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육문제연구 第89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의도 탐색: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태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Exploring Learner Acceptance of ChatGPT for Educational Utilization: Focusing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적으로 활용되는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그리고 태도(attitude)를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Intention to continuous use)를 예측하는 변수로 추출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있는 267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 중 하나인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ChatGPT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자들의 ChatGPT 지속 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인 지각된 용이성이 ChatGPT의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가 일상에서 ChatGPT를 사용한 경험이 교육적인 활용에서의 지속 사용의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성별은 '지각된 용이성, 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종속 변수인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대학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 explored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which is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is research, variables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were extracted as predictors of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67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impact of key TAM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n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learners' continuous use intention. Secondly, perceived ease of use, a core TAM variable, was found to have limited direct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ChatGPT; however, it had an indirect impac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hirdly, learners' experiences of using ChatGPT in their daily liv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ir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it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learners' gender was not found to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dependent variable ‘continuous use inten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result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ChatGPT in higher education.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