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금까지 교육과정에서의 기준은 내용기준, 성취기준 등 계획 측면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기준은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을 토대로 한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 및 개혁을 위한 과제를 탐구했다. 지금 단계에서 교육과정 실행 기준이라는 개념을 창안하고 그 실제적 효용성을 점검하는의미에서 교육과정 실태와 개혁을 위한 과제를 분석하고 제안해 보고자 한다. 후속 연구들을 통해 기준의 세련화와 타당도가 더 깊이 탐구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구안을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들로부터도출하였다. 그러한 요인들을 교육과정 실행의 성패를 가르는 하나의 기준으로 될 것으로 보았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요인 등으로 종합하고, 교육과정 실행 기준 또한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기준 등으로설정하고 각 기준별 하위 요소들을 설정했다. 예를 들면 교육과정 문서 기준의 하위 요소는 (개정의) 필요성, (진술의) 명료성 등이다. 다음으로, 설정된 교육과정 실행 기준에서 주요한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를 점검해 보는 의미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준을 토대로 정리된 교육과정 실태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실행의 개혁을 위한 과제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등의 측면에서 제안되었다. 그런데, 본 개혁의 과제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은 각 교육과정 실행 기준별 개혁과 함께 각 기준 간의 공조와 협력 그리고 상호작용의 중요성 등이다(Westbury & Wilkof, 1978). 교육과정 실행은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기준 간의 시너지 효과와 상호 작용이 극대화될 때 성공한다.

키워드

교육과정 실행, 교육 기준, 교육과정 실행 기준, 교육과정 실행 요인, 교육과정실행의 개혁

참고문헌(65)open

  1. [학술지] 강은영 / 2007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 (2) : 1 ~ 12

  2. [학술지] 곽영순 / 2015 /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 교육과정평가연구 18 (2) : 83 ~ 104

  3. [학술지] 곽영순 / 2015 /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 교과교육학연구 19 (1) : 93 ~ 111

  4. [보고서] 곽영순 / 2015 /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편성·운영 역량 강화 방안(III)-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개발 및 실행-

  5. [단행본] 권낙원 / 2011 /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론 / 공동체

  6. [학술대회] 김경자 / 2014 / 국가교육과정, 무엇을 왜 개정하는가? / 제1차 국가교육과정 전문가 포럼 자료집

  7. [학술지] 김두정 / 1994 / 교육과정의 정치학 / 교육정치학연구 1 (1) : 89 ~ 110

  8. [단행본] 김두정 / 2002 / 한국 학교교육과정의 탐구 / 학지사

  9. [학술지] 김두정 / 2005 /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요인으로서 학습자 / 교육연구논총 26 (2) : 171 ~ 200

  10. [학술대회] 김두정 / 2014 / 교과교육과정 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 / 제3차 국가교육과정포럼 자료집

  11. [학술지] 김두정 / 2015 /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33 (3) : 179 ~ 198

  12. [학술지] 김민희 / 2015 / 지역 교육과정 운영 개선방안 탐색 / 사회과학연구 32 (1) : 77 ~ 96

  13. [학술지] 김선영 / 2016 / 역량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 탐색 / 교육연구 66 : 113 ~ 140

  14. [학술지] 김성천 / 2007 /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해 본 교직문화의 새로운 가능성: 구성배경과 참여동기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 34 (3) : 51 ~ 74

  15. [학술지] 김숙 / 2009 / 교육과정 정렬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 교육과정연구 27 (1) : 111 ~ 139

  16. [학술지] 김은영 / 2016 / 초·중·고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학부모 학교참여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7) : 27 ~ 49

  17. [인터넷자료] 김이경 / 학교장의 리더십 개선 방안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국가정책연구포털

  18. [학술지] 김재복 / 1997 /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개발과 평가 / 교육논총 14 : 25 ~ 48

  19. [학술지] 김평국 / 2003 /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교원 연수 모형으로서의 해석적 교원 연수 모형 / 교육과정연구 21 (2) : 123 ~ 143

  20. [보고서] 김해용 /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수능과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가?. 국가교육과정 전문가 포럼 운영 종합보고서

  21. [학술지] 김훈희 / 2004 / 지역화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조직 모형의 구안 / 교육과정연구 22 (4) : 113 ~ 134

  22. [학술지] 류윤석 / 2011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신뢰, 학습동기와의 관계 / 한국교육논단 10 (1) : 227 ~ 247

  23. [학술지] 문성윤 / 2010 / 학교장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 교육연구논총 31 (1) : 83 ~ 101

  24. [학술지] 박승렬 / 2009 / 교육과정 실행연구에서의 교사변인 논의의 가능성과 한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 (1) : 223 ~ 240

  25. [학술지] 박일수 / 2012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효과적인 수업행동에 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 (4) : 365 ~ 389

  26. [보고서] 박찬규 / 2014 /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실태와 개선방안. 국가교육과정 포럼 전문가 운영 종합보고서

  27. [학술지] 박창언 / 2013 / 교육과정의 지방자치를 위한 국가 권한의 문제와 과제 / 교육과정연구 31 (1) : 79 ~ 102

  28. [학술지] 박창언 / 2009 /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한 학교자치의 법적 기반과 과제 / 초등교육연구 22 (4) : 405 ~ 426

  29. [학술지] 박청원 / 2008 /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의 학교장 신뢰 및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 교육문화연구 14 (2) : 93 ~ 123

  30. [학술지] 백남진 / 2014 /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32 (2) : 101 ~ 131

  31. [보고서] 백영선 / 2014 / 학교현장에서 교육과정 자율화 가능성 탐색. 국가교육과정 포럼 전문가 운영 종합보고서

  32. [학술지] 서경혜 / 2004 /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 교육학연구 42 (4) : 285 ~ 315

  33. [학술지] 설규주 / 2012 /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20 (4) : 269 ~ 291

  34. [학술지] 소경희 / 2000 /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연구 18 (1) : 201 ~ 218

  35. [학술지] 송경오 / 2014 / 교사 신뢰, 교사 협력과 학교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육과학연구 45 (4) : 245 ~ 273

  36. [학술지] 신현석 / 2010 / 교육거버넌스 갈등의 쟁점과 과제 / 교육행정학연구 28 (4) : 351 ~ 380

  37. [학술지] 여성희 / 2004 / 중등학교 교원연수에 대한 교사들의인식 조사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21 (1) : 323 ~ 347

  38. [학술지] 왕한신 / 2005 / 학교와 지역사회-새로운 관계형성을 지향하며 / 교육논총 25 (1) : 167 ~ 188

  39. [학술지] 온정덕 / 2014 / 기준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우리나라와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상의 내용 선정과 제시방식 비교 분석 / 초등교육연구 27 (2) : 53 ~ 72

  40. [학위논문] 이경진 / 2006 /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41. [기타] 이광우 / 2014 / 제2차 2014 국가교육과정 전문가 중심 포럼 자료집

  42. [학술지] 이기복 / 2004 / 사회과 성취수준과 학습자 인지적 학습양식 유형과의 관계 분석 및 교수-학습과정 설정에 관한 연구-제7차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사회과교육 16 (2) : 49 ~ 80

  43. [학술지] 이병환 / 2010 /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 열린교육연구 18 (2) : 121 ~ 141

  44. [학술지] 이성은 / 2010 /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초·중등 교사의 연수 요구 분석 / 열린교육연구 18 (1) : 127 ~ 154

  45. [학술지] 이세용 / 2003 / 학부모 학교참여가 학교 및 교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교육사회학연구 13 (2) : 185 ~ 208

  46. [학술지] 이순형 / 2003 / 학부모 참여에 의한 학교교육의 혁신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비교교육연구 13 (2) : 1 ~ 19

  47. [학술지] 임유나 / 2016 /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준 문서 다층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 교육방법연구 28 (1) : 55 ~ 77

  48. [학술지] 장인실 / 2015 /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교육과정연구 33 (2) : 45 ~ 70

  49. [학술지] 정미라 / 1998 /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 그 관련기관 상호의 역할분담 / 교육과정연구 16 (1) : 443 ~ 468

  50. [학술지] 정영근 / 2011 /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 교육과정연구 29 (3) : 93 ~ 119

  51. [학술지] 정은영 / 2006 / 중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 155 ~ 165

  52. [학술지] 정혜승 / 2007 / 성취 기준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국어교육 (123) : 183 ~ 212

  53. [학술지] 조덕주 / 2002 /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지역 교육청의 역할 / 초등교육연구 15 (1) : 289 ~ 310

  54. [학술지] 조상연 / 2013 / 교과서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초등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31 (3) : 121 ~ 151

  55. [학술지] 조상연 / 2015 / 초등교사가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8) : 587 ~ 614

  56. [학술대회] 진의남 / 2015 /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개발 방향 /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0 ~ 29

  57. [학술지] 최윤정 / 2007 /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학교교육과정 질과의 관계 / 초등교육학연구 14 (2) : 179 ~ 195

  58.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6 /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수학·과학 결과 추이 및 현안 대응 방안

  59. [학술지] 황성희 / 2015 / 학술지『교육학연구』에 나타난 학부모 연구의 동향: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교육학연구 53 (4) : 253 ~ 282

  60. [단행본] Ben-Peretz, Miriam / 2014 / 교사, 교육과정을 만나다 / 강현출판사

  61. [단행본] Fullan, M. G. / 1982 /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 Teachers College Press

  62. [단행본] Fullan, M. G. / 2007 /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 Published by Teachers College Press

  63. [단행본] Joseph J. Schwab. / 1978 /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 [단행본] Marsh C. J. / 2007 /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 Pearson Prentice Hall

  65. [단행본] Menand, Louis / 1997 / 프래그티즘의 길잡이 / 철학과 현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