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경북 방언 중에서 문경, 상주, 김천, 구미 지역을 포괄하는 경북 서부방언의 상대경어법 등분 체계에 대한 핵심 쟁점은 하이소체와 하소체의 구분, 그리고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이라는 2가지 문제로 압축할 수 있다. 여타의 경북 방언과 달리 경북 서부방언은 하이소체와 하소체가 구분되어야 한다. 각각의 문장 유형에 따른 종결어미가 빈칸 없이 모두 존재하며, 두 등분이 사용되는 상대가 분명하게 구분되기 때문이다. 또한 비격식체로 다루어지는 해체와 해요체 역시, 격식체의 등분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2등분 이상에 걸쳐 있기 때문에 격식체와 구분되는 별도의 등분으로 설정된다.격식체 어미들 중에서 하이소체 종결어미로는 ‘-ㅂ니다(평서), -ㅂ니까(의문), -(으)이소(명령), -(으)입시다(청유),’ 하소체는 ‘-요/소(평서), -요/소(의문), -(으)소(명령), -(으)ㅂ시다(청유),’ 하게체는 ‘-네, -는가/고, -게, -세,’ 해라체는 ‘-는다/ㄴ다/다/라, -나/노/가/고, -어라, -자’ 등의 어미가 쓰이고 있다. 또한 ‘-어’ 및 ‘-어요’로 대표되는 해체와 해요체의 비격식체 어미들도 사용된다. 이러한 종결어미들의 목록으로 구성되는 경북 서부방언의 상대경어법 체계는 3등분의 체계로 기술되는 여타의 경북 방언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에서 중요한 방언 특징으로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경북 서부방언, 상대경어법, 등분, 격식체와 비격식체, 종결어미, 이형태.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 1978 / 안동방언의 서술법과 의문법

  2. [학술지] / 1974 /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0-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 [학술지] / 1996 / 높임법의 등분 21 : 1 ~ 16

  4. [학술지] / 1996 / 경북말의 높임법 연구

  5. [학술지] / 1994 / 문경말의 어미구조에 대한 통시적 연구

  6. [학술지] / 1988 /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

  7. [학술지] / 1984 / 존대법의 연구

  8. [학술지] / 2004 / 서북경북방언의 문장종결조사 ‘-여’ 26 : 17 ~ 48

  9. [학술지] / 2006 / 방언에서의 청자존대법 연구 47 : 449 ~ 544

  10. [학술지] / 2003 / 국어방언문법

  11. [학술지] / 1969183~217쪽 / 경상북도의 방언 구획 계명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12. [학술지] / 1985 / 성주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13. [학술지] / 1991 / 경북 방언의 경어법 국립국어연구원

  14. [학술지] / 2000 / 경북 방언 사전

  15. [학술지] / 1974 /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16. [학술지] / 1999 / 국어문법론강의

  17. [학술지] / 2005 / 무주영동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18. [학술지] / 2005 / ‘버리-’(棄)의 방언형과 분포 2 : 355 ~ 380

  19. [학술지] / 2007 / 경북 서부방언의 종결어미 ‘-어여’ 37 : 335 ~ 360

  20. [학술지] / 1998 / 안동방언의 청자대우법 : 461 ~ 484

  21. [학술지] / 1979 / 경북 상주방언의 활용어미 연구

  22. [학술지] / 1993 / 문경 방언 동사류의 형태론적 연구

  23. [학술지] / 1965 / 경북지방의 방언 구획

  24. [학술지] / 1980 / 경북동해안방언연구

  25. [학술지] / 1994 /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26. [학술지] / 1983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7. [학술지] / 1987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8. [학술지] / 1991 / 국어 종결어미 연구

  29. [학술지] / 2004 / 현대 우리말의 마침씨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