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30.120
18.222.130.120
close menu
KCI 등재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Discourse semiotics analysis on Lee Hyo-seok’s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홍정표 ( Hong Jeong-pyo )
기호학 연구 60권 165-188(24pages)
DOI 10.24825/SI.60.7
UCI I410-ECN-0102-2021-700-000273291

담화 기호학은 의미를 완료되고 정립된 것으로 보지 않고 구축 중이거나 생성 중인 관점으로 고찰하며, 감각과 지각, 발화 행위와 발화 작용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여기서 발화란 개인적 사용에 의한 랑그의 가동, 즉 말할 때마다 재창조되는 파롤을 의미한다. 의식의 구조와 주관성에 대한 연구인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주체의 회상과 서술자의 원초적 경험을 알아보았다. 주체 허생원이 과거를 추억한다는 것은 텍스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달밤에 주체는 시각을 통한 분리작용으로 옛 기억을 떠올린다. 달밤은 외부 세계를 가리키는 <표현면>이고 주체의 내부에 보존되어 있는 그 이야기는 내부 세계를 가리키는 <내용면>인데, 이 두 면은 지각하는 신체에 의해 연결된다. 느낌의 세계인 지각의 현상은 원초적인 최초의 사실이며 거기서부터 모든 논리적 가지성이 시작된다. 서술자의 원초적 경험은 그가 직접 느끼는 대로 드러난 것이고, 관념이 아니라 사물 자체로 돌아가는 것이다. 긴장적 접근에서 긴장도식은 긴장적이고 점차적인 차이를 도식화한 것이며, 지각 활동의 두 발랑스인 강도와 범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텍스트의 내용에 증대도식과 애착의 긴장도식을 적용하여 표현한 결과, 이 도식이 작중인물의 의식이나 의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수사학적 접근에서는 수사학의 문채와 전의가 발화 이론의 도움으로 역동성을 지니는 것을 살펴보았다. 표준수사도식 3단계는 대치, 지배, 해소로 구성되는데, 텍스트에 등장하는 달, 메밀꽃, 허생원을 이 도식으로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인간미 추구에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는 「메밀꽃필 무렵」에 대해 담화 기호학의 현상학적, 긴장적, 수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이론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Discourse semiotics considers meaning as something that are being constructed or generated rather than those that have been completed and established,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sense, perception and enunci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examines the subject’s recollection and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narrator. The fact that the subject Mr. Heo recalls the past is very meaningful in the text. On a moonlit night, the subject recalls old memories due to dissociation through a vision. The phenomenon of perception, which is the world of feeling, is the original first fact and all logical branching begins from there.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narrator is revealed as he feels firsthand, and returns not to the idea, but to the object per se. The tension schema is the schematization of tense and gradual differences.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strength and range, two valences of perceptual activity. As a result of applying an augmentation schema and attachment tension schema to the contents of the text, it was proved that the tension schema can be used to express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 in the work. In the rhetorical approach, the fact that the figure and trope of rhetoric have dynamics with the help of the enunciation theory was examined. The three steps of the standard rhetorical schema consist of confrontation, domination, and resolution. The moon, buckwheat flowers, and Mr. Heo that appear in the text were analyzed with the schema to prove their applicability.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is a work of Lee Hyo-seok, who is regarded as an author who excellently pioneered short stories in theory and practice, and is one of the works that is regarded as a highlights of modern short stories in Korea. In this paper, this work, which is considered to have successfully pursued humanity, is examined centering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ension schema, and rhetorical approach of discourse semiotics to prove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theory.

Ⅰ. 머리말
Ⅱ. 현상학적 접근
Ⅲ. 긴장적 접근
Ⅳ. 수사학적 접근
Ⅴ.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