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18~19세기 제주도 출신의 대표적 名人인 김만덕[1739년(영조15)~1812년(순조12)]의 생애를 당시 그녀가 살았던 제주사회의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거시적이고 유기적인 연결고리 속에서 재고찰하였다. 김만덕이 살았던 18~19세기는 조선사회의 다방면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 시기였다. 특히 어느 부문보다도 경제적인 면에서 확연한 발전양상을 띄었다. 이앙법의 본격적인 보급, 즉 농법 개량을 통한 농업 생산력 향상과 대동법의 실시, 화폐 사용을 통한 상품유통경제의 활성화에서 비롯된 경제적 발전으로 인구 증가 및 신분제 동요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조선사회의 변화무쌍한 경제적 변화는 제주사회가 처한 열악한 자연지리적 조건에 부딪혀 그대로 전달․흡수되지 못하였다. 조선후기 접어들어서도 제주도는 각종 기상재해와 기근으로 말미암아 식량부족 및 민심동요 등 갖가지 사회문제가 야기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한편 조선후기 제주도에 들이닥친 3번의 연속적 대기근으로 제주사회는 더욱더 피폐해져 갔다. 김만덕이 왕성히 활동하던 시기는 3대 대기근 중 ‘임을대기근[1792년(정조16)~1795년(정조19)]’에 마주한 시기였다. 그녀는 변방의 섬인 제주도에서 태어나 기녀(천민)이라는 신분적 굴레와 여성이라는 차별을 극복하고, 18세기 당시 명망 높은 기녀로서 제주도내 관리 및 지방의 유력 토호세력, 부호들을 비롯해 제주도를 왕래하는 육지 상인들을 상대로 한 妓房 혹은 舖를 기반으로 매점매석 등의 운영방식을 통해 많은 재산을 축적하였으며, 최악의 흉년을 맞은 1795년(정조 19), 자신의 모은 재산을 기부하여 수많은 제주민들을 救命하였다. 이러한 선행으로 말미암아 김만덕은 그녀를 둘러싼 각종 장애요소들을 극복하고 한양으로의 상경, 왕(정조)과 왕비의 알현, 醫女班首의 직책 획득, 금강산 유람 등의 전례 없는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당대 지식인들이었던 정치인, 학자, 문인들의 관심을 한 몸을 받으며 많은 칭송의 글과 시, 편액 등이 집필되어졌다. 김만덕의 의로운 선행은 현재까지도 뭇사람에게 널리 회자되고 있으며, 이는 단지 한 제주여성에 대한 전기적 차원의 접근을 넘어 그녀의 생애를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삶의 방향성 제시의 표본이 되고 있다. 그러나 20세기에 접어들어 김만덕이란 인물을 선양화하는 과정에서 당대 역사적 문헌 사료에서와 다르게 그녀의 신분과 면천여부, 재산축적의 방법, 경제활동의 기반터, 진휼의 규모 등 생애 전반에 있어 상이하게 기록되어지고, 이것이 통설로 받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요컨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김만덕에 대한 의구심을 역사적 문헌 사료에 근거해 조금이나마 해소시켜 보고자 우선, 18~19세기 제주사회의 전반에 대한 시대적 상황 등을 고찰하였다. 이후 그녀에 관한 여러 후대 전록 기사들의 비교․검토를 통해 지금까지 우리가 통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김만덕의 생애에 대한 오류 및 상이점 등을 찾아 객관적으로 재평가하였다. 이 같은 작업은 기존의 통설을 부정한다는데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를 통해 김만덕이란 인물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그녀에 대한 맹목적 미화와 왜곡이 아닌, 올바른 선양사업을 이끄는 데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키워드

제주도, 상품화폐경제, 김만덕, 면천, 기녀, 기근, 진휼

참고문헌(44)open

  1. [기타] / 朝鮮王朝實錄

  2. [기타] / 備邊司謄錄

  3. [기타] / 承政院日記

  4. [기타] / 日省錄

  5. [기타] / 羅里浦事實

  6. [기타] / 漂人領來謄錄

  7. [기타] / 萬機要覽

  8. [기타] / 濟州牧關報牒

  9. [기타] / 濟州啓錄

  10. [기타] / 南槎錄

  11. [기타] / 濟州風土記

  12. [기타] / 南槎日錄

  13. [기타] / 知瀛錄

  14. [기타] / 南宦博物

  15. [기타] / 經世遺表

  16. [기타] / 與猶堂全書

  17. [기타] / 耽羅誌草本

  18. [기타] / 寓庵文集

  19. [단행본] 고창석 / 2012 / 濟州啓錄 / 제주발전연구원

  20. [단행본] 김만덕기념사업회 / 2008 / 김만덕 자료총서Ⅱ / 도서출판 각

  21. [단행본] 김오진 / 2018 / 조선시대 제주도의 이상기후와 문화 / 푸른길

  22. [단행본] 서귀포시 / 1995 / 濟州啓錄(영인본) / 서귀포시

  23. [단행본] 서울대학교규장각 / 1993 / 漂人領來謄錄 1~7 / 보경문화사

  24. [단행본] 이원조 / 2007 / 耽羅誌草本 上․下 / 제주교육박물관

  25. [단행본] 이익태 / 1997 / 知瀛錄 / 제주문화원

  26. [단행본] 이형상 / 2009 / 남환박물 / 푸른역사

  27. [학술지] 강경호 / 2018 / 제주 교방(敎坊) 관련 예술의 전통과 문화원형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 / 국제어문 (79) : 189 ~ 220

  28. [학위논문] 강은정 / 2015 / 조선후기 羅里鋪倉의 설치와 운영

  29. [학술지] 고동환 / 1993 / 조선후기 船商活動과 浦口間 商品流通의 양상-漂流關係記錄을 중심으로 / 韓國文化 14

  30. [학술지] 고동환 / 2003 / 조선후기 商船의 航行條件 / 한국사연구 (123) : 10 ~ 340

  31. [학술지] 권인혁 / 1988 / 19세기 초 梁濟海의 謀變 實狀과 그 性格 / 탐라문화 (7)

  32. [학위논문] 김나영 / 2008 / 조선시대 제주지역 포작의 사회적 지위와 직역변동

  33. [학위논문] 김나영 / 2017 / 조선시대 濟州島 漂流․漂到 연구

  34. [학위논문] 김현주 / 2011 /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진휼비와 진휼실상

  35. [학술지] 나가모리 미쯔노부(長森美信) / 2003 / 조선후기 제주 進上物 조달과 수송 / 탐라문화 (23)

  36. [학술지] 록탄다 유타카(六反田豊) / 1999 / 十九世紀済州島の出海難と漂流-済州啓錄の分析 / 年報朝鮮学 7

  37. [단행본] 문순덕 / 2010 / 추모 200주기 기념 김만덕 재조명 / 제주발전연구원

  38. [학술지] 양정필 / 2017 / 18세기 후반 金萬德의 경제활동 再考察 / 사학연구 (125) : 229 ~ 270

  39. [학술지] 이욱 / 2008 / 18~19세기 중반 濟州地域 商品貨幣經濟발전과 성격 / 국학연구 1 (12) : 501 ~ 532

  40. [학술지] 정형지 / 1995 / 조선후기 交濟倉의 설치와 운영-18세기 羅里浦倉 사례를 중심으로- / 이대사원 28

  41.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 2008 / 김만덕 객주터 기본조사 및 유적터 고증학술조사 보고서

  42.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 2011 / 김만덕 기념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43. [단행본] 제주특별자치도 / 2012 / 김만덕 객주터 재현사업 학술용역보고서 / 도서출판 각

  44. [학술지] 조지형 / 2011 / 17세기, 소빙기, 그리고 역사추동력으로서의 인간 - 거대사적 재검토 - / 이화사학연구 (43) : 1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