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철학계는 ‘한국근현대철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잊혔던 몇 몇의 한국현대철학자들이 소개되고 그들의 철학적 문제의식에 대한 전체적인 파악과 평가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한국현대철학의 고유한 문제의식과 구체적 성과, 특징적인 경향과 흐름 등에 대한 총체적 조망이 부족했던 것도 분명한 사실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현대철학 연구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방법론적 관점과 지침이 구체화되지 않은 데 이유가 있다. 특히 한국현대철학의 형성과 발전에 근본적으로 개입하는 어떤 계기들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19세기 후반기부터 오늘까지 우리의 철학적 사유에 개입했던 가장 결정적인 조건은 다름 아닌 ‘제국주의적 식민주의의 침략과 그에 대한 저항’이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한국현대철학사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이해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새로운 지식인의 탄생과 함께 식민지적 근대성의 내재화가 진행된 1900년대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전통과 근대’라는 자기인식의 변화와 굴절 과정을 살펴봤으며,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제국주의적 사유의 본격적 이입과 그에 따라 진행되는 사상사적 응전을 탐색했다. 아울러 식민과 탈식민이 모순적으로 공존하면서 그 하위담론이 생성되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5년 해방 전후까지의 한국현대철학의 가장 암울한 시기를 추적했다.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philosophy community has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modern philosophy. A number of researchers introduced several forgotten Korean modern philosophers, an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ir philosophical critical mind was performed. However, the overall perspective on the unique problem consciousness, specific achievements, and characteristic trends and trends of Korean modern philosophy was lacking. This is because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and guidelin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stud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have not been specified.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awareness of certain moments that fundamentally interven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philosophy.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most decisive condition that intervened in Korea’s philosophical thought was ‘imperial colonialism’s invasion and its resistan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 postcoloni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From the 1900s to the mid-1920s, when colonial modernity was internalized with the birth of new intellectuals, the process of change and refraction of self-awareness called ‘tradition and modernity’ was examined. In addition, from the mid-1920s to the late 1930s,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imperialist thinking and the subsequent ideological response were explored. In addition, from the late 1930s to 1945, when colonialism and decolonization coexisted in contradiction, the darkest period of Korean modern philosophy was traced.

목차

요약문
1. 우리의 현대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국현대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
2. ‘전통’과 ‘근대’라는 자기인식(1900년대부터 1920년대 중반) : 새로운 지식주체들의 탄생과 식민지적 근대성의 내재화
3. 역사발전 법칙의 변증법적 인식(1920년대 중반부터 30년대 후반) : 제국주의적 식민주의의 이입과 사상사적 응전
4. 동양주의 인식과 식민주의적 굴절(1930년대 후반-1945년 해방 전후) : 식민⋅탈식민의 모순적 공존과 하위담론의 생성
5. 해방 이후 한국현대철학의 사상사적 전환 : 탈식민과 탈분단의 결합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