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에서는 『효경언해(孝經諺解)』의 이본을 비교하여 이들에 드러나는 구결 및 언해 양상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이본의 특징과 이본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비교·분석한 이본은 만력 18년(1590)의 내사기가 있는 만력본, 강희 5년(1666)의 내사기가 있는 강희본, 『효경대의(孝經大義)』의 난상에 언해를 쓴 종이를 붙여놓은 규장각본과 국립도서관본이다. 만력본과 강희본은 각각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었지만, 이들 이본과 규장각본, 국립도서관본에 대한 비교·분석은 지금까지 없었다. 표기, 음운의 측면에서 일어난 변화를 보면 만력본, 강희본, 규장각본의 양상이 같고 국립도서관본에서 달라지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구결, 문법, 어휘의 경우는 강희본에서 변화가 일어나 규장각본, 국립도서관본까지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규장각본은 강희본의 언해를 가능한 한 그대로 옮겨 적은 것이지만, 국립도서관본은 강희본의 언해를 옮겨 적으면서도 필사시기 당시의 표기 및 음운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립도서관본이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을 통해 그 필사시기가 19세기 후반 이후라고 추정할 수 있다.

키워드

『孝經諺解』(Hyogyŏngŏnhae), 만력본(a version printed in 1590), 강희본(a version printed in 1666), 규장각본(different versions of Kyujangkak’s collection), 국립도서관본(a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s collection)

참고문헌(12)open

  1. [기타] / 1236 / 孝經大義 / 국립중앙도서관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일산 古

  2. [기타] / 1063 / 孝經大義 규장각본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奎中 1063, 奎中 1064, 奎中 1065, 奎中 1066, 奎中 1070, 奎中 1120, 奎中 1123, 奎中 1129, 奎中 1771

  3. [기타] / 1328 / 孝經諺解, 강희본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古 1328 2.

  4. [기타] / 孝經諺解 만력본 / 尊經閣 소장 (朝鮮學報 27, 영인)

  5. [학술지] 김해정 / 1986 / 「孝經諺解」 硏究 / 論文集 8 : 3 ~ 29

  6. [단행본] 안병희 / 1992 / 「孝經諺解」와 「孝經口訣」 / 문학과 지성사 : 462 ~ 473

  7. [학술지] 여찬영 / 2003 / 언해서 「효경언해」의 일 연구 / 한국말글학 20 : 99 ~ 125

  8. [학술지] 여찬영 / 2003 / 『효경언해』의 번역비평적 연구 / 언어과학연구 27 : 197 ~ 222

  9. [학술지] 여찬영 / 2004 / <효경언해>의 원문에 대한 연구 / 어문학 84 (84) : 99 ~ 122

  10. [학술대회] 옥영정 / 2011 / 「孝經」 언해본의 판본과 계통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2011년도 제3차 국내학술회의 <孝經과 孝經諺解의 再照明> 발표문

  11. [단행본] 이기문 / 1998 / 新訂版 國語史槪說 / 태학사

  12. [학술지] 이재영 / 2007 / 朝鮮時代 孝經의 刊行과 그 刊本 / 서지학연구 (38) : 323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