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 맞춰 전문가와 연예인으로 분류된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라 뷰티 제품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의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SNS를 이용한 적이 있는 일반인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총 22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서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제품태도 모두 전문가 인플루언서 광고에 더 높은 광고효과를 보였다. 둘째,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따른 인플루언서 유형의 광고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예인 유형에서는 광고태도와 제품태도 모두 실용적성향의 응답자보다 쾌락적성향의 응답자에게 높은 광고효과가 나타났으며, 전문가 유형에서는 광고태도와 제품태도 모두 쾌락적성향의 응답자보다 실용적성향의 응답자에게 높은 광고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인플루언서에 관한 여러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특성에 초점이 맞춰서 이루어지거나, 제품 특성에 초점이 맞춰서 이뤄지는 등 제한적으로 실시되어 왔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인플루언서 광고모델 연구에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dvertising effects regarding beauty products according to the influencer type classified as expert and celebrity. Moreover, it examin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encounter advertisements affect their responses.
[Methodology] In this study,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general public in their 20s and 30s who usually use SNS using the judgment sample extraction method. ANCOVA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for data processing,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ndings] First, both advertising attitudes and product attitudes showed higher advertising effects in expert types than in celebrity typ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consumers with hedonistic tendencies showed high advertising effects in celebrity advertisements, and consumers with utilitarian tendencies showed high advertising effects in expert advertisements.
[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research on influencer advertising model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help in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및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032-000141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