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건국과 전쟁에 의한 지역 공간의 지정학적 변화-해방 전후~1950년대 인천시 강화군 교동의 사례

Regional Changes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ase of Gyodong-myeon, Ganghwa-gun, Incheon from 8ㆍ15, 1945 to 1950s

한국학
약어 : KSQ
2008 vol.31, no.3, pp.71 - 102
DOI : 10.25024/ksq.31.3.200809.71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61 회 열람

이 글은 분단과 건국, 전쟁이 지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근대 국가 형성과정에서 공업화가 전통 사회를 변모시켰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1960, 70년대의 공업화에 앞서 전쟁이 전통 사회를 바꾸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서울과는 비교적 가까우면서도 휴전선 접경지대역인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을 여러 차례 현지조사하였다. 구술자와의 면담 과정에서 건국과 전쟁을 거치면서 지역사회의 지정학적인 변화를 발견하게 되었고, 그 변화는 지역 권력관계의 변화의 결과였다. 한국전쟁 시기 교동은 다른 지역과 비슷하게 좌우 대결과 학살 사건, 수많은 월남인과 월북인 등이 발생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교동은 바다와 항구를 배경으로 열린 공간에서, 섬이 철책과 반공으로 봉쇄당한 닫힌 공간으로 변모되었고, 또한 전통적 권력이 해체되면서 면소재지가 이동하게 되었다. 21세기 교동에 탈냉전의 훈풍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철책이 걷히고, 바다가 열려야 한다. 세계적 탈냉전의 시간 속에서 교동 주민이 살게 되기 위해서는 한반도에 진정한 냉전 해체와 화해의 시대가 개막되어야 한다.

This paper tries to find how the division, the founding of a state, and the war in the Korean Peninsula effected changes to a small regional society. Generally speaking, industrialization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changing traditional societies into modern states and it caused the rush of rural population into urban areas.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had affected the traditional Korean community in advance of industrialization in 1960~70s was the Korean war. According to this supposition, I have investigated several periods of Gyodong-myeon(Gyodong island), Ganghwa-gun, Incheon, an island nearest to the western point of cease-fire zone in South Korea. While interviewing 25 interviewees, I found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War and regional geopolitics. The geopolitical change was due to change of regional power relationship. Similar to the other regions during the Korean War, there were lots of accidents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genocide, many Wolnamin who were displaced from the North to South Korea and Wolbukin who were displaced from the South to North Korea in small Gyodong island. During the war, that area was changed from an open to a closed island enclaved by iron fence and anti-communism, and its traditional powers were forced to be dissolved. And the island's center which the powers including the great land owners lived in, was changed into an ordinary village and the center moved to the another site, where many anti-communists and Wolnamins gathered rapidly. If a warm wind is rising in Gyodong island in the age of the post cold war, first of all the iron fence of the division has to be broken away and closed waters should be opened.

분단(Korean Division), 건국(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한국전쟁(Korean War), 강화군 교동(Gyodong-myeon, Ganghwa-gun), 지정학적 변화(geological change), 구술사 방법론(oral history methodology), 현지조사(fieldwork)

  • 1. [단행본] 8240강화독립부대 유격군동지회 / 2004 / 8240 / 8240강화독립부대 유격군동지회
  • 2. [단행본] 강인철 / 2007 /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 중심
  • 3. [기타] 강화군 기획감사실 / 2006 / 제46회 강화군통계연보 / 강화군청
  • 4. [기타] 교동지역 교회연합사 / 1999 / 교동선교100년사 / 교동지역 교회연합사
  • 5. [기타] 교동초등학교100년사편집위원회 / 2006 / 교동초등학교백년사 / 교동초등학교총동창회
  • 6. [기타] 교동향교지편찬위원회 / 1987 / 교동향교지 / 교동향교
  • 7. [단행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 2003 / 한국전쟁의 유격전사 / 국방부
  • 8. [단행본] 국방부 정훈국 전사편찬위원회 / 1952 / 한국전란1년사 / 국방부
  • 9. [단행본] 국회사무처 / 1949 / 국회임시회의속기록 / 국회사무처
  • 10. [단행본] 권태환 / 2002 / 이해 / 서울대학교출판부
  • 11. [학술지] 김귀옥 / 2000 / 잃어버린 또하나의 역사: 한국전쟁시기 강원도 양양군 미군정 통치와 반성 / 경제와 사회 : 30 ~
  • 12. [단행본] 김귀옥 / 2003 / 전쟁과 공간, 인간의 사회학적 만남: 속초 월남민 공동체를 중심으로 / 나남출판
  • 13. [학술지] 김귀옥 / 2006 / 지역의 한국전쟁 경험과 지역사회의 변화: 강화도 교동 섬 주민의 한국전쟁 기억을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 40 ~ kci
  • 14. [기타] 김귀옥 / 2007 / 한국전쟁과 강화도, 고통의 기록: 강화지역 한국전쟁 피해자 조사 실태보고서 / 한성대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전쟁과평화연구소
  • 15. [학술지] 박찬승 / 2003 / 20세기 전반 동성마을 영보의 정치사회적 동향 / 지방사와 지방문화 / 6 (2) : 127 ~ 2 kci
  • 16. [학술지] 박찬승 / 2004 / 20세기 전반 禮山의 정치·사회적 동향과 지역엘리트 / 지방사와 지방문화 / 7 (1) : 233 ~ 1 kci
  • 17. [단행본] 송남헌 / 1985 / 해방3년사(I) / 까치
  • 18. [학위논문] 이승억 / 1993 / 8ㆍ15 후 남한에서의 금융조합 재편과정(1945~1958)
  • 19. [학술지] 이용기 / 2001 /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경기도의 한 ‘모스크바’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문제연구 (6) : 11 ~ 6
  • 20. [기타] 재인교동면민회 / 1995 / 교동향토지 / 재인교동면민회
  • 21. [단행본] 정근식 / 1992 / 한국전쟁과 지방사회의 갈등 / 풀빛
  • 22. [기타] 정근식 / 2005 / 한국전쟁과 지역연구 / 한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전쟁과평화연구소 제1회 콜로키움 발표문
  • 23. [학위논문] 조성일 / 1990 / 1920년대 민족교육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서당ㆍ야학을 중심으로
  • 24. [기타] 조이현 / 1999 / 한국전쟁기 ‘8240부대편성표’와 ‘8240부대원명단’ / 기록보존 : 225 ~
  • 25. [단행본] 조희연 / 2004 / 한국의 정치사회적 저항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 함께읽는책
  • 26. [학술지] 최태육 / 2007 / 강화군 민간인학살: 유격대 교전지역에서의 학살 / 제노사이드연구 : 155 ~
  • 27. [단행본] 표인주 / 2003 / 전쟁과 사람들: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 한울
  • 28. [기타] 황규열 / 1995 / 교동사 / 교동문화연구원
  • 29. [단행본] 황인병 / 1899 / 교동군읍지, 광무 3년 5월(1899) / 출판사 미상
  • 30. [학술지] Kim,Gwi-Ok / 2006 / Regional Korean War and Oral History Research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9 (2) kci
  • 31. [기타] Yoon,Taek-Lim / 1992 / Koreans' stories about themselves:an ethnographic history of Hermit Pond Village in South Korea / Minneapolis,MN:University of Minnes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