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38.31
18.188.238.31
close menu
KCI 우수 SCOPUS
최고경영자에 대한 경영권 집중화 수준과 기업가치
Managerial Centrality and Firm Value
곽영민 ( Young Min Kwak ) , 김현진 ( Hyun Jin Kim )
회계학연구 42권 1호 187-226(40pages)
DOI 10.24056/KAR.2016.12.005
UCI I410-ECN-0102-2018-300-000462399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에 대한 경영권 집중화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Bebchuk et al. (2011) 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경영진의 보상 총액에서 최고경영자 1인의 보상이 차지하는 비율(CEO pay slice: CPS)로 기업의 경영권 집중화 수준을 측정한 후 그러한 경영권 집중화 수준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경영권 집중화 수준이 기업의 소유-지배구조나 경영성과 등에 따라 내생적으로 유도된 변수일 가능성을 통제하기 위해 도구변수 접근법에 따른 2SLS의 추정을 OLS 추정과 병행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경영권 집중화 수준이 경영자의 비효율적 투자의사결정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추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경영권 집중화와 기업가치 간의 인과관계 구조에서 비효율적 투자의사결정이 매개변인이 되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영자에게 경영상의 권한이 집중될수록 기업가치가 악화되고 과잉투자와 같은 비효율적 의사결정 경향이 보다 현저해 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최고경영자 1인에게 경영권이 집중되어 있을 경우 과잉투자와 같은 경영자의 비효율적 의사결정이 효율적으로 견제되지 못하고 방치됨에 따라 주주부가 희생되는 경향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empirical relation between CEO centrality and firm value in Korea using a sample of 453 firm-years during 2013-2015. We measure CEO centrality by CEO pay slice suggested by Bebchuk et al.(2011).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a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EO central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d by Tobin`s Q, after controlling for the possible endogenous problem by using 2SLS model. Second, CEO centrality is correl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inefficient investment decision, in particular, over-inves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O centrality restricts capabilities for monitoring and checking on inefficient managerial decision, which will lead to increased propensity to over-investment, thereby can pass on the economic cost to the outside investor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국내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