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성격특성은 개인을 특징짓는 지속적이며 일관된 행동양식으로서, 성격특성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새로운 의구심을 낳을 수 있는바, 이를 보완하는 후천적인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했다. 또한 최근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한 제도권 교육에서 기업가정신이 강조되는 바,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기업가정신과 취업가능성 및 성격과 취업가능성 가운데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를 각각 분석해 보고자 했다. [연구방법]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1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근의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기업가정신 및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성격요인은 성실성, 개방성, 외향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가정신은 취업가능성을 높이며 성격특성에서 기업가정신을 매개하였을 때 취업가능성에 대한 영향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성격특성에 따른 취업가능성 및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성차의 조절효과는 개방성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시사점] 대학생의 창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기업가정신이 대학생의 취업가능성에도 상호보완적으로 영향 미침을 국내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취업이 불안정한 시대에서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는 기반적인 취업 역량으로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교육 및 성차의 조절효과인 개방성이 더욱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Previous findings which show that a personality traits formed at birth or during childhood affects employability can lead to new suspicions. So, we wanted to find out what acquired factors are complementary to thi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e wanted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personality traits of college student. [Methodolo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on 247 college students, bootstrapping was performed with Process Macro Model1 to check the moderate effect. [Findings] As previous findings, conscientiousness, openness, and extroversion personality factors appears to have an effect o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Entrepreneurship was identified to increases employability and more influence on employability when it is mediated on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was found to only openness on the employability and the entrepreneurship. [Implications] We could be to identify entrepreneurship, which has been stud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also affects the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lso, entrepreneurship and personality traits affect complementary to employability. Therefore, the exis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to expand as the basic employment skills that lead to a stable life in the era when employment is unstabl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32-002203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