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과정으로서의 회복 관점에서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지역에 위치한 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정신장애인 32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4.34세였고 평균 유병기간은 24.68년이었으며 정신요양시설 총입소기간은 평균 16.97년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회복 정도는 5점 척도(0~4점)에서 평균 2.37점이었고, 자기결정 정도는 평균 3.27점으로 건강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직업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들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결정과 증상으로 높은 수준의 자기결정과 낮은 수준의 증상이 높은 수준의 회복과 관련이 있었다. 일반지지(가족지지 및 동료지지)는 자기결정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검증된 반면, 전문가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이 자기결정을 확대할 수 있는 거주환경을 제공하고, 가족ㆍ동료지지를 증진함으로써 이들의 진정한 회복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recovery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A total of 320 adults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Daejeon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ere 54.34 years and average time since diagnosis were 24.68 years. They had been residing in the facilities for 16.97 years on average. The recovery level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2.37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0~4 points).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veraged 3.27 points, with the highest in health and the lowest in occupational area.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determina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recovery. Higher levels of self-determination and lower levels of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recovery.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and peer support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recovery, whereas professional support was not. These findings hav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recovery of adults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by developing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self-determination and increasing family and peer suppor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8-001668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