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코로나 시기 패들렛 활용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Liberal Arts Class Using Padlet During the COVID-19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4호 (2023.04)바로가기
  • 페이지
    pp.73-80
  • 저자
    박옥희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969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for offline class using the online platform Padlet as a tool in liberal arts clas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Thirty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he statistical results and analysis for open-ended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ticipants showed satisfaction as the highest variable followed by learning effect , then motivation but participation rated the lowest(p < .001). Secondly,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participation depending on gender(p < .001). Female students felt higher satisfaction, learning effect, and motivation than male students. Thirdly,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freshmen and senior depending on grade(p < .001). Freshmen felt higher satisfaction, participation, learning effect, and motivation than seniors. Fourthly, qualitative analysis showed participants felt positive about using Padlet as a education tool in offline class. Final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온라인 학습 도구 패들랫(Padlet)을 활용하여 대면으로 수업한 교양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B대학 재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패들렛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와 동기에 대해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 고, 개방형 질문은 중심어 위주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들렛을 활용한 대면 수업 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1). 수업만족도가 제일 높았고, 이어서 학습 효과와 동기 순으로 높았 고 반면, 수업 참여도는 제일 낮았다. 둘째, 성별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참여도를 제외한 만족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셋째, 학년 간 비교에서는 1학년과 4학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 .001),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모두 1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다. 넷째, 개방형 질문에서 패들렛 활용 학습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참여자
2.2 연구절차
2.3 연구도구 및 분석도구
3. 연구결과
3.1 패들렛 활용 대면 교양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도,참여도, 학습 효과, 학습 동기 비교
3.2 패들렛 활용 대면 교양 수업에 대한 성별 비교
3.3 패들렛 활용 대면 교양 수업에 대한 학년별 비교
3.4 패들렛 활용에 대한 학습자 의견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옥희 [ Ok Hee Park | 배재대학교 주시경대학 기초교육부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1권 제4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