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ty of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y - Focusing on Kimi(property) and efficacy

서지학적 고증을 통한 고려인삼의 정체성 : 기미(氣味), 효능을 중심으로

  • Ko, Sungkwon (School of Food & Nutrition Science for Bioindustry, Semyung University)
  • 고성권 (세명대학교 바이오식품산업부)
  • Received : 2018.12.27
  • Accepted : 2019.02.26
  • Published : 2019.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inseng properties through bibliographical records. The cultivation of Korean wild simulated ginseng (mountain cultivated ginseng) started from the Goryeo Dynasty around A.D. 1000. Thereafter, from A.D. 1500 to A.D. 1600, ginseng cultivation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t this time, the ginseng was begun to grow in the field near the house, and it is recorded as Gasam (field cultivated ginseng). The Jung-Jo-Sil-Rok (A.D. 1790) states that Gasam cultivation has expanded to the whole country. The properties of ginseng described in almost all oriental medicine books from A.D. 250 to A.D. 1600 were a slightly cold. However, after A.D. 1600, it is said to be slightly warm or warm. Considering from this record, the slightly cold ginseng before A.D. 1600 can be recognized as the properties of wild ginseng or wild simulated ginseng, and the slightly warm ginseng after A.D. 1600 can be recognized as Gasam proper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기록을 통하여 인삼의 기미(氣味)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산양삼(山養蔘) 재배는 A.D. 1000년 경 고려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A.D. 1500년-1600년 경 조선시대에 인삼재배 기술이 확립되었다. 이 무렵 집 근처 밭에서 인삼을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가삼(家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가삼재배는 A.D. 1790년 경 전국으로 확대되었다고 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인삼의 기미는 A.D. 250에서 A.D. 1600년까지 대부분 동양의학서적에 미한(微寒)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A.D. 1600년 이후에는 미온(微溫) 또는 온(溫)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삼의 기미변화를 인삼재배역사 기록을 통하여 고찰해보면, A.D. 1600년 경 이전의 미한(微寒)의 기미 인삼은 산삼 또는 산양삼으로 인식할 수 있고, A.D. 1600년 경 이후의 미온(微溫) 또는 온(溫)의 기미 인삼은 가삼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미를 미한(微寒)으로 표기하였던 한의서의 효능은 오장을 주로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는 효능을 위주로 하였으나, 온(溫)으로 표기한 1600년대 이후의 한의서의 효능은 원기를 보하고, 진액을 생성시킨다는 효능이 주로 또는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배환경이 산에서 들로 바뀌면서 인삼의 성질(기미)과 효능의 변화가 온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재배환경에 따른 성분변화가 효능차이에 미치는 연구가 고려인삼의 정체성 확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성권, 한방식용식물학 (진영사, 2016).
  2. 고성권, 김윤수, 김윤영, 김종기, 목성균, 박종대, 신차균, 임병옥, 정재훈, 정헌배, 최용의, 함영태, 우리인삼의 이해 (중앙대학교 출판사, 2005).
  3. 고성권, 임강현, 고려인삼의 재배 역사와 본초학적 고증을 통한 인삼 기미 고찰, 대한본초학회지 24 (대한본초학회, 2009).
  4. 고성권, 임병옥, 고려인삼의 과학 (약업신문사, 2009).
  5. 국사편찬위원회, 비변사등록(영인본) 영조 25년, 37년, 51년 기사, (국사편찬위원회, 1982).
  6.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81).
  7. 김홍대, 한국의 산삼 (김영사, 2006).
  8. 네이버, https://www.naver.com (검색일: 2019년 1월 22일).
  9. 박봉우, 김용환, 고려인삼 시원지 고찰 및 재배역사, 3 (국제산삼심포지움 발표논문집, 2009).
  1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 증보문헌비고 1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9).
  11. 안덕균, 인삼의 기미 고찰,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2 (경산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1975).
  12.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태학사, 2003).
  13. 양병욱. 임병옥. 고성권, 산양삼의 비사포닌 성분 함량, 한국산삼학회지 2 (산삼학회, 2006).
  14. 정양완, 빙허각이씨 규합총서 (보진재, 1984)
  15. 한국인삼사편집위원회, 고려인삼사 (한국인삼사편집위원회, 2002).
  16. 홍문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17.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思文閣, 1991) P. 237.
  18. Han ST. Shin CG. Yang BW. Hahm YT. Sohn UD. Im BO. Cho SH. Lee BY. Ko SK., "Analysis of Ginsenoside Composition of Woods Grown Ginseng Roots" Food Science & Biotechnology (Seoul,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7).
  19. Shibata S, Tanaka O, Ando T, Sado M, Tsushima S, Ohsawa T.,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XIV. Protopanax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Tokyo,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66).
  20. Yang BW. Im BO. Ko SK., "Comparison of Non-saponin Composition and Contents in Fresh Ginseng Root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and at Various Ages" Yakhak Hoeji, (Seoul,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