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수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2008년 8월에 1주일 30시간 실시한 것으로, 대상은 수도권 초등학교 교사 11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Guyton & Welshe(2005)가 개발한 교사 다문화효능감 척도와 Ponterotto 등(1995)이 개발한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가능한 68명의 자료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수 후 세 명의 교사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참여 교사들이 인종적 다양성에 대하여 보다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면담 일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의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업 기능 향상 측면에서도 개선의 기대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교육, 다문화적 효능감, 다양성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 연수프로그램

키워드

다문화교육, 다문화적 효능감, 다양성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 연수프로그램

참고문헌(25)open

  1. [학술지] 권순희 / 2007 / 다문화 가정 자녀의 상담 지도 사례 / 국어교육학연구 29 (29) : 127 ~ 174

  2. [학술지] 모경환 / 2007 /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39 (3) : 79 ~ 100

  3. [학술지] 박남수 / 2007 /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 사회과교육연구 14 (1) : 213 ~ 232

  4. [학술지] 이정우 / 2007 / 다양한 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예비교사의 고정관념 / 시민교육연구 39 (1) : 153 ~ 178

  5. [학술지] 장원순 / 2009 /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사회과교육 48 (1) : 57 ~ 79

  6. [학술지] 장인실 / 2008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 초등교육연구 21 (2) : 281 ~ 305

  7. [단행본] 조영달 / 2006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조사 /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8. [학술지] 최충옥 / 2007 /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 시민교육연구 39 (4) : 163 ~ 182

  9. [단행본] Aronson,E / 2002 / 사회심리학: 사회적 동물 / 탐구당

  10. [단행본] Banks, J. A / 2007 /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 Wiley

  11. [단행본] Bennett,C.I / 2007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Allyn and Bacon

  12. [학술지] Clark, E. R / 1996 / Language and Culture: Critical Component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 The Urban Review 28 (2) : 185 ~ 197

  13. [학술지] Dembo, M. H / 1985 /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 (2) : 173 ~ 184

  14. [학술지] Dilworth,P / 2004 /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2 (2) : 153 ~ 186

  15. [학술지] Furman,J.S / 2008 / Tensions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Research: Demographics and the Need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 Education and Urban Society 41 (1) : 55 ~ 79

  16. [학술지] Guskey, T. R / 1994 /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 (3) : 627 ~ 643

  17. [학술지] Guyton, E. M / 2005 / The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 (3) : 153 ~ 186

  18. [학술지] Ladson-Billings,G / 1999 / Preparing Teachers for Diverse Student Population: A Critical Race Theory Perspective /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4 : 211 ~ 247

  19. [단행본] Marshall,P.L / 2002 / Cultural diversity in our schools / Wadsworth

  20. [학술지] McDiarmid,G.W / 1992 / What to do about differences? A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ees in an L.A. united school district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 (2) : 83 ~ 93

  21. [단행본]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 2006 /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Schools, Colleges, and Departments of Education / Author

  22. [단행본] Nieto,S / 2004 /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 Allyn and Bacon

  23. [학술지] Ponterotto, J. G / 1995 /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Quick Discrimination Index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5 (6) : 1016 ~ 1031

  24. [학술지] Sleeter,C.E / 2001 / Preparing teachers for culturally diverse schools: research and the overwhelming presence of whiteness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 (2) : 94 ~ 106

  25. [학술지] Webb-Johnson, G / 1998 / The status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 Remedial & Special Education 19 (1) : 1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