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주자와 스피노자는 왜 비슷한가? - 한형조 교수가 <주자신학논고 시론>에서 제기한 화두에 답함 -

한국학
약어 : KSQ
2009 vol.32, no.3, pp.385 - 415
DOI : 10.25024/ksq.32.3.200909.385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39 회 열람

왜 주자와 스피노자는 서로 비슷한가? 한형조 교수가 신간 『왜 조선유교인가』의 「주자신학논고시론」에서 제기한 화두다. 한교수는 내재적 초월의 신학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두 사람이 서로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한교수는 『왜 조선유교인가』전반을 통해 동양사유와 유럽 근대사유는 서로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하였다. 스피노자는 유럽 근대철학의 비조다. 그렇다면 한교수는 두 개의 상충하는 주장을 병렬한 셈이다. 한편으로는 주자와 스피노자의 근원적 상동성, 다른 한편으로 동양사유와 유럽 근대사유의 근원적 상이성. 이 논문은 이 두 진술의 아포리아를 풀어본다. 그 해결 방향은 보다 넓은 틀 안에서 두 사람의 공통성의 근거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주자와 스피노자의 공통성은 두 사람의 사유가 아래 세 층위의 중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로 같기 때문이다. 1) ‘맹자의 땀’으로 상징되는 현대 인류의 근원적 종교성, 2) 최초로 성속이 분리되고, 성이 속을 통섭하였던 기축시대(Axial Age)의 보편윤리, 3) 성이 속을 통섭하던 사유틀을 속이 성을 통섭하는 사유틀로 전환시킨 ‘내재적 초월’의 사유틀. 세 번째 최상위 층위의 ‘내재적 초월’은 ‘역사적 근대’의 정신적 표현이기도 하였다. 진화생물학이 새로 밝힌 인류의 기원에 관한 이론과 대안적 근대성 이론인 ‘중층근대성론’이 논거로 제시된다.

주자ㆍ스피노자, 맹자의 땀, 기축시대, 역사적 근대
ZhuxiㆍSpinoza, Mencius's sweat, The Axial Age, Historical modern age

  • 1. [학술대회] 김상준 / 2002 / 백호, 다산의 예론과 정치신학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발표
  • 2. [학술지] 김상준 / 2003 / 조선후기 사회와 ‘유교적 근대성’ 문제 / 대동문화연구 / 42 : 59 ~ kci
  • 3. [학술지] 김상준 / 2003 / 남인 예론과 근대 주권론 / 다산학 (4) : 163 ~ 4
  • 4. [학술지] 김상준 / 2005 / 대중 유교로서의 동학: '유교적 근대성'의 관점에서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68) : 167 ~ 68 kci
  • 5. [학술지] 김상준 / 2007 / 중층근대성:대안적 근대성 개요 / 한국사회학 / 41 (4) : 242 ~ 4 kci
  • 6. [학술지] 김상준 / 2008 / 잊혀진 세계화: 송원(宋元) 연간의 세계 변화와 ‘사건’으로서의 정주학 / 사회와 이론 / 13 (13) : 251 ~ 13 kci
  • 7. [단행본] 루이기 카발리-스포르자 / 2005 / 유전자, 사람, 그리고 언어 / 지호
  • 8. [단행본] 릴리스포드, 존 / 2003 / 유전자 인류학 / Human & Books
  • 9. [단행본] 마루야마 마사오 / 1995 / 일본정치사상사연구 / 통나무
  • 10. [단행본] 스펜서 웰스 / 2002 / 최초의 남자 / 사이언스 북스
  • 11. [단행본] 야마다 케이지 / 1991 / 주자의 자연학 / 통나무
  • 12. [단행본] 제러드 다이아몬드 / 1996 / 제3의 침팬지 / 문학사상사
  • 13. [단행본] 제러드 다이아몬드 / 1998 / 총,균,쇠 / 문학사상사
  • 14. [단행본] 개렬, 션 / 2008 / 한 치의 의심도 없는 진화 이야기 / 지호
  • 15. [단행본] 한형조 / 1996 /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도서출판 세계사
  • 16. [학술지] 한형조 / 2004 / 논단: 조선 유학의 지형도 / 오늘의 동양사상 / 11 : 275 ~ kci
  • 17. [단행본] 한형조 / 2000 / 왜 동양철학인가 / 문학동네
  • 18. [단행본] 한형조 / 2008 / 왜 조선유학인가 / 문학동네
  • 19. [단행본] Armstrong, Karen / 2006 /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World in the Time of Buddah, Socrates, Confucius and Jeremiah / Atlantic Books
  • 20. [단행본] Arthur, Lovejoy / 1936 / The Great Chain of Being / Harvard UP,
  • 21. [학술지] Economist / 2005 / The Proper Study of Mankind : 3 ~
  • 22. [단행본] Eisenstadt, Shmuel / 1986 / The Origins and Diversity of Axial Age Civilizations / SUNY Press
  • 23. [단행본] Hoeller, Stephan / 2002 / Gnosticism / Quest Books
  • 24. [단행본] Jaspers, Karl / 1953 / The Origin and Goal of History / Routledge & Kegan Paul LTD
  • 25. [단행본] Otto, Rudolf / 1950 / The Idea of the Holy / Oxford University Press
  • 26. [단행본] Cavalli-Sforza, Luigi Luca / 1994 /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 Princeton UP
  • 27. [단행본] Stringer, Christopher / 1997 / African Exodus: The Origins of Modern Humanity / Henry Holt
  • 28. [학술지] White TD / 2003 / Pleistocene Homo sapiens from Middle Awash, Ethiopia / Nature / 423 : 7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