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학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er of Learning and Self-Directedness, Transfer Climate, Learning of Participants in Corporate e-Learning Programs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약어 : -
2008 vol.40, no.3, pp.223 - 246
DOI : 10.23840/agehrd.2008.40.3.223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36 회 열람

이 연구는 기업교육훈련에서 e-Learning과 학습전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전이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및 학습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e-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기업에서 최소 2~6개월 전 사내 e-Learning 과정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는 재직 근로자 중 유의표집에 의하여 추출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학습전이,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그리고 학습에 대한 그들의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국내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에 참여한 근로자는 조직 내에서의 학습전이를 비교적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은 집합교육훈련 참여자의 평균적인 자기주도성 수준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학력, 직급, 직무 및 근무연수에 따른 자기주도성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습전이 및 학습은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중간 수준의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전이풍토 변인은 모두 학습전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동료의 지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학습전이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섯째, 학습전이는 학습과 중간 수준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훈련 설계 및 e-Learning을 고려한 시스템 환경과 학습전이와의 관계, 교육훈련 실시 전과 후, 그리고 근전이, 원전이와 같은 학습전이 유형에 따른 측정시점의 구분, 그리고 교육훈련의 유효성 평가 수준을 반응과 결과수준으로 확대하는 종합적 고찰을 통해 보다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ived level of transfer of training, the self-directedness, transfer climate and the learning of corporate employees participated in e-Learning program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A survey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transfer of training scaled based on Lee(1996),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based on Lee(2006), transfer climate which have four sub-variables(supervisor's support, peer's support, organizational compensation, and opportunity to transfer) scale based on Kim, Lee & Gil(2006), learning scale based on Lee(1996).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transfer of training of corporate employees participated in e-Learning programs was 3.6 poin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ransfer of training and the type of e-learning programs. 2. The mean of the self-directedness of corporate employees participated in e-Learning programs was 134.54 point(195 of the maximum response point) which was almost same level compared with that of corporate employees participated in offline learning program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levels of corporate employee's self-directedness and employee's sex, age, educational level, job position, job, and the number of working years. 3.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er of training, learning and the self-directedness of corporate employees participated in e-learning programs had positive middle relationship.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er climate and the transfer of training was affected by supervisor's support, peer's support, organizational compensation, and opportunity to transfer and had the positive middle relationship except peer's support which had positive low relationship. 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training and learning had positive middle relationship.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followed by more specific classifications for the other variables in the transfer of training, to seek some sophisticated and various methods in measurement for the transfer of training, and to extend the level of the lear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from learning and behavior to reaction and result.

학습전이, 자기주도학습,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Transfer of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Self-Directedness, Transfer Climate

  • 1. [학술지] 강인애 / 1995 /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적 고찰 / 교육공학연구 / 11 (2) : 3 ~ 2
  • 2. [학위논문] 금미라 / 1998 / 기업체 근로자의 개인특성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다국적 기업과 국내기업의 비교
  • 3. [학위논문] 김교식 / 2004 /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W그룹을 중심으로
  • 4. [단행본] 김종문 / 1998 / 구성주의 교육학 / 교육과학사
  • 5. [학술지] 김지자 / 1996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 사회교육학연구 / 2 (1) : 1 ~ 1
  • 6. [학위논문] 김진모 / 1997 / 직무교육 훈련의 유효성과 그 영향요인
  • 7. [학술지] 김진모 / 2006 / 농촌지도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와 전이풍토의 관계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38 (1) : 27 ~ 1 kci
  • 8. [학술지] 김해영 / 2000 / 성인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성격유형 및 귀인양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발전논집 / 21 (1) : 211 ~ 1
  • 9. [학술지] 남기찬 / 2002 / 온라인(on-line)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한국경영과학회지 / 27 (1) : 75 ~ 1 kci
  • 10. [기타] 노동부 / 2003 / 기업 e-Learning 중기 발전방안(2004년 ~ 2008년)
  • 11. [단행본] 류완영 / 1999 / 웹기반 교육에서의 평가 in 웹기반 교육 / 교육과학사 : 188 ~
  • 12. [단행본] 박경규 / 2001 / 신인사관리: 노동과 자본의 통합이론 / 홍문사
  • 13. [학위논문] 박은미 / 1998 / 업무환경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의 관계
  • 14. [학위논문] 배영주 / 2003 / 성인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 15. [기타] 산업자원부 / 2006 / 2006 e-Learning 산업 실태조사
  • 16. [학위논문] 서은숙 / 2004 / 기업의 e-Learning에서 개인의 학습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17. [학위논문] 유귀옥 / 1997 /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 18. [학술지] 유지연 / 2001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 정보통신정책 / 13 (16) : 28 ~ 16
  • 19. [학위논문] 이도형 / 1995 /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효과
  • 20. [학술지] 이도형 / 1996 /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모델 검증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9 (1) : 59 ~ 1
  • 21. [단행본] 이상수 / 2006 / 웹 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in 교육공학연구의 동향 / 교육과학사 : 126 ~
  • 22. [학술지] 이수경 / 2003 / 기업 e-Learning 정책의 추진 실적 및 성과분석 / 기업교육연구 / 5 (2) : 43 ~ 2
  • 23. [학위논문] 이용도 / 2003 / 직무특성과 조직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관한 연구
  • 24. [단행본] 이종기 / 2005 / (학업성과향상을 위한)사이버학습 성공전략 / 삼우사
  • 25. [학위논문] 이진화 / 2006 /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 및 직무특성의 관계
  • 26. [학술지] 임효창 / 2004 / 기업내 e-learning의 반응, 학습성과 및 전이성과간 관계: 교육참가자의 개인특성 및 조직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사관리연구 / 28 (3) : 1 ~ 3 kci
  • 27. [학술지] 장은주 / 2001 / 비서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웹기반 교육훈련(web-based training)의 효과성 모형 도출에 관한 연구 / 비서학논총 / 10 (2) : 21 ~ 2
  • 28. [학술지] 정재삼 / 2003 / e-Learning의 평가연구 :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 / 34 (1) : 73 ~ 1 kci
  • 29. [단행본] 조희형 / 1999 / 과학 교수-학습 / 교육과학사
  • 30. [학위논문] 주용석 / 2003 / 기업 내 e-Learning의 전이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L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31. [학위논문] 탁진규 / 2000 / 사이버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및 학습동기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32. [기타]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2005 / 2005년 국내 기업 e-비즈니스 현황 조사결과
  • 33. [학위논문] 한안나 / 1999 /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직무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34. [학술지] 현영섭 / 2003 /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 교육학연구 / 41 (1) : 14 ~ 1 kci
  • 35. [학술지] Baldwin, T. T. / 1988 /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ersonnel Psychology / 41 : 63 ~
  • 36. [단행본] Caffarella, R. S. / 2002 /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A Practical Guide for Educators, Trainers, and Staff Developers / John Willey & Sons
  • 37. [단행본] Candy, P. C. / 1991 /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 Jossey-Bass
  • 38. [단행본] Confessore, G. J. / 1992 / 자기 주도 학습의 길잡이 / 교육과학사
  • 39. [학위논문] Guglielmino, L. M. / 1977 /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 40. [학술대회] Holton, E. F. / 1995 / In Search of on Interactive Model for HRD Evaluation /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995 Conference Proceeding
  • 41. [학술지] Holton, E. F. / 1997 / Toward construct validation of a transfer climate instrument /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 8 : 95 ~
  • 42. [학술대회] Holton, E. F. / 1998 / Development and variation of a generated learning transfer climate questionnaire: Final report / Proceeding of the 1998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nual Meeting
  • 43. [단행본] Holton, E. F. / 2003 /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 Jowwey-Bass
  • 44. [단행본] Long, H. B. / 1989 / Self-directed learning: Emerging theory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Emerging theory and practice /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 1 ~
  • 45. [단행본] Long, H. B. / 1991 /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Consensus and conflict /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 107 ~
  • 46. [단행본] Long, H. B. / 1992 / An analysis of a modified form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In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 189 ~
  • 47. [단행본] Kirkpatrick, D. L. / 1994 / Evaluation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 Berrett-Koehler
  • 48. [단행본] Knowles, M. S. / 1975 / Self -Directed Learning: A Guide to Learning and Teachers / Folett Publishing
  • 49. [학술지] Nisar, T. M. / 2002 /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e-learning /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 34 (7) : 256 ~ 7
  • 50. [학술지] Noe, R. A. / 1986 /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hat of a Model / Personnel Psychology / 39 : 497 ~
  • 51. [단행본] Noe, R. A. / 2002 / Employee Training & Development / McGraw Hill
  • 52. [학술지] Oddi, L. F. / 1986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 Adult Education Quarterly / 36 (2)
  • 53. [단행본] Rosengerg, M. J. / E-Learni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 McGraw Hill
  • 54. [학술지] Rouiller, J. Z. / 1993 /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 4 : 377 ~
  • 55. [학술지] Russell, J. W. / 1988 / Learner preference for structu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instructional methods /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 49
  • 56. [단행본] Savoie, M. / 1979 /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Predictions of Success in Courses Requiring a Degree of Learner Self-Direction / University of Toronto
  • 57. [학술지] Tracey, J. B. / 1995 /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The importance of work environment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80 (2) : 239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