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갖추어야 할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 모형을 개발하여 세대 간 격차를 살펴보고자 했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로 접근과 통제,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 책임과 권리라는 네 가지 개념이 제시되었다.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구성 요소의 세부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항목들을 개발하고 측정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측정 항목을 선별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구성요소별 측정 모형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4요인 측정 모형이 모두 통계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과 책임과 권리, 접근과 통제 순으로 그 중요도를 높게 평가했다.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세대 간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세대 간 격차가 발견되었고 특히 50대 이용자들은 10∼20대와 30∼40대에 비해 접근 능력 뿐 아니라 사회적 소통과 비판적 이해 능력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키워드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과 통제,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 책임과 권리, 미디어 리터러시격차

참고문헌(27)open

  1. [학술지] 김기태 / 2007 / 한국 미디어 교육의 성격 분석 및 논의 / 한국언론정보학보 37 (1) : 139 ~ 167

  2. [단행본] 김병욱 / 2015 / 델파이 분석방법 / 킴스정보전략연구소

  3. [단행본] 김주환 / 2009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 커뮤니케이션북스

  4. [학술지] 민영 / 2011 /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 언론정보연구 48 (1) : 150 ~ 187

  5. [단행본] 안정임 / 2009 / 미디어 교육 효과측정 모델 :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 한국언론진흥재단

  6. [학술지] 안정임 / 2014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12 (2) : 69 ~ 78

  7. [학위논문] 李聖雄 / 1987 / Delphi技術豫測技法의 有用性에 관한 연구

  8. [학술지] 이숙정 / 2014 / 디지털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 디지털 활용 능력과 정보적 지지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8 (5) : 206 ~ 232

  9. [학술지] 최인호 / 2018 / 소득, 연령, 인지욕구가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 (2) : 181 ~ 221

  10. [단행본] 한국언론진흥재단 / 2018 /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 한국언론진흥재단

  11. [학술지] 황용석 / 2012 /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6 (2) : 198 ~ 225

  12. [단행본] Atkinson, T. / 2002 / Social indicators : The EU and social inclusion / Oxford 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Aufderheide, P. / 1993 / Media literacy: A report of the national leadership conference on media literacy / Aspen Institute

  14. [단행본] Baran, S. / 2015 / Mass communication theory : Foundations, ferment, and future / Cengage Learning

  15. [단행본] Bauer, R. A. / 1966 / Social indicators / The MIT Press

  16. [학술지] Bonfadelli, H. / 2002 / The internet and knowledge gaps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17 : 65 ~ 84

  17. [단행본] Buckingham, D. / 2019 / The media education manifesto / Polity Press

  18. [보고서]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 2009 /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Final Report)

  19. [보고서]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 2011 /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Final Report)

  20. [학술지] Hobbs, R. / 2009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1 (1) : 1 ~ 11

  21. [학술지] Holbrook, T. M. / 2002 / Presidential campaigns and the knowledge gap / Political Communication 19 : 437 ~ 454

  22. [학술지] Hwang Y / 2009 / Revisiting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 A metaᐨanalysis of thirtyᐨfive years of research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6 : 513 ~ 532

  23. [단행본] Jolls, T. / 2008 /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An overview and orientation guide to media literacy education / Center for Media Literacy

  24. [단행본] Klein, R. B. / 2005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The Guilford Press

  25. [단행본] Tichenor, P. J. / 1980 / Community, conflict & the press / Sage

  26. [단행본] Tornero, P. / 2007 / Study of the Current Trends and Approaches on Media Literacy in Europe / European Commission

  27. [단행본] Rheingold, H. / 2014 / 넷 스마트 / 문학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