론에 있다고 본다. 근본적으로 장애를 바라보는 시각은 노라 엘렌 그로스(Nora Ellen Groce)가 말한 것처럼 ‘사회적 가공구조물(a social construct)’일 수 있다. 손상(impairment)이 있는 사람들을 장애인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사회이다. 이런 결과를 낳은 배경에는 다수와 소수자, 정상인과 비정상인, 완전과 불완전이라고 하는 장애에 대한 역사적·사회적으로 뿌리 깊은 선입견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다. 장애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과 그것에 기반한 사회적 담론은 장애의 문제를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하고 장애에 대한 그릇된 사회적 인식을 계속해서 재생산해낸다. 이 글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에서부터 근현대 서구에 이르기까지 장애에 대한 역사적·사회적 담론을 추적하여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의 이분법적인 시선과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배제와 차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밝히고 있다. 이 점에서 들뢰즈의 플라톤 비판과 푸코의 근대적 이성에 대한 비판은 완전과 불완전, 정상과 비정상이라고 하는 사회의 이분법적 시선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에 기초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가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장애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완전과 불완전이라고 하는 이분법적 사고와 담론의 극복이 요구된다. 이 점에서 이 글은 완전과 불완전, 정상과 비정상이 서로 상대적이며, 한계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장자를 주목한다. 장자는 꼽추 지리소(支離疏), 한발을 잘린 왕태(王駘), 외발 신도가(申徒嘉), 한 발을 잘린 숙산(淑山), 너무나 못생긴 애태타(哀鮐它) 등 장애인들을 등장시키고 그들을 이분법적 시선이 아닌 ‘도추’의 입장에서 조명하여 그들이 그 자체로 완전한 인간임을 주장한다. 장자의 주장은 우리가 인식을 바꿀 때 대상도 달리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노라 엘렌 그로스가 마서즈 비니어드 사람들의 청각 장애인들에 대해 수행한 문화인류학적인 연구는 장자의 입장을 뒷받침해준다. 섬사람들이 장애와 비장애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살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사회적 인식에 그러한 구분이 없었기 때문이다. 장애를 완전정상과 비정상이라는 이분법적 시선이 아니라, 장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그리고 노라 엔렌 그로스가 수행한 연구에서 입증된 것처럼 장애 그 자체를 사회적으로 포용할 때 장애 문제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ocial discourse on disability based on dichotomous views and tries to show a new way of thinking.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disability is the cause of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people. But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people arise not out of the disability itself, but it is connected with social consciousness. This Paper is to trace back to the civilizations of ancient Greece and Rome, middle age and modern western society in order to disclose that the social discourse of disability based on dichotomous views was the cause of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people. If we look back at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nce Plato, we can find It that dichotomous views exert strongly its influence on the mainstream of western philosophy. As G. Deleuze and M. Foucault criticized sharply, dichotomous views that divided perfection and imperfection, equality and inequality, normal and abnormal could be easily connected with conceptions of discrimination. On a basis of this dichotomous views, social prejudice of disability was formed and it permeated through all society. As a result, people take it for granted that disability is discriminated and excluded from society. As Nora Ellen Groce says, disability is a social construct. The main caus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disability is not connected with disability itself, but social prejudice based on dichotomous views. To overcome discrimination of disability, to change social prejudice of disability, this paper refered to ancient chinese Philosopher Chuang ‒ntzu who criticised the dichotomous ways of thinking and views. He showed whole dimension of Dao. In it we find a new way of thinking and view on disability.

장애, 플라톤, 들뢰즈, 푸코, 장자, 이분법적 시선, 장애에 대한 사회적 담론, 완전/불완전, 정상/비정상, 사회적 가공구조물
disability, Plato, Deleuze, Foucault, Chuang‒htzu, dichotomous way of thinking, social discourse of disability, perfection and imperfection, normal and abnormal, a social construct

  • 1. [단행본] 김도현 / 2007 /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 / 메이데이
  • 2. [단행본] 김도현 / 2009 / 장애학 함께 읽기 / 그린비
  • 3. [단행본] 박수경 / 2008 / 장애의 사회적 의미와 사회통합 / 집문당
  • 4. [단행본] 유동철 / 2009 / 인권 관점에서 보는 장애인 복지 / 집문당
  • 5. [단행본] 이동희 / 2011 / 세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철학이야기 / 휴머니스트
  • 6. [단행본] 정창권 / 2011 /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 글항아리
  • 7. [단행본] 陳鼓應 / 1981 / 莊子今註今譯 / 臺灣商務印書館
  • 8. [단행본] Barnes, Colin / 2006 / 장애학: 과거·현재·미래 / 대구장애인연맹
  • 9. [단행본] Bentham, J / 1970 / An Introdu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 The Athlone Press
  • 10. [단행본] Bentham, J / 2010 / 파놉티콘 / 책세상
  • 11. [단행본] Charton, James I / 2009 / 우리 없이 우리에 대한 것은 없다 / 울력
  • 12. [단행본] Deleuze, G / 2004 / 차이와 반복 / 민음사
  • 13. [단행본] Foucault, Michel / 1999 / 광기의 역사 / 인간사랑
  • 14. [단행본] Foucault, Michel / 1990 / 성의 역사 1 / 나남
  • 15. [단행본] Foucault, Michel / 1990 / 성의 역사 2 / 나남
  • 16. [단행본] Foucault, Michel / 1990 / 성의 역사 3 / 나남
  • 17. [단행본] Groce, Nora Ellen / 2003 / 마서즈 비니어드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 한길사
  • 18. [단행본] 이충민 / 2005 / 약자의 찬가 / 새물결출판사
  • 19. [단행본] Kant, Immanuel / 1784 / Beantwortung der Frage: Was ist Aufklärung? / Berlinische Monatsschrift : 481 ~
  • 20. [단행본] Platon, Politeia / 1997 / 국가 / 서광사
  • 21. [단행본] Plutarch / 1999 / 플루타르크 영웅전 / 범우사
  • 22. [단행본] Ralston, D. Christopher / 2011 /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Disability / Springer
  • 23. [단행본] Stiker, Henri‒Jaques / 1982 / Corps infirmes et sociétés / Aubier Montaigne
  • 24. [단행본] Talle, Aud / 2011 / 우리가 아는 장애는 없다 / 그린비
  • 25. [기타] Thomas, K / 1977 / The Place of Laughter in Tudor and Stuart England / Times Literary Supplement 21 January : 77 ~
  • 26. [단행본] Tremain, Shelly / 2005 / Foucault and the Government of Disability(Corporealities: Discourses of Disability) /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27. [단행본] Wilkinson, Richard G / 2008 / 평등해야 건강하다: 불평등은 어떻게 사회를 병들게 하는가 / 후마니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